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18-05-02조회수441

- 선물용 건강기능식품‧화장품‧의료기기 구매 요령 -

□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류영진)는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선물용 건강기능식품, 화장품, 의료기기를 현명하게 구입하고 올바르게 사용하는 방법을 제공한다고 밝혔습니다.
○ 가정의 달을 앞두고 제공하는 안전정보 주요 내용은 ▲건강기능식품 구매요령 및 섭취 주의사항 ▲선물용 화장품의 구매요령 ▲올바른 의료기기 구매 및 사용 요령 등입니다.

<건강기능식품 구매요령 및 섭취 주의사항>
○ 가정의 달을 맞아 부모님‧어르신께 건강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홍삼, 프로바이오틱스, 비타민 및 무기질 제품 등을 선물할 때에는 ‘건강기능식품이 고혈압, 당뇨, 관절염 등 질병 예방과 치료에 효과가 있다’는 표시·광고에 현혹되어 구입하는 일이 없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건강기능식품은 건강에 도움을 주는 식품이지 의약품이 아니므로 질병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가 있다고 광고하는 것은 허위‧과대‧비방 표시‧광고에 해당됩니다.
* ‘16년 건강기능식품 판매 상위품목(매출액, 억원): 홍삼(9,900), 프로바이오틱스(1,903), 비타민 및 무기질(1,843), 밀크씨슬 추출물(1,091), EPA 및 DHA 함유 유지(700), 알로에(475), 루테인(309), 가르시니아캄보지아 추출물(278)
○ 건강기능식품을 구매(인터넷 쇼핑몰 포함)할 때는 제품에 ‘건강기능식품’이라는 문구 및 인증 도안(마크)이 표시되어 있는지 한글표시가 인쇄 또는 부착되어 있는지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참고로 식약처로부터 기능성이 입증되지 않은 일반식품은 건강기능식품이라는 문구‧도안이 없으며, 건강기능식품으로 인정받은 정식 제품인지 여부는 식품안전정보포털 식품안전나라 ‘건강기능식품’에서 제품명 또는 업소명 등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식품안전나라(www.foodsafetykorea.go.kr)>식품전문정보>건강기능식품
* 국내제조, 정식 수입제품 모두 식약처에서 인정한 제품별 기능성을 포함한 수입(제조) 업소명, 원재료명, 유통기한 등과 같은 한글표시 사항 확인
○ 건강기능식품은 질병을 예방하거나 치료 하는 ‘약’은 아니지만,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로 제조한 식품으로 올바르게 섭취한다면 건강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 건강기능식품은 안전성과 기능성이 확보되는 일일섭취량이 정해져 있으므로 제품에 표시된 섭취량, 섭취방법, 섭취 시 주의사항을 확인해야 하며, 질병으로 병원 치료를 받거나 의약품을 복용하는 경우에는 의사와 상담을 받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 건강기능식품을 섭취하면서 부작용이 발생할 경우 1577-2488 또는 식품안전나라(www.foodsafetykorea.go.kr) ‘건강기능식품 부작용 추정사례 신고센터’를 이용해 신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화장품 구매요령 및 주의사항>
○ 선물용으로 화장품 세트 등을 구매할 때에는 제품 외부포장이나 용기 등에 사용기한(또는 개봉 후 사용기간), 사용 시 주의사항 등을 꼼꼼히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16년 화장품 생산실적 상위품목(생산액, 억원): 기초화장용 제품(75,858), 색조화장용 제품(22,919), 두발용 제품(14,098), 인체세정용 제품(11,637), 눈화장용 제품(2,952)
- 단순히 가격이 높은 화장품 보다는 피부 건조‧자외선 취약 정도 등 피부 상태나 선호하는 제품 유형 등을 고려하여 선택하는 것이 실속 있는 화장품 선물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화장품은 피부미용이나 청결 등을 위해 사용하는 것이므로 아토피‧여드름 치료, 리프팅 등의 효능·효과를 표방하는 광고에 현혹되지 구매하는 일이 없도록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또한 기능성을 인정받지 않은 일반 화장품을 ‘주름개선’, ‘미백’ 및 ‘자외선차단’과 같이 기능성화장품으로 광고하는 사례도 있어 ‘기능성화장품’이라는 문구를 반드시 확인한 후 구매하시기 바랍니다.
* 기능성화장품 관련 자세한 내용은 식약처 전자민원창구(ezcos.mfds.go.kr/kfda2) → 정보마당 → 화장품정보 →제품정보·보고제품정보에서 확인
○ 아울러 다채로운 어린이날 행사에 등장하는 페이스페인팅에는 ‘화장품’으로 표시된 분장용 화장품을 사용하고 공산품(색채물감 등)을 피부에 직접 사용하지 않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KC마크(), 학용품, 어린이용 완구로 표시된 제품은 화장품이 아님

