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모바일 쇼핑 소비자피해 비중, 2년 사이 230% 증가

 

- 서울시 전자상거래센터, 2017년 전자상거래 피해상담 8,364건 분석, 유형 발표
- 계약 취소, 반품/환불 거절이 64.3%로 가장 많고, 해외구매 피해 연말집중

- 10대 소비자, 개인간거래 피해 취약 교환/환불거부, 연락두절 순
- 시, 모바일로 간편 상담 지원+지속적인 모니터링으로 전자상거래 피해예방 강화할 것

 

□ 서울시는 2017년 서울시 전자상거래센터에 접수된 소비자 피해 상담 분석결과를 23일(월) 발표했다.

 

□ 전자상거래센터에 접수된 전체 상담 8,364건의 소비자 피해 중 모바일 쇼핑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5년 25%에서 2017년 59%로 증가한 것으로 집계되었다. 시기별로는 블랙프라이데이 등 해외 유명 쇼핑시즌이 몰려있는 11월과 12월에 소비자 피해가 집중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2017년 온라인쇼핑 거래액 규모는 47조8천3백여 억 원으로, 이중 모바일 쇼핑은 63.3%를 차지한다.
 
□ 전체 상담 8,364건 중 ‘계약취소 및 반품?환불’ 관련 소비자피해가 5,377건(64.3%)로 가장 높았으며, ‘운영중단·폐쇄·연락불가’ 923건(11.0%), ‘배송지연’ 681건(8.1%), ‘제품불량·하자’ 572건(6.8%) 순으로 나타났다.

 

<모바일 쇼핑 지속 증가, SNS 쇼핑피해는 반품·교환 거절사례 가장 많아> 

□ 모바일 쇼핑 중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밴드 등의 SNS와 블로그를 통한 비중은 73%(814건 중 594건)를 차지하는 것으로 집계되었다. 모바일 기기에서 상품의 검색부터 계좌이체, 카드결제 등 구매까지 편리하게 진행할 수 있어 이러한 증가추이는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 하지만, 소비자가 교환이나 반품을 요구하는 경우 전자상거래법에 따라 상품 수령 후 7일 이내에 청약철회가 가능함에도 SNS를 통한 판매의 경우 판매자가 이를 일방적으로 거부하는 사례가 많아 구매 전 환불에 대한 절차와 규정을 정확하게 확인하는 등 소비자들의 주의가 필요하다.
   ○ 실제 2017년 서울시전자상거래센터에 SNS 및 블로그에서 상품 구매 후 피해를 입어 접수 된 상담 중 ‘계약취소·반품·환급’ 피해비중은 74.3%(814건 중 605건)로 일반 쇼핑몰(64.9%)과 오픈마켓(63.5%), 소셜커머스(54.1%)에 비해 높은 편이다.

 

□ 또한, 전체 연령대 중 10대는 오픈마켓·소셜커머스에서 상품 구매 후 발생한 피해 비율은 가장 낮은 반면, 개인간거래로 인한 피해는 20.9% (201건 중 42건)로 다른 연령대(0.8%~3.9%)와 비교하여 가장 높게 나타났다. (붙임 참조)

 

□ 10대 소비자가 겪은 ‘개인간거래’ 피해는 교환 및 환불 거부(36%)와 입금 후 연락두절(36%) 피해가 가장 많았다. 상대적으로 경제력이 약한 10대 청소년들이 중고나라와 번개장터와 같은 개인 간 거래 온라인 플랫폼에서 중고 상품을 구매하려 했다가 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분석된다.

 

□ 온라인상에서의 개인 간 거래는『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의 보호를 받을 수 없어, 소비자들의 주의가 필요하다.  개인 간 거래 시에는 판매자와 직접 대면하여 제품 확인 후 구매하거나 안전결제 서비스를 이용하는 방식으로 온라인 구매 사기 피해를 줄일 수 있다.


< 연말 쇼핑시즌 해외구매 수요 증가, 오픈마켓과 해외구매대행 관련 소피자 피해 집중 >

□ 해외구매 관련 소비자피해는 블랙프라이데이(Black Friday), 사이버먼데이(Cyber Monday) 등 해외 유명 쇼핑시즌이 몰려있는 11월과 12월에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비자들이 자주 이용하는 대형 오픈마켓에 해외구매대행 판매업체들이 입점하여 상품을 판매하는 경우가 많아 오픈마켓의 피해도 연말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 11월, 12월 해외구매 관련 소비자 피해는 각각 112건, 68건으로 1월~10월 대비 증가한 가운데 동일기간 오픈마켓에서 상품을 구매한 소비자 피해도 각각 114건(11월), 182건(12월)으로 1월~10월 대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붙임 참조)
   ○ 대대적인 할인행사가 몰려있는 연말 쇼핑시즌은 해외구매가 폭증하는 기간으로 상품 배송이 적게는 2~3주, 길게는 2달까지도 소요되는 경우가 많고, 해외 사기사이트 관련 피해도 연말에 집중되어 있어 소비자들의 주의가 필요하다.

   

□ 한편, 서울시 전자상거래센터는  스마트폰으로 간편하게 이용가능한 ‘모바일 Q&A’ 서비스를 모바일 홈페이지(http://m.ecc.seoul.go.kr)에서 제공하고 있으며 별도의 로그인이나 회원가입 없이도 반품·환불·법규 등 전자상거래에 관련하여 궁금한 점을 질문하고 이에 대한 답변을 빠르게 받아볼 수 있다. 


[ 서울시전자상거래센터 2018-04-23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300 농사에 요긴한 농업활동 지원정보, 공공데이터포털에 다(多) 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5.16 59
8299 농산물 안전성 조사결과 세부 정보 실시간 공개!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4.01 104
8298 농산물 잔류농약 엄격하게 관리하겠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2.22 33
8297 농산물 품질 구분이 쉬워진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12 86
8296 농산물에 남아있는 농약이 걱정되세요? 농약 PLS가 걱정을 덜어드립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3.30 53
8295 농산물의 생산자를 위한 직접지불제도 시행규정 개정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31 103
8294 농산물의 생산자를 위한 직접지불제도 시행규칙 개정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4.07 74
8293 농수산물 원산지표시 위반 재범자 처벌 대폭 강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2.02 58
8292 농수산물 원산지표시 위반 재범자 처벌 대폭 강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6.02 46
8291 농수산물 지역명 표시제도 간소화된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1.14 83
8290 농수산식품 원산지표시 확대로 국민 알권리 강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2.03 97
8289 농식품 공공데이터 이렇게 활용 할 수 있어요!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09 88
8288 농식품 원산지표시 상습위반자 최고 5배 과징금 부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2.19 30
8287 농식품부, 1.6일부터 '설 성수품 수급안정대책반' 운영!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1.06 70
8286 농식품부, 2015 식품산업 원료소비 실태조사 결과 발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5.24 97
Board Pagination Prev 1 ... 366 367 368 369 370 371 372 373 374 375 ... 924 Next
/ 9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