•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정부는 본격적인 하절기에 앞서 5월부터 산란계 농장의 위생․안전 관리를 강화한다고 밝혔습니다.
○ 산란계 농장의 계란 검사 강화, 신규약품 허가, 닭 진드기 방제, 환경 개선, 계란 표시제도 등 제도개선 사항을 중점 시행할 계획입니다.

【계란 검사】
□ 정부는 조류인플루엔자(AI) 방역대가 해제됨에 따라 지자체와 검사인력․장비 운영 사항에 대한 협의를 거쳐,
○ 닭 진드기가 많이 발생하는 하절기(7~8월)에 앞서, 5월 10일*부터 전체 산란계 농장**에 대한 계란 살충제 검사를 강화할 계획입니다.
* (1~4월) 닭 진드기 발생이 적은 시기로 신규 계란 생산농가 등 기존에 검사받지 않은 농가 등을 대상으로 검사 → (5월~) 전체 산란계 농장 검사
** 관계부처 합동 식품안전개선 종합대책(‘17.12)에 따라 연간 1회 이상 전체 산란계 농장을 대상으로 계란에 대해 수거․검사
○ ‘17년 10월부터 계란 검사 강화를 위해 검사항목을 27종에서 33종으로 확대하여 4월말까지 검사한 결과, 24개 산란계 농장의 계란이 부적합*되어 회수․폐기 조치한 바 있습니다.
* 부적합 농가 : ‘17.10∼12월 22개 농가, ’18.1∼4월 2개 농가

□ 또한, 전통시장․인터넷 등을 통해 판매되는 유통단계의 계란 검사도 실시하여 안전에 대한 이중 관리* 체계를 운영할 계획입니다.
* 연중 상시 관리를 위해 생산(농식품부)/유통(식약처) 단계별로 분담하여 검사

□ 생산 및 유통단계 검사 과정에서 부적합된 경우, 국민들에게 농장정보, 계란 난각(껍데기) 표시 사항 등을 공개*하고 시중에 유통되지 않도록 신속하게 출하중지와 회수․폐기 조치할 계획입니다.
* 식품안전나라(foodsafetykorea.go.kr), 농식품부․식약처 홈페이지 등

【신규 약품 허가 및 닭 진드기 방제 지원】
□ 농가가 진드기 등 해충을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있도록 신규 약품 2종은 5월 10일 허가하였고, 해외 약제 1종은 6월 중순에 허가를 추진할 계획입니다.
○ 5월 10일 허가된 2종의 약제(해외 1종, 국내 1종)는 산란계 농장에서 분무용으로 사용할 수 있고, 6월 중순 허가될 해외 약제 1종(EU에서 17년부터 사용)은 닭에게 직접 먹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산란계 농가의 효과적인 닭 진드기 해충 방제를 지원하기 위해, 금년부터 전문방제업체를 활용한 닭 진드기 공동방제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 공동방제 사업(42개 농가)의 효과가 높을 경우 ‘19년부터 확대할 계획임

【환경 개선】
□ 산란계 농가가 닭 진드기 등 병해충을 최소화하고, 축사를 깨끗이 유지할 수 있도록, 정부는 청소․세척 등 환경 개선을 지원해 나가고 있습니다.
○ 이를 위해 지난해 11월부터 해외조사(네덜란드)와 전문가 협의회 등을 거쳐 축사 환경 개선 매뉴얼*을 마련․배포하고, 산란계 농가에 대한 점검․조사․홍보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 산란계 농장의 닭 진드기 방제요령, 축사 피프로닐 설폰의 청소․세척요령
○ 4월부터는 중소 농가에 대해 “청소․세척 지원 사업”과 “축사시설 교체 지원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 청소세척 지원사업 : 농가당 최대 12백만원(국비 40%, 자부담 60%)
* 시설교체 지원사업 : 융자 연리 1%, 5년 거치 10년 상환(융자 80%, 자부담 20%)

