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에취! 알레르기성 비염’…봄보다 가을에 주의해야

9월 평균 진료인원 115만명으로 3월보다 30% 많아

※ 알레르기성 비염이란?

꽃가루 등 알레르기를 일으킬 수 있는 여러 원인으로 인해 코 점막이 자극을 받아 생기는 질환으로 지속적인 재채기, 맑은 콧물, 코막힘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감기 증상과 비슷하나 감기와 달리 발열증상이 없고 지속기간이 길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손명세, 이하 심사평가원)은 ‘알레르기성 비염’에 대해 최근 5년간(2010~2014년) 심사결정자료(건강보험 및 의료급여)를 분석한 결과,

알레르기성 비염 진료인원은 최근 5년간(2010~2014년) 9월 평균 진료인원이 114만6천명으로 전월보다 2배 이상, 3월에 비해 30% 이상 증가를 보였다.

2014년 기준 진료인원은 약 635만명으로, 5년 전에 비해 13.2%가 증가하였으며,

특히 10세 미만 유․소아가 전체 진료인원의 24.3%(4명 중 1명)를 차지하여, 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알레르기성 비염’은 주로 환절기에 진료인원이 많이 발생하며, 크게 통연성 비염(집먼지 진드기 등)과 계절성 비염(봄․가을 꽃가루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 같은 비염은 9월에 진료인원이 가장 많은데, 이는 봄․가을철에 꽃가루 등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인자들이 많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표1. <알레르기성 비염> 월별 진료인원 현황 (2010~2014년 평균)

(단위: 명)

<알레르기성 비염> 월별 진료인원 현황 (2010~2014년 평균)
연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2010년 788,099 670,734 786,154 820,834 733,393 515,149 427,028 427,427 1,041,434 1,061,377 866,285 826,073
2011년 705,934 632,333 838,617 800,025 728,436 515,470 433,285 568,393 1,140,252 1,031,201 867,691 1,014,319
2012년 873,867 834,590 896,333 862,849 841,720 526,380 454,272 491,704 1,130,446 1,104,959 939,724 814,408
2013년 808,678 808,770 943,145 952,314 854,552 529,816 479,212 560,410 1,189,344 1,069,586 997,943 879,771
2014년 923,987 953,764 936,639 1,010,170 817,314 553,228 551,123 635,346 1,228,636 1,117,848 1,085,745 1,005,335
평균 820,113 780,038 880,178 889,238 795,083 528,009 468,984 536,656 1,146,022 1,076,994 951,478 907,981

※ 월별 진료인원은 요양개시일 기준임.

‘알레르기성 비염’은 2014년 기준 전체 진료인원 4명 중 1명이 10세 미만 유․소아로 약 156만2천명이 진료를 받았고, 특히 영유아에게 많이 나타난 것으로 드러났다.

표2. <알레르기성 비염> 연령별/성별 진료인원 및 점유율 (2010년~2014년)

<알레르기성 비염> 연령별/성별 진료인원 및 점유율 (2010년~2014년)
구 분 진 료 인 원 (명) 연 령 별 점 유 율 (%)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0~ 9세 1,248,384 1,284,407 1,426,782 1,611,940 1,562,469 22.0% 22.7% 23.4% 26.0% 24.3%
670,079 685,802 759,102 854,508 827,711 26.1% 26.6% 27.2% 29.9% 27.9%
578,305 598,605 667,680 757,432 734,758 18.6% 19.4% 20.1% 22.7% 21.3%
10~ 19세 945,464 904,913 916,582 876,601 903,212 16.7% 16.0% 15.0% 14.1% 14.1%
499,793 480,687 485,455 467,208 479,343 19.5% 18.6% 17.4% 16.3% 16.1%
445,671 424,226 431,127 409,393 423,869 14.3% 13.8% 13.0% 12.3% 12.3%
20~ 29세 637,735 612,034 640,499 615,764 640,244 11.2% 10.8% 10.5% 9.9% 10.0%
230,622 228,271 243,244 240,906 258,513 9.0% 8.9% 8.7% 8.4% 8.7%
407,113 383,763 397,255 374,858 381,731 13.1% 12.5% 12.0% 11.2% 11.1%
30~ 39세 881,067 850,983 911,628 882,040 913,324 15.5% 15.0% 14.9% 14.2% 14.2%
323,681 315,945 342,071 332,940 350,769 12.6% 12.3% 12.3% 11.6% 11.8%
557,386 535,038 569,557 549,100 562,555 17.9% 17.4% 17.2% 16.5% 16.3%
40~ 49세 755,511 755,021 799,947 784,907 843,426 13.3% 13.3% 13.1% 12.7% 13.1%
308,655 311,465 331,959 327,243 353,588 12.0% 12.1% 11.9% 11.4% 11.9%
446,856 443,556 467,988 457,664 489,838 14.4% 14.4% 14.1% 13.7% 14.2%
50~ 59세 566,654 608,513 672,999 677,603 731,430 10.0% 10.8% 11.0% 10.9% 11.4%
240,354 260,341 287,249 291,228 315,461 9.4% 10.1% 10.3% 10.2% 10.6%
326,300 348,172 385,750 386,375 415,969 10.5% 11.3% 11.6% 11.6% 12.1%
60~ 69세 369,585 363,658 403,864 403,988 444,012 6.5% 6.4% 6.6% 6.5% 6.9%
169,617 168,875 187,523 187,927 207,031 6.6% 6.5% 6.7% 6.6% 7.0%
199,968 194,783 216,341 216,061 236,981 6.4% 6.3% 6.5% 6.5% 6.9%
70세 이상 270,912 278,960 329,753 345,088 382,691 4.8% 4.9% 5.4% 5.6% 6.0%
122,218 127,737 150,395 158,884 177,130 4.8% 5.0% 5.4% 5.6% 6.0%
148,694 151,223 179,358 186,204 205,561 4.8% 4.9% 5.4% 5.6% 6.0%

※ 연령별 점유율은 각 성별내에서의 점유율임.

