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13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행정안전부(장관 김부겸)는 각급 학교나 지자체 등에서 누구나 쉽게 지진에 대해 배울 수 있도록 맞춤형 지진 교육 자료를 제작하여 온라인으로 배포한다. 최근 경주와 포항지역에서 연이어 발생한 지진으로 인해 국민들이 느끼는 불안감이 다른 재난에 비하여 높아짐에 따라, 다양한 교육 콘텐츠 제공을 통한 자발적 교육의 필요성이 제기되어 왔다. 이에 행정안전부에서는 지난해 ‘지진 국민행동요령’을 전면 개선하였으며, 이번에는 국민들이 어디서든 쉽게 접할 수 있도록 교재를 제작·배포한다.

지진 교육교재는 아동용, 청소년용, 일반용 등 3가지 판으로 구성되며, 영상자료 2종과 교육자용 교안도 함께 제공한다. 지진의 원리와 행동요령을 이해하기 쉽도록 간결한 설명과 그림 위주로 디자인하였고, O·X퀴즈 등 간단한 게임을 넣어 교재의 지루함을 덜었다.

자료는 누구나 사용할 수 있도록 행정안전부 누리집 등에 전자파일로 제공*한다. 특히, 시각장애인이 사용할 수 있도록 제작한 점자책자는 5월께 전국 173개 특수학교 및 복지관에 배포하여 지진 안전 사각지대를 줄여나갈 계획이다.

지진교육자료 배포와 함께, 27일 서울·인천·경기지역의 학교 안전교사와 지자체 담당자를 대상으로 ‘지진대비 순회교육’을 실시한다. 이번 교육은 학생들과 지역주민들에게 정확한 지진 정보와 행동요령 등을 안내할 수 있도록 실시되며, 지진에 대한 일반 상식, 대피요령, 효율적인 교육·훈련방법을 안내하고, 가상현실(VR)체험을 통하여 지진에 대한 경각심을 제고한다.

안영규 행정안전부 재난관리정책관은 “국민들께서 지진을 올바르게 이해하는 것이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이라며, “지진관련 교육 자료를 다양한 형태로 개발·배포하고, 지진대비 순회교육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행정안전부 2018-04-26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919 안전 기술 표준을 준수하지 않은 Zhengniu 전기모기채(2)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0 2022.11.15
918 부품이 분리되어 어린이에게 질식 위험 있는 이케아 블라인드 판매차단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0 2022.11.15
917 어린이보호포장 및 표시사항이 미흡한 레진 코팅 키트(2)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0 2022.09.30
916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과다 함유한 공기주입식 주사위 완구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0 2022.09.30
915 가을철 농작업 시 진드기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0 2022.08.30
914 주식회사매니쉬컴퍼니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0 2022.08.09
913 화재 위험있는 팬히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9 2024.04.03
912 전국 ‘일본뇌염 주의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9 2024.04.01
911 가품판매 쇼핑몰 라운딩샵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9 2024.03.13
910 ‘광고 없는 유튜브’ 계정공유 서비스 피해 급증… 이용시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9 2024.03.08
909 부품 결함으로 상해 위험이 있는 혼다 선외기 무상수리 실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9 2024.02.29
908 국세청 사칭, 이메일・문자메시지에 속지 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9 2024.01.10
907 포장 결함 가능성이 있는 무인양품 파스타면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9 2024.01.08
906 화재, 유독가스 확산 전에 신속히 대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9 2023.12.13
905 화재 대비 민방위 훈련, 신속하고 안전하게 대피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9 2023.10.24
904 무인 키즈풀(워터룸) 안전기준 마련해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9 2023.10.24
903 CMIT/MIT 및 폼알데하이드 과다 함유한 스탬프잉크패드 완구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9 2023.08.16
902 카드뮴 과다 함유해 사용자의 건강 위험 있는 귀걸이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9 2023.07.13
901 작동 불량으로 사고ㆍ부상 위험있는 BQQZHZ 연기감지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9 2023.07.13
900 제조결함으로 인한 화재 우려로 리콜된 Kemey 헤어드라이어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9 2023.07.12
Board Pagination Prev 1 ...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