【제도 개선】
□ 계란 난각(껍데기)에 생산자(고유번호), 사육환경번호, 산란일자를 표시하도록 하여 소비자 선택권을 강화하는 한편, 산란계 농장 사육 환경 개선을 촉진하고 신속한 추적조사도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 생산자 표시는 가축사육업 허가․등록증에 기재된 고유번호(5자리)로 통일하여 정확한 생산자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 (종전) 농가가 농장명, 농장주 등을 선택하여 표기 → (개선) 생산자고유번호로 통일
○ 사육환경 번호 표시*는 소비자의 알권리를 충족시키고, 산란계 농장 사육 환경 개선을 촉진하기 위한 것이며 산란계 농장의 케이지 면적 기준 상향도 추진**하고 있습니다.
* 사육환경 번호는 계란 껍데기에 ①방사, ②평사, ③개선 케이지(0.075㎡/마리), ④기존 케이지(0.05㎡/마리)로 표시
** 축산법 시행령 개정안을 법제처가 심사 중이며 올해 하반기 시행 예정
○ 계란 난각(껍데기) 표시 제도 정착을 위해 준비기간을 거쳐 생산자 고유번호는 4월 25일부터 시행되었고, 사육환경번호 표시는 8월 23일부터 시행될 계획입니다.

□ “식용란수집판매업자”는 계란의 위생적이고 안전한 관리를 위해 올해 4월 25일부터 자체 검사*를 실시하도록 하였습니다.
* 식용란수집판매업자는 계란을 납품하는 산란계 농장의 계란에 대해 6개월에 1회 이상 검사기관에 검사를 의뢰하게 하여 안전성을 확인하도록 하는 제도
○ 또한, 계란을 전문적으로 선별‧세척‧건조‧살균‧검란‧포장하는 “식용란선별포장업”을 신설*하였습니다.
* 준비기간을 거쳐 ‘19년 4월 25일부터 가정용 계란부터 “식용란선별포장업”을 통해 유통되도록 하고 향후 단계적으로 조리․가공용까지 확대할 계획



[ 식품의약품안전처 2018-05-09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1469 인플루엔자 발생 증가, 예방접종과 개인위생수칙 준수 당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0 2019.12.13
1468 2006년생 여학생, 올해 12월말까지 사람유두종바이러스백신 1차 접종 완료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3 2019.12.12
1467 초미세먼지 전국적 ‘나쁨’, 기저질환자 건강 관리에 유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7 2019.12.10
1466 일부 아동용 겨울 점퍼 모자에 부착된 천연모에서 유해물질 검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3 2019.12.06
1465 “해외여행 전에 여행경보를 꼭 확인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6 2019.12.04
1464 동남아 패키지여행과 연계된 쇼핑센터 판매 제품 구입에 주의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5 2019.12.03
1463 난임치료를 위한 자가투여 주사제 안전사용 정보 제공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5 2019.12.03
1462 공공기관, 은행 등을 사칭한 불법대출 문자메시지 소비자 피해 주의 경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4 2019.12.03
1461 온라인 광고대행 관련 피해주의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7 2019.12.03
1460 착향제 구성 성분 중 알레르기 유발성분(식약처 고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3 2019.12.02
1459 겨울철 증가하는 고령소비자 낙상사고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5 2019.11.29
1458 만성질환자를 위한 자가투여 주사제 안전사용 정보 제공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5 2019.11.29
1457 본격적인 겨울 시작, 한랭 질환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6 2019.11.29
1456 패키지 해외여행 내 레저·체험활동 및 이동수단 안전관리 미흡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1 2019.11.28
1455 전기난로, 안전한 사용으로 화재 예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6 2019.11.21
1454 다이어트 보조식품 판매 사이트 `케토 플러스(Keto Plus)' 거래 주의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9 2019.11.21
1453 태양광 발전시설 설치 관련 소비자피해 주의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9 2019.11.21
1452 스페인 카탈루냐주 여행경보, 1단계(여행유의)로 하향 조정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7 2019.11.19
1451 10년 이상 장기 사용한 냉장고·김치냉장고 화재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4 2019.11.18
1450 다가오는 겨울, 가스보일러 사고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3 2019.11.15
Board Pagination Prev 1 ...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 220 Next
/ 2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