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18년 3월 항공여객은 전년 동월 대비 12.6% 증가(국제여객 17%, 국내여객 1.6% 증가)한 958만 명을 기록했다.

국토교통부(장관 김현미)는 2018년 3월 국제여객 및 국내여객이 전년 동월 대비 각각 17%, 1.6% 증가했고, 항공화물은 전년 동월 대비 3.2%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 여객(만 명): 614(’14. 3.) → 722(’15. 3.) → 782(’16. 3.) → 851(’17. 3.) → 958(’18. 3.)
* 화물(만 톤): 32.4(’14. 3.) → 34.3(’15. 3.) → 34.1(’16. 3.) → 37.6(’17. 3.) → 38.8(’18. 3.)


국제선 여객*은 원화강세로 인한 내국인 여행수요 상승과 중국·일본·대만 외국인 입국자 증가 등으로 전년 동월 대비 17% 성장한 710만 명을 기록했다.

* 여객(만 명): 430(’14. 3.) → 511(’15. 3.) → 554(’16. 3.) → 607(’17. 3.) → 710(’18. 3.)


지역별로는 일본(22.1%)·동남아(19.7%)·미주(16.3%)노선을 중심으로 대부분 노선에서 증가세를 보였으며, 특히, 중국노선*에서 중국의 한국행 단체여행 판매 제한이 시작된 ‘17.3월 이후 1년 만에 10.4% 증가세를 보였으나, ‘16.3월에 비해서는 여전히 감소세(-14%)를 보여 아직까지 완전한 회복은 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 전년 동월 대비(%) : (3월) -22.5 → (5월) -47 → (5월) -45.6 → (6월) -44.9 → (7월) -45.2 → (8월) -38.8 → (9월) -31.1 → (10월) -29 → (11월) -22.3 → (12월) -16.2 → (18.1월) -22.1 → (18.2월) -21 → (18.3월) 10.4


공항별로는 ‘17년 2월부터 감소세를 보였던 제주공항이 13개월 만에 (+) 성장세로 전환되어 전년 동월 대비 41% 증가하는 등 무안(93.8%), 대구(74.9%) 공항 등 대부분의 공항에서 성장세를 나타냈다.

항공사별로는 국적 대형항공사가 전년 동월 대비 11.1% 증가*하였으며, 저비용항공사는 전년 동월 대비 34.9% 증가하여 국적사 분담률**은 69.3%를 기록했다.(대형 40.4%, 저비용 28.9%)

* 공급석(334→350만 명, 4.7%) 증가, 중국(17.9%), 미주(13.7%), 동남아(13%) 등의 여객 수요 증가 영향
** 국적사 분담률(%): 64.7(’14. 3.) → 62.8(’15. 3.) → 65.2(’16. 3.) → 67.6(’17. 3.) → 69.3(’18. 3.) 저비용항공사 분담률(%): 11.2(’14. 3.) → 12.6(’15. 3.) → 17.8(’16. 3.) → 25.1(’17. 3.) → 28.9(’18. 3.)


국내선 여객은 제주노선 및 내륙노선에서 각각 1.3%, 3.1% 상승세를 보여 전년 동월 대비 1.6% 증가한 248만 명을 기록했다.

* 국내여객(만 명): 184(’14. 3.) → 210(’15. 3.) → 228(’16. 3.) → 244(’17. 3.) → 248(’18. 3.)


공항별로는 울산(68.3%), 광주(19%)공항 등에서 두 자릿수 증가율을 보였으며, 청주(-3.5%), 인천(-2.6%), 김 포(-1.2%)공항 등은 감소세를 나타냈다.

항공사별로는 국적 대형항공사의 국내여객 운송량은 101만 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0.8% 감소하였고, 저비용항공사는 147만 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3.2% 증가하여 59.3%의 분담률*을 기록했다.

* 저비용항공사 분담률(%): 48.7(’14. 3.) → 54.5(’15. 3.) → 57.9(’16. 3.) → 58.3(’17. 3.) → 59.3(’18. 3.)


항공화물의 경우 무선통신기기 물동량 부진으로 순화물은 하락하였으나, 국제여객 증가에 의한 수하물 증가로 전년 동월 대비 3.2% 성장한 약 39만 톤을 기록했다.

* 항공화물(만 톤): 32.4(’14. 3.) → 34.3(’15. 3.) → 34.1(’16. 3.) → 37.6(’17. 3.) → 38.8(’18. 3.)
* 수하물 제외 항공화물(만 톤): 25.2(’14. 3.) → 25.8(’15. 3.) → 25.2(’16. 3.) → 28.2(’17. 3.) → 27.9(’18. 3.)


국제화물은 중국(4.8%)·미주(4.6%)·일본노선(3.6%) 등을 중심으로 전 지역 노선 증가세로 전년 동월 대비 3.2% 상승한 약 36만 톤을 기록했다.

* 국제화물(만 톤): 30.1(’14. 3.) → 31.8(’15. 3.) → 31.7(’16. 3.) → 35.2(’17. 3.) → 36.3(’18. 3.)
* 수하물 제외 국제화물(만 톤): 23.9(’14. 3.) → 24.3(’15. 3.) → 23.9(’16. 3.) → 26.8(’17. 3.) → 26.5(’18. 3.)


국내화물은 내륙노선(-3.1%)은 감소하였으나, 제주노선(2.8%) 증가로 전년 동월 대비 2.3% 상승한 2.5만 톤을 기록했다.

* 국내화물(만 톤): 2.3(’14. 3.) → 2.5(’15. 3.) → 2.4(’16. 3.) → 2.4(’17. 3.) → 2.5(’18. 3.)
* 수하물 제외 국내화물(만 톤): 1.3(’14. 3.) → 1.5(’15. 3.) → 1.4(’16. 3.) → 1.3(’17. 3.) → 1.4(’18. 3.)


국토교통부 관계자는 “인천공항 제2여객터미널(‘18.1.18개항)의 안정적인 운영과 더불어 중국노선 회복세 및 봄맞이 국내외 여행수요 증가 등으로 항공여객 성장세는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전했다.

 

[국토교통부 2018-04-27]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318 농관원, 제과점 ‘유기’ 표시 일제단속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10 74
8317 농관원, 중국산 깐마늘 포장갈이 판매업체 적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5.02 337
8316 농관원, 추석명절 농식품 원산지위반 547개소 적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0.16 40
8315 농관원, 학교급식 농산물 산지에서부터 안전관리!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08 63
8314 농관원, 휴가철 축산물 이력제 특별 합동단속 실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7.13 78
8313 농기계종합보험 가입시 농기계 안전장치 부착여부 확인은 필수 !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1.02 12
8312 농부의 정성담은 제철과일, 초등생에게 간식으로 나온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2.11 54
8311 농사에 요긴한 농업활동 지원정보, 공공데이터포털에 다(多) 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5.16 59
8310 농산물 안전성 조사결과 세부 정보 실시간 공개!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4.01 104
8309 농산물 잔류농약 엄격하게 관리하겠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2.22 33
8308 농산물 품질 구분이 쉬워진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12 86
8307 농산물에 남아있는 농약이 걱정되세요? 농약 PLS가 걱정을 덜어드립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3.30 53
8306 농산물의 생산자를 위한 직접지불제도 시행규정 개정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31 103
8305 농산물의 생산자를 위한 직접지불제도 시행규칙 개정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4.07 74
8304 농수산물 원산지표시 위반 재범자 처벌 대폭 강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2.02 58
Board Pagination Prev 1 ... 366 367 368 369 370 371 372 373 374 375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