<의료기기 구매요령 및 올바른 사용방법>
○ 어르신께 의료용진동기, 개인용저주파자극기, 의료용자기발생기, 혈압계 등의 의료기기를 선물용 구입할 때는 반드시 의료기기로 허가‧인증 또는 신고 받은 제품인지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 ‘17년 개인용 의료기기 생산·수입 상위품목(백만원) : 매일착용소프트콘택트렌즈(326,664), 안경렌즈(146,437), 개인용체외진단검사시약Ⅱ(94,983), 개인용온열기(79,975), 개인용혈당측정시스템(76,604), 기도형보청기(67,284),개인용조합자극기(59,059)
- 아울러 공산품을 의료기기인 것처럼 광고·판매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제품에 표시된 사항을 반드시 확인한 후에 구입하시기 바랍니다.
* 의료기기 허가사항은 ‘의료기기전자민원창구’ (http://emed.mfds.go.kr/) → 정보마당 → 제품정보방 → 업체/제품정보에서 확인
* 개인용저주파자극기 : 경피적으로 진통이나 근위축 개선에 이용하는 신경 및 근자극 장치
* 의료용자기발생기 : 근육통의 완화 등을 목적으로 영구 자석의 자계를 이용하는 기구
○ 근육통 완화의 목적으로 허가받은 개인용저주파자극기를 ‘혈당, 고지혈, 콜레스테롤 개선에 도움을 준다’라고 광고하거나, 혈액순환개선의 목적으로 허가받은 의료용자기발생기를 ‘체중감소, 변비해소’ 등 허가받은 목적 이외의 효능이 있는 것처럼 거짓·과대 광고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현혹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 구입한 의료기기는 사용하기 전에 첨부문서 등에 기재되어 있는 사용목적, 사용방법, 사용 시 주의사항을 충분히 확인‧숙지하여 올바른 방법으로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 의료기기를 사용하면서 부작용이 발생할 경우 의료기기전자민원창구(http://emed.mfds.go.kr/) ‘이상사례 보고’를 이용해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 식약처는 건강기능식품, 화장품, 의료기기를 현명하게 선택하고 올바르게 사용하여 건강한 가정의 달을 보내시길 바란다고 밝혔습니다.



[ 식품의약품안전처 2018-05-02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823 65세 이상 틀니·인플란트 건강보험 적용 등 보장성 확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4.05 497
1822 65세 이상 인플루엔자 예방접종 사전예약 실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9.28 38
1821 65세 이상 어르신의 건강보험 보장율, 67.5%에서 70.6%로 확대(´13→´14)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5.19 126
1820 65세 이상 어르신 치과 임플란트 본인부담 50%에서 30%로 낮아진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4.25 54
1819 65세 이상 노년층 등록장애인 지속 증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4.20 7
1818 65세 이상 73%, 6-59개월 54% 인플루엔자 접종 마쳐, 가능하면 11월 15일 이전 완료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0.25 43
1817 65세 이상 547만명 인플루엔자 접종 완료, 미접종 어르신은 11월 안에 예방접종 받으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0.31 76
1816 65세 어르신, 올해엔 가까운 병.의원에서 폐렴구균 예방접종 맞으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6.19 5
1815 65만 명에게 본인부담상한액 초과 의료비 8,000억 원 환급 실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8.14 55
1814 65개 법령 속 숨은 차별 없앤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6.12 26
1813 64만여 가구에 가구당 50만 원 또는 20만 원 한시 생계지원금 지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6.25 15
1812 60세 이상 연령층 4차접종, 80세 이상 적극 권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4.21 57
1811 60세 이상 연령층 4차접종 시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4.13 9
1810 60세 이상 국민들께 예방접종은“ 건강지킴이 ”입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5.14 34
1809 60대 인구 10명 중 1명은 「고지혈증」 환자 수는 여성이 남성보다 1.5배 많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8.21 37
Board Pagination Prev 1 ... 794 795 796 797 798 799 800 801 802 803 ... 920 Next
/ 9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