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19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말라리아, 위험지역 여행 시 감염주의 당부

세계 말라리아의 날(4.25맞아말라리아 감염 주의 당부 

○ 국내·외 위험지역* 여행 시모기 기피제긴 옷 등을 이용하여 모기물림 주의

○ 말라리아 발생 국가에 따라 약제내성 및 발생현황이 다르므로 해외여행 전에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의사와 상담 후 필요시 적절한 예방약 복용

○ 말라리아 의심증상이 나타나면 의료기관 방문하여 여행력을 알리고 진료 권고

붙임 4, 5 참조


□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제11회 ‘세계 말라리아의 날’을 맞아, 국내 말라리아 위험지역(휴전선 접경지역) 거주자 및 여행객과 해외 말라리아 발생 국가(아프리카, 동남아시아 등)를 방문하는 여행객을 대상으로 말라리아 감염 주의를 당부하였다.

 

< 중국얼룩날개모기 암컷 성충(좌) 및 유충(우) > : 붙임 참조

 

 ○ 말라리아는 매개모기가 사람을 흡혈하는 과정에서 열원충이 전파되는 대표적인 모기매개 질환 중 하나로 현재까지 총 5종*에서 인체감염이 가능하다.
    * 삼일열말라리아, 열대열말라리아, 사일열말라리아, 난형열말라리아, 원숭이열말라리아

   - 우리나라는 모기가 활발히 활동하는 5-10월에 삼일열말라리아가 휴전선 접경지역(인천, 경기, 강원)의 거주자(군인 포함) 및 여행객에서  집중적으로 발생하며,
    * [붙임2. 말라리아 발생현황] 자료 참고 

   - 신속한 진단·치료가 필요한 열대열말라리아는 아프리카, 동남아시아 등에서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해외여행을 통해 연 평균 70건 내외로 신고가 이루어지고 있다.
 

□ 이와 관련하여 질병관리본부는 말라리아 감염 예방을 위해 다음과 같은 관리대책을 시행중에 있다고 밝혔다.
    
 ○ 말라리아 환자 전체를 대상으로 역학조사를 수행하고, 말라리아 발생위험이 높은 지역에서 매개모기 밀도조사 및 원충감염 감시 등을 실시하며,

   - 매년 전년도 환자 발생현황을 토대로 말라리아 위험지역을 선정하여 모기집중방제, 말라리아 예방물품(진단키트, 치료제, 기피제 등) 보급, 환자 조기발견 및 치료 등에 대한 교육·홍보를 수행하고 있다.

 ○ 또한, 열대열말라리아 환자 유입 시 필요한 치료제 비축을 위해 4개 기관*을 열대열말라리아 치료제 비축기관으로 지정하고 있으며,
     * 국립중앙의료원, 부산 중구보건소, 광주 동구보건소, 국립제주검역소

 ○ 수혈로 인한 전파를 차단하기 위해 말라리아 환자 및 말라리아 발생국가 여행자의 헌혈을 금지하고, 국내 말라리아 발생률이 높은 지역을 헌혈제한지역으로 지정하고 있다.
    * [붙임5. 말라리아 헌혈제한 지역] 자료 참고 


□ 아울러 질병관리본부는 말라리아 위험지역에 거주하거나 해당 지역 여행 시 말라리아 감염 예방수칙을 준수하고, 모기에 물린 후 말라리아 의심 증상 발생 시 즉시 의료기관에 방문할 것을 당부하였다.
 ○ 국내·외 말라리아 위험지역 및 예방약 정보, 예방수칙 등은 질병관리본부 홈페이지(http://cdc.go.kr) 또는 질병관리본부 모바일 사이트(http://m.cdc.go.kr)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 말라리아 위험지역 여행 시 모기에 물리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야간외출자제, 야간외출 시 긴 옷 착용, 야외취침 시 모기장 사용 등 예방수칙을 준수하고, 해외 위험지역 여행 전 의사와 상담 후 지역에 따라 적절한 예방약을 복용해야 한다.
    * [붙임6. 상황별 말라리아 감염 예방 수칙] 자료 참고 

 ○ 해외여행 후 다음과 같이 말라리아 감염이 의심될 경우에는 즉시 의료기관에 방문하여 해외여행 이력을 알리고 진료를 받아야 한다.

   - 말라리아에 감염되면 일정 기간의 잠복기를 거쳐 초기에 권태감, 서서히 상승하는 발열 증상이 수일간 지속되고, 이후 오한, 발열, 땀흘림 후 해열이 반복되면서 두통, 구역, 설사 등이 동반된다.



[ 보건복지부 2018-04-25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973 UGG 이불 세트, 곰팡이 발견되어 호흡기 등 감염 위험으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8 2018.03.21
972 Gia Russa 빵가루 알레르기 유발 위험 있어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8 2019.09.20
971 WTI원유 선물 연계 ETN, ETF 관련 소비자경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8 2020.04.23
970 과전류 차단 장치가 없어 감전 위험 있는 Kemei 이발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8 2021.05.13
969 ALL MART (LGMART24)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8 2021.08.06
968 '식품안전나라', 반응형 웹 개편으로 편리하게 식품정보 확인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8 2021.09.30
967 라벨링 미흡으로 질식 위험 있는 CLEK 신생아 카시트[2]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8 2022.03.10
966 Tommee Tippee 고무젖꼭지(Closer Nature), 질식위험으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9 2017.12.06
965 Lay's 과자, 우유성분 함유 미표기로 알레르기 유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9 2019.07.22
964 ION Audio 블루투스 스피커, 사용 중 가스누출 및 폭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9 2019.07.22
963 볼거리와 먹거리가 풍성한 10월, 안전에 유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9 2019.09.27
962 착향제 구성 성분 중 알레르기 유발성분(식약처 고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9 2019.12.02
961 에어컨콘덴서 냉매누수 발생하는 혼다코리아㈜ ACCORD, CIVIC 차량 무상수리 조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9 2023.01.12
960 Green Sprouts 유아용 딸랑이, 삼킴 우려 있어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0 2019.03.12
959 잔류농약 기준 초과 수입 마늘쫑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0 2019.03.28
958 프리걸 / freegirl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0 2021.10.25
957 현장 방문을 통한 휴대폰 개통시 계좌 비밀번호 등을 알려달라는 사기를 주의하세요!!! - 소비자경보 "주의"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0 2022.03.24
956 무더운 여름철, 선풍기 안전하게 사용하기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1 2017.06.16
955 McRae Industrial 안전화 2종, 골절위험으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1 2017.10.23
954 공유숙박 플랫폼 계약 취소시, 위약금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1 2018.02.01
Board Pagination Prev 1 ...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