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국토교통부(장관 유일호)는 기관사 등 철도종사자(기관사, 관제사, 승무원, 공사현장 감독)의 음주ㆍ약물사용에 대해 단속을 강화할 계획이다.

국토교통부 소속 철도경찰대는「철도안전법」(제41조)에 따라 열차탈선, 충돌ㆍ추돌 등 철도사고가 발생하는 경우에 철도종사자 음주ㆍ약물사용 여부를 단속하고 있다.

철도경찰대의 철도종사자에 대한 음주ㆍ약물단속은 ‘음주ㆍ약물복용 확인ㆍ검사 업무지침’에 따라 경찰청의 음주ㆍ약물단속과 유사한 방법과 장비를 사용하고 있다.

음주단속은 호흡기 측정으로 시행하고, 필요시 혈액을 채취하여 검사 하고 있으며 약물복용 검사는 철도사고가 발생하거나, 약물복용의 의심이 있을 경우 단속 장비로 측정을 하고 양성반응이 나오면 국립과학수사연구소에 정밀 의뢰하고 있다.

철도경찰대는 음주ㆍ약물단속 장비의 정확성과 신뢰성 유지를 위해서 6개월마다 국가공인기관의 검정과 교정을 받고 있다.

철도종사자가 술을 마시고 혈중 알코올 농도 0.03% 이상 또는 약물을 복용하고 측정시 양성반응이 나올 경우, 2년이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 벌금과 행정처분을 하고 있다.
* 행정처분은 술에 만취한 상태(혈중 알코올농도 0.1% 이상)에서 운전한 경우에 면허취소, 술을 마신 상태의 기준(혈중 알코올 농도 0.05% 이상)을 넘어서 운전을 하다가 철도사고를 낸 경우 면허취소, 술을 마신 상태(혈중 알코올 농도 0.05% 이상 0.1% 미만)에서 운전한 경우에 1차 효력정지 3개월 2차 적발시 면허취소를 규정하고 있다.
 

<참고: 현행 운전면허 취소ㆍ효력정지 처분의 세부기준>

위반사항 및 내용

처분기준

1차 위반

2차 위반

1. 법 제41조제1항을 위반하여 술에 만취한 상태(혈중 알코올농도 0.1퍼센트 이상)에서 운전한 경우

면허취소

 

2. 법 제41조제1항을 위반하여 술을 마신 상태의 기준(혈중 알코올농도 0.05퍼센트 이상)을 넘어서 운전을 하다가 철도사고를 일으킨 경우

면허취소

 

3. 법 제41조제1항을 위반하여 약물을 사용한 상태에서 운전한 경우

면허취소

 

4. 법 제41조제1항을 위반하여 술을 마신 상태(혈중 알코올농도 0.03퍼센트 이상 0.1퍼센트 미만)에서 운전한 경우

효력정지 3개월 이상

면허취소


국토교통부는 앞으로 음주단속을 강화하고 행정처분도 대폭 상향할 계획이다.

우선, 철도종사자의 운전면허취소ㆍ효력정지 처분을 혈중알코올 농도 수치별로 세분화(0.03%~0.06%~0.09%이상)하고, 처분기준도 강화 할 계획이다.

철도사고 뿐만 아니라 철도사고로 발전될 위험성이 있는 경우* 에도 음주ㆍ약물단속을 시행할 계획이다.
* 열차가 정지신호를 지나쳐 다른 열차 또는 철도차량의 진로를 지장한 경우, 측선에서 탈선한 철도차량이 본선을 지장하는 경우 등

또한, 철도차량 및 시설 점검ㆍ정비업무 철도종사자도 음주ㆍ약물 제한 대상자로 확대할 계획이다.
* (현행) 음주제한 철도종사자, 철도안전법 시행령 제43조) 기관사, 관제사, 승무원, 공사현장 감독자, 열차조성 업무자 → (추가) 철도차량 및 시설 점검ㆍ정비업무 종사자

이밖에도 시ㆍ도지사로 하여금 도시철도 종사자에 대한 음주ㆍ약물단속을 강화하도록 지시하고, 미흡하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철도경찰로 단속을 일원화 하는 방안도 추진할 계획이다.

 

[국토교통부 2015-08-27]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183 신용카드 여러 장 분실하셨어요? 전화 한 통이면 해결됩니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0.05 275
5182 신용카드 이용 관련 알림서비스 강화 추진 현황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1.19 56
5181 신용카드 포인트 사용이 더욱 편리해 집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5.29 23
5180 신용카드 혜택서비스 소비자 만족도, 정보제공 부문 높고, 이용조건·이벤트 행사 부문은 낮아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1.16 70
5179 신용카드‘부가 서비스(상품)’불이행 피해 많아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2.20 122
5178 신용카드를 이용한 신종 사기실태 및 대응방안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5.18 149
5177 신용카드사 채무면제·유예상품, 불완전판매 여전해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3.25 202
5176 신용카드사 카드론 분석 보도자료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4.20 39
5175 신용카드사, '신용정보보호서비스' 중복판매 시정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6.15 87
5174 신용카드와 도서시장 소비자지향성 최고, 휴대폰 단말기와 자동차수리서비스 최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13 101
5173 신용평가 정보제공의 충실성 확보를 위한 세칙 개정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2.06 127
5172 신용협동조합법 일부개정법률안 입법예고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5.31 100
5171 신유형 상품권 불공정 약관 조항 시정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1.11 90
5170 신유형 상품권 표준약관 개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2.14 13
5169 신유형 상품권 표준약관 및 소비자분쟁해결기준 개정 추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8.21 9
Board Pagination Prev 1 ... 570 571 572 573 574 575 576 577 578 579 ... 920 Next
/ 9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