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12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주의 깊게 살피면, 생명을 살릴 수 있습니다
- 보건복지부, 심리부검(psychological autopsy) 결과 발표 -
- 보건복지부․경찰청 협력으로 자살유가족에게 지원 안내 강화 -

□ 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는 중앙심리부검센터(센터장 전홍진, 정신과 전문의)를 통해 실시한 심리부검 분석 결과를 발표하였다.
  ○ 심리부검이란 자살사망자의 유가족 진술과 기록을 통해 사망자의 심리행동 양상 및 변화를 확인하여 자살의 구체적인 원인을 검증하는 체계적인 조사 방법이다.
  ○ 이번에 발표된 결과는 2015년부터 2017년도까지 3년 간 중앙심리부검센터로 신청․의뢰된 자살사망자 289명 사례를 분석한 것으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자살 사망자 관련 분석 >
□ 자살사망자 대부분(92.0%)은 사망 전 언어‧행동‧정서상태(죽고싶다, 주변정리, 우울·불안 등)의 변화를 통해 자살징후를 드러내는 경고신호*를 보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 경고신호(Warning Signal) : 자살사망자가 자살에 대해 생각하고 있거나 자살할 의도가 있음을 드러내는 징후로 언어․행동․정서적 측면의 변화로 표현

<자살사망자가 자살 전에 보인 경고신호(복수응답)>

  ○ 그러나 자살 유가족의 21.4%만이 고인의 사망 전에 경고신호를 인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 고인의 사망 전에 자살 경고신호를 인지한 유가족들도 어떻게 대응할지 몰라 자살의사를 확인하거나 전문가에게 연계하는 등 적절하게 대처한 경우는 많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자살 유족의 자살 경고신호 조치 유형(복수응답)>


  ○ 특히 자살사망자 상당수는 약물‧알코올 등 자극을 추구*하거나(36.0%), 자해(12.8%) 또는 자살시도(35.6%)를 한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약물이나 알코올 남용, 충동구매, 무분별한 성행위, 과속운전 등 충동적이며 자기통제가 부족한 행동을 의미

□ 삶의 과정에서 발생한 경제문제, 가족‧대인관계 스트레스가 자살에 영향을 미쳤던 것으로 보인다.

  ○ 자살사망자의 스트레스 요인은 △정신건강 문제(87.5%) △가족관계(64.0%) △경제적 문제(60.9%) △직업관련 문제(53.6%) 순으로 나타났다.(복수응답)
   - 정신건강 문제와 관련하여서는 자살사망자 중 수면문제(62.3%), 체중증가 및 감소(42.6%), 폭식 또는 식욕감소 문제(39.8%)를 경험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 자살사망자의 경제적 문제는 △부채(71.0%), △수입감소(32.4%) 가 주요 유형으로 나타났다.(복수응답),
   - 부채발생 사유는 생활비 충당(24.8%), 주택구입(21.6%), 사업자금 마련(20.8%) 순으로 나타났다(복수응답).

□ 자살 경고신호와 자살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스트레스 요인, 자살경고 신호 등은 연령대별로 다른 양상을 보였다.

  ○【청년기(19세~34세)】△연애관계 스트레스‧학업 스트레스, △성인기 이전 부정적 사건을 경험한 비율(51.3%)이 타 연령대에 비해 높았다.
     * 아동기 부정적 사건이 아동의 뇌 발달에 영향을 미치고 자살에 기여한다는 기존 연구(Martin H, Teicher et al., 2014, Childhood maltreatment 등)와 일치
  ○【중년기(35세~49세)】△직업관련(59.4%) 및 경제적 문제 스트레스(69.8%)가 높고 특히 부채(주로 주택관련 부채)로 인한 스트레스가 타 연령대에 비해 높았다.
  ○【장년기(50세~64세)】△직장 스트레스(59.7%) 특히 실업 상태로 인한 문제 및 경제적 문제 스트레스(64.9%)가 높고 △정신건강 치료‧상담 받은 비율(59.7%)과 △과거 자살시도 경험(48.1%) 비율이 높은 것이 주요 특성이다.
  ○【노년기(65세 이상)】△신체건강과 관련한 스트레스 비중이 높고(80.6%), △혼자 지내거나 친구가 1~3명밖에 없는 등 사회적 관계가 취약한 경우가 타 연령대에 비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 자살 유가족 분석>
□ 중앙심리부검센터는 심리부검 면담에 참여한 자살유가족 중 유가족 352명의 동의를 얻어 자살유가족 특성을 조사‧분석하였다.
  ○ 심리부검 면담에 참여한 자살유가족은 고인의 배우자‧동거인(35.8%), 부모(26.4%) 자녀(21.3%) 순으로 나타났으며, 유가족 중 59.1%는 자살사고 발생 당시 사망자와 함께 거주하고 있었다.    ※ 심리부검 대상 자살사망자의 45.3%는 가족이 발견
□ 자살유가족은 자살사건 발생 후 일상생활의 변화와 더불어 심리적‧정서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유가족의 88.4%가 사별한 후 일상생활의 변화가 있었다고 응답했으며 특히 정서상의 변화, 대인관계의 변화가 두드러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 정서상의 변화 : 우울, 불안, 초조, 공포, 불면증 등   대인관계의 변화 : 친인척, 이웃, 친구, 직장동료 등과의 관계 회피 및 단절
  ○ 정신건강과 관련하여 유가족 대부분(80.1%)이 우울감을 느꼈고 이 중 95명(27.0%)은 심각한 우울증에 해당하였으며, 일부 유가족은 수면문제(36.4%) 및 음주문제(33.8%)를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한편, 심리부검 면담에 참여한 유가족의 63.6%는 고인이 자살로 사망했다는 것을 사실대로 알리지 못한 적이 있다고 답변했다.
   - 자살에 대한 사회적 편견이나 상대방의 충격을 걱정하여 유족의 부모 및 조부모, 자녀 등 가까운 가족에게도 알리지 못 하는 경우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보건복지부는 이번 심리부검 결과를 바탕으로 지난 1월 수립하여 추진 중인 「자살예방 국가행동계획(1.23.)」을 더욱 촘촘히 살피고 충실히 시행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 특히 “자살예방 게이트키퍼*” 교육 프로그램을 보강하겠다고 밝혔는데, “자살예방 게이트 키퍼”란 가족이나 친구, 이웃 등 주변인의 자살위험 신호를 신속하게 파악해서 적절하게 대응하도록 훈련받은 자살예방 사업이다.
     * 「자살예방 국가 행동계획(1.23.)」에 따라 지역사회 풀뿌리 조직 등 활용하여 자살예방 게이트키퍼 100만 명 양성 추진 중(※ 국제적으로 그 효과성을 인정)

