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행정안전부(장관 김부겸)는 5월에 중점적으로 관리할 재난안전사고 유형을 선정하고, 피해예방을 위해 국민들에게 각별한 주의를 당부하였다. 중점관리대상 재난안전사고 유형은 통계(재해연보, 재난연감/행정안전부)에 따른 발생빈도*와 사회관계망 서비스(SNS)에 나타난 국민의 관심도**를 고려하였다. 정부는 선정된 재난안전사고 유형을 관계부처 및 지방자치단체와 공유하여 적극적인 예방대책으로 이어지게 하고, 국민들에게는 재난 유형별 행동요령을 알려 대비하도록 할 계획이다.

(놀이시설사고) 5월은 놀이시설 사고*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시기로, 어린이날 행사와 각종 축제** 등으로 놀이시설 이용객이 늘면서 안전사고 발생 위험도 높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어린이놀이시설*에 대한 표본 및 전수점검을 실시하고, 검사 불합격으로 이용이 금지된 위험 놀이시설에는 개선을 독려하는 등 안전관리를 강화하고 있다. 또한, 어린이 보호자·학부모 대상으로 가정통신문과 반상회보 등을 통하여 안전사고 주의를 안내하고 학령기(만7세~14세) 아동에 대한 안전교육을 실시하는 등 사고예방 활동을 추진하고 있다.

(등산사고) 5월은 따뜻한 날씨와 봄 축제* 등으로 등산객이 크게 늘어나는 시기로 안전사고 발생도 많다. 특히, 5월 초 연휴와 부처님 오신 날을 전후하여 산행인구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된다. 행정안전부는 등산사고 발생 시 신속한 구조를 위하여 민간산악 전문가로 구성된 재난긴급대응단 산악구조팀*을 운영하고 있다. 산행 전에는 오르고자 하는 산의 기온 등 날씨와 등반 소요시간, 등산로 정보 등을 미리 알아두고, 갑작스런 날씨 변화에 대비해 여벌의 옷을 챙겨가는 것이 좋다. 지난 3월 13일부터 자연공원(국립·도립·군립)의 대피소와 탐방로, 산 정상부 등 지정 장소와 시설*에서의 음주 행위가 금지**되었고 위반할 경우 과태료***가 부과된다.

(농기계사고) 5월은 본격적으로 농사일이 바빠지는 시기로, 모내기* 등이 시작되면서 연중 농기계 사고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달이다. 특히, 농촌 고령화로 인하여 70대 이상 노령층 사고 발생이 많고*, 농업 기계화율**도 높아지고 있어 농기계 사고 위험이 높다. 요즘 같은 봄에는 춘곤증으로 몸이 나른해지면서 쉽게 피곤하고, 집중력도 떨어져 사고로 이어지기 쉬우니 각별히 주의하여야 한다.

(교통사고) 5월은 연중 두 번째로 교통사고가 많이 발생하는 시기로, 수학여행과 소풍, 축제·행사 등으로 단체 이동하는 차량이 늘면서, 대형 교통사고 위험이 높다. 단체 이동을 위해 대형 버스에 탈 때는 반드시 전 좌석 안전벨트를 착용하고, 특히 운전에 방해가 될 수 있는 차량 내 음주가무 등 소란행위는 자제하여야 한다. 또한, 운전자는 차량 운행 전후로 충분히 휴식하여 봄철 춘곤증 등으로 인한 졸음운전에 각별히 주의한다.

(산 불) 5월은 산불 발생 건수와 피해면적이 줄어드는 시기이지만, 작년에는 이례적으로 산림 1,126.85ha가 소실되어 산불 방지에 대한 대비태세를 늦추기 어렵다. 올 들어 발생한 산불은 323건(4월 22일 기준)으로, 예년(’08~’17) 258건에 비해 1.25배 많이 발생하고 있어 산불 예방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이에 정부는 봄철 산불방지대책본부를 당초 5월 15일에서 5월 말까지 연장하여 24시간 운영하고, 산불진화헬기 전진배치, 홍보 강화 등 산불방지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

(황사·미세먼지) 5월은 황사 발생이 3월과 4월에 비해 비교적 적지만 꾸준히 발생하고 있고, 꽃가루 등으로 인한 고농도 미세먼지 발생 위험이 높다. 황사는 주로 봄철에 고비사막과 내몽골 등 중국 북동지역에서 발원하여 바람을 타고 날아오는 것으로, 올해는 4월 4일 중국 내몽골에서 발원해 날아온 황사가 서쪽 일부지역을 중심으로 영향을 주었다. 또한, 봄철 꽃가루, 자동차 배기가스, 매연 등으로 인한 미세먼지*발생에도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미세먼지를 이루는 성분은 발생지역이나 계절, 기상조건 등에 따라 조금씩 다르지만, 전국 6개 주요지역*에서 측정된 미세먼지 구성 비율을 살펴보면, 대기 오염물질 덩어리(황산염, 질산염 등)가 절반 이상으로 인체에 해롭다. 황사나 미세먼지가 농도가 높은 날 외출 시에는 보건용 마스크를 착용하고, 눈이 아프거나 기침 또는 목의 통증이 있는 경우에는 가급적 실외활동을 자제한다.

류희인 행정안전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은 “5월에 발생하기 쉬운 재난안전사고를 대비하기 위해, 중앙부처와 지자체에서 함께 중점 관리하여 소중한 국민의 안전을 지키는데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국민 여러분께서도 이러한 재난안전사고에 대하여 관심을 가지고 사전에 행동요령을 숙지하여 적극 대비해 주실 것을 당부 드린다.”라고 말했다.



[ 행정안전부 2018-04-26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919 안전 기술 표준을 준수하지 않은 Zhengniu 전기모기채(2)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0 2022.11.15
918 부품이 분리되어 어린이에게 질식 위험 있는 이케아 블라인드 판매차단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0 2022.11.15
917 어린이보호포장 및 표시사항이 미흡한 레진 코팅 키트(2)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0 2022.09.30
916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과다 함유한 공기주입식 주사위 완구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0 2022.09.30
915 가을철 농작업 시 진드기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0 2022.08.30
914 주식회사매니쉬컴퍼니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0 2022.08.09
913 화재 위험있는 팬히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9 2024.04.03
912 전국 ‘일본뇌염 주의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9 2024.04.01
911 가품판매 쇼핑몰 라운딩샵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9 2024.03.13
910 ‘광고 없는 유튜브’ 계정공유 서비스 피해 급증… 이용시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9 2024.03.08
909 부품 결함으로 상해 위험이 있는 혼다 선외기 무상수리 실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9 2024.02.29
908 국세청 사칭, 이메일・문자메시지에 속지 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9 2024.01.10
907 포장 결함 가능성이 있는 무인양품 파스타면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9 2024.01.08
906 화재, 유독가스 확산 전에 신속히 대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9 2023.12.13
905 화재 대비 민방위 훈련, 신속하고 안전하게 대피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9 2023.10.24
904 무인 키즈풀(워터룸) 안전기준 마련해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9 2023.10.24
903 CMIT/MIT 및 폼알데하이드 과다 함유한 스탬프잉크패드 완구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9 2023.08.16
902 카드뮴 과다 함유해 사용자의 건강 위험 있는 귀걸이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9 2023.07.13
901 작동 불량으로 사고ㆍ부상 위험있는 BQQZHZ 연기감지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9 2023.07.13
900 제조결함으로 인한 화재 우려로 리콜된 Kemey 헤어드라이어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9 2023.07.12
Board Pagination Prev 1 ...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