생일을 전후하여 진료를 받아 만(滿)나이가 변경된 경우에는 연령 별로 중복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단순합계로 환자수를 계산하는 경우 다수의 중복 환자수가 나타날 수 있으므로 자료 이용 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최근 5년간 (2010~2014년)의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심사결정 자료를 이용한 ‘알레르기성 비염‘의 진료 추이를 살펴보면,

진료인원은 2010년 약 560만8천명에서 2014년 약 635만명으로 5년 전에 비해 74만2천명(13.2%) 증가하여 연평균 증가율은 3.2%이며,

총 진료비는 2010년 약 1,678억원에서 2014년 약 2,181억원으로 5년 전에 비해 약 503억원(30.0%)이 증가하여 연평균 증가율은 6.8%를 보였다.

표3. <알레르기성 비염> 성별 진료인원 및 총진료비 현황 (2010년~2014년)

<알레르기성 비염> 성별 진료인원 및 총진료비 현황 (2010년~2014년)
구 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진료인원 (명) 5,607,634 5,595,567 6,032,599 6,133,047 6,349,940
2,534,663 2,550,571 2,755,324 2,830,902 2,936,269
3,072,971 3,044,996 3,277,275 3,302,145 3,413,671
총진료비 (천원) 167,805,512 172,218,675 186,664,960 195,109,878 218,117,613
79,767,226 82,526,722 89,143,305 94,068,245 105,497,471
88,038,286 89,691,954 97,521,655 101,041,633 112,620,142

‘알레르기성 비염’은 집먼지 진드기, 꽃가루, 기후변화 등 알레르기를 일으킬 수 있는 요인들에 의해 코 점막이 자극을 받아 발생하는 질환으로 지속적인 재채기, 맑은 콧물, 코 막힘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증상이 감기와 비슷하나 자극을 받았을 때 갑자기 발생하며, 발열증상은 없으나

위와 같은 증상 외에도 눈의 충혈, 눈․코 주위의 가려움, 후각 감퇴, 두통 등의 증상이 동반될 수 있으며, 중이염, 부비동염, 인후두염, 결막염 등의 합병증이 나타날 수 있다.

‘알레르기성 비염’의 치료 방법으로는 약물요법, 면역요법, 수술요법 등이 있다.

약물요법으로는 항히스타민제 및 경구용․경비강 스테로이드 등이 널리 쓰이고 있지만 부작용에 주의해야 한다.

면역요법은 환자가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키는 항원을 약한 강도로 투여하는 방법으로 오랜 기간 지속해야 효과를 볼 수 있다.

‘알레르기성 비염’을 예방하기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은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환경을 피하는 것으로 집먼지 진드기 및 애완동물의 털 제거를 위해 주기적인 침구류 청소는 물론, 환절기 꽃가루 등이 많이 날리는 기간에는 마스크를 착용한다

심사평가원 노영수 심사위원은 “알레르기성 비염은 원인인자를 피하는 것이 가장 좋은 예방법이며, 개인마다 원인이 다르므로 평소 자신에게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원인인자들이 무엇인지 정확히 알아둘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보건복지부 2015-08-27]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230 자동차사고 과실기준이 더욱 명확해집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7.12 27
3229 자동차사고 과실비율 산정의 신뢰성이 제고됩니다 - 자동차사고 과실비율 인정기준 등 개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5.27 49
3228 자동차세 과세기준 개편 착수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9.20 13
3227 자동차세 등 상습 체납차량 일제 단속 실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5.22 29
3226 자동차세, 재산세 등 지방세 챗봇으로 24시간 상담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6.13 344
3225 자동차압류 해제, 포털에서 한 번에 해결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10 164
3224 자동차야영장의 화재, 차량사고 등 안전사고 예방 강화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12.29 11
3223 자동차에 대한 궁금증과 민원, 한 번에 해결…‘자동차365’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2.27 29
3222 자동차용 선팅필름, 제품별로 태양열 차단 성능에 차이 있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8.22 11
3221 자동차용 타이어 안전성조사 결과, 2개 제품 리콜명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1.24 10
3220 자동차정기검사 시 자동차등록증 제출폐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9.28 19
3219 자동차정비, 수리불량·부당 수리비 청구 등 소비자불만 많아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3.30 380
3218 자동차종합제공서비스(자동차365)가 보다 편리해집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1.10 38
3217 자립에 어려움을 겪는 자립준비청년이 일정 기간 다시 보호될 수 있도록 세부 규정 마련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4.29 16
3216 자립준비청년 자립수당 8월부터 30만원 → 35만원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7.28 7
Board Pagination Prev 1 ... 706 707 708 709 710 711 712 713 714 715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