 □ 또한 주변의 지인에게도 자살사고 발생을 꺼리는 자살유가족들을 보다 적극적으로 발굴‧지원하기 위하여, 자살유가족을 가장 먼저 접촉하는 경찰 등과 협조체계를 강화하기로 하였다.
  ○ 경찰청(청장 이철성)은 전국 경찰관서(254개)를 통해 자살사망 사건 수사 시 유가족에게 유가족 지원*, 복지서비스 안내 등이 담긴 홍보물을 제공하여 유가족 관련 지원 사항을 적극적으로 알릴 예정이다.
   * 정신건강복지센터(243개소)를 통한 상담 및 자조그룹 지원과 유가족 상담을 통한 심리부검 그리고 자살유가족에 대한 심리상담․치료비 지원
  ○ 아울러, 보건복지부는 앞으로 자살유가족 발굴과 갑작스러운 가장의 자살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분들에 대한 지원방안을 마련하여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
□ 한편, 중앙심리부검센터 전홍진 센터장은 “가족·친구 등 주변 사람들이 이전과 다른 언어적, 정서적, 행동적 변화를 보인다면 지역의 정신건강복지센터(1577-0199) 및 정신의료기관 등 자살예방 전문기관에게 연결하여야 한다.”고 전했다.
  ○ 또한, “주변의 관심을 통해 살릴 수 있는 생명이 있다는 것을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하였다.

 


[ 보건복지부 2018-05-03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1813 미생물 증식 가능성 있어 리콜된 Floradix 영양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1 2023.02.10
1812 과충전 방지 기능 미흡하여 발열 및 발화 위험있는 Barebones LED램프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1 2023.04.04
1811 개인형 전동 이동수단, 품질 관련 소비자피해 급증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2 2017.11.15
1810 2월에는 어떤 재난안전사고를 주의해야 할까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2 2018.01.30
1809 UPPAbaby 유모차 시트(RumbleSeat), 시트 어댑터 분리 현상 발생하여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2 2018.06.20
1808 Amazonliss 헤어제품, 암 유발 가능성 있어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2 2019.03.12
1807 모기 감시를 통해 뎅기바이러스 유전자 검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2 2019.07.16
1806 국제거래 소비자의 10% 이상이 소비자피해 경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2 2020.07.29
1805 Aigo 보조배터리 발화 위험 있어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2 2020.08.19
1804 가상통화 투자설명회를 통한 코로나19 확산에 유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2 2020.09.07
1803 금속성 이물 또는 유리조각 혼입 가능성 있는 음료 가루(11)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2 2022.02.14
1802 2-클로로에탄올 성분 함유된 Boots 영양제[3]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2 2022.03.08
1801 살모넬라균 오염 가능성 있는 Kinder 초콜릿(3)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2 2022.06.08
1800 가연성 표준 미준수한 Newcosplay 동물잠옷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2 2023.04.10
1799 봄 나들이 갈 때 교통안전도 챙기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3 2018.04.06
1798 유행성각결막염 감염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3 2018.06.01
1797 Polaris Scrambler ATV, 야간 주행 시 충돌 위험으로 인한 후부 반사경 무상 장착 조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3 2018.06.20
1796 Collegiate 말안장, 사용자 낙상 위험으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3 2019.02.07
1795 신학기 학교생활 시작, 인플루엔자·홍역·수두 등 감염병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3 2019.02.27
1794 비브리오패혈증 환자발생 증가, 예방수칙 준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3 2019.08.30
Board Pagination Prev 1 ...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 217 Next
/ 21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