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연금보험료 체납시, 관급공사 기성금 수령 불가, 사업양수인 등이 대신 납부

연금보험료 납부 증명, 체납보험료 제2차 납부의무 세부규정 등 국민연금법 시행령 개정안 입법예고(2015.8.27.~10.6)

보건복지부는 ▴회사나 개인이 국가, 지자체, 공공기관과 계약하여 사업을 수행하고 그 대금을 지급받는 경우, 체납한 연금보험료가 없음을 증명하도록 하고,

체납보험료를 회사의 재산으로 충당할 수 없는 경우, 무한책임사원과 과점주주, 사업양수인에게 그 체납 보험료를 내도록 규정한 국민연금법이 오는 12월 23일부터 시행(‘15.6.22일 공포)됨에 따라,

<참고 : 개정․시행될 국민연금법 주요내용>

  • (납부증명) 연금보험료의 납부의무자가 국가·지방자치단체 또는 공공기관으로부터 계약의 대가를 지급받는 경우에는 연금보험료의 납부증명을 하도록 함
  • (제2차 납부의무) 법인인 사용자의 재산으로 체납보험료를 충당할 수 없을 경우에 법인의 무한책임사원·과점주주 및 사업양수인이 연금보험료 제2차 납부의무를 짐

동 법 시행에 필요한 세부사항을 규정한 국민연금법 시행령 일부 개정안을 8월 27일부터 10월 6일까지 입법예고 한다고 밝혔다.

입법 예고안의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계약 대금을 받기 위한 연금보험료 납부증명 세부내용 규정

국가, 지방자치단체 또는 공공기관과 계약을 맺은 경우, 대금을 지급받기 위해서는 체납사실이 없다는 증명을 해야 한다

다만, ▴계약의 대가로 지급받게 될 금액 전액을 체납보험료로 충당하거나, ▴지급받게 될 금액 일부를 가지고 체납보험료 전액을 지불하는 경우, ▴파산절차가 진행되어, 법원에서 납부증명을 하지 않기를 요청하는 경우에는 납부증명을 하지 않을 수 있다.

납부증명은 계약기관인 국가, 지자체, 공공기관이 건강보험공단을 통해 연금보험료 납부사실을 확인하는 방법으로 하며,

계약기관에서 직접 확인이 곤란한 경우에는 계약의 당사자가 건강보험공단에서 납부증명서를 발급받아 계약기관에 제출하면 된다.

무한책임사원, 과점주주, 사업양수인의 체납보험료 제2차 납부의무* 세부내용 규정

* 제2차 납부의무 : 1차 납부의무는 법인인 사용자가 지되, 법인인 사용자의 재산으로 납부할 수 없는 경우, 2차로 납부책임을 지우는 것

지금까지는 회사가 근로자의 보험료를 체납하였을 경우 회사의 재산을 한도로 체납보험료를 징수하여, 회사의 재산을 초과한 체납보험료가 있는 경우, 근로자는 계속 체납상태에 있을 수밖에 없었다.

앞으로는 회사의 재산으로 충당할 수 없는 체납보험료에 대해서는 해당 회사의 무한책임사원, 과점주주, 사업양수인이 납부의무를 지게 된다.

체납보험료 납부의무 대상
구분 대상
무한책임사원 회사의 상법상 채무에 대해 연대․무한책임을 부담하는 사원 / 합명회사, 합자회사
과점주주 소유주식 또는 출자액 합계가 주식 총수 또는 출자총액의 50%를 초과하면서 권리를 실질적으로 행사하는 자 /주식회사
사업양수인 사업장별로 그 사업에 관한 모든 권리와 모든 의무를 포괄적으로 승계하는 자

이에 해당하는 양수인의 범위는 해당 사업장의 모든 권리와 의무(미수금과 미지급금은 제외)를 포괄적으로 승계한 자로 하고

양수인은 양수한 재산의 범위 內에서, 과점주주는 실질적으로 권리를 행사하는 주식 수 또는 출자액의 비율에 해당하는 금액 內에서 납부의무를 지게 된다.

* 양수한 재산 가액은 양수 대가로 지급했거나 지급할 금액으로 하고, 지급액이 불분명한 경우는 “양수한 재산의 자산 총액에서 부채 총액을 뺀 가액”으로 계산

** 과점주주는 [2차납부해야 하는 총 금액을 그 법인의 발행주식 총수(의결권이 없는 주식은 제외한다) 또는 출자총액으로 나눈 금액 × 해당 과점주주가 실질적으로 권리를 행사하는 주식 수(의결권이 없는 주식은 제외한다) 또는 출자액]이 한도

이러한 내용을 담은 국민연금법 시행령 개정안은 금년 12월 23일부터 시행될 예정이다.

보건복지부는 “개정안이 시행되면 회사의 보험료 체납* 때문에 불이익을 받는 근로자들이 줄어들고, 근로자의 연금수급권이 강화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 연금보험료 체납사업장 : 442천개소 (‘15.6월 기준)

개정안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보건복지부 홈페이지(www.mw.go.kr)/정보/법령자료/입법예고에서 확인할 수 있고,

이번 개정안에 대하여 의견이 있는 단체 또는 개인은 2015년 10월 6일까지 보건복지부 국민연금정책과로 의견을 제출할 수 있다.

 

[보건복지부 2015-08-27]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529 국민권익위, “택시 모바일 예약 승객이 탑승해 행선지 변경했다면 승차거부 해당 안 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4.22 45
4528 국민권익위, “택배종사자 처우개선 위해서 배송지연·요금인상 감내” 국민생각함 국민의견 수렴 결과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1.10 7
4527 국민권익위, “코로나19 집합금지명령 때문에 매출액 없다면 ‘휴·폐업’으로 볼 수 없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2.03 9
4526 국민권익위, “코로나19 백신 관련 민원” 예보 발령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2.04 21
4525 국민권익위, “코로나19 방역개편 국민의견조사”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0.18 36
4524 국민권익위, “체당금 지급대상 근로자 여부는 노무제공의 실질을 살펴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7.22 99
4523 국민권익위, “채용·자격시험 중 응시자의 화장실 이용 허용” 국민의견 수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1.14 16
4522 국민권익위, “채용·자격 시험 중 응시자의 화장실 이용방안 마련” 관계기관에 정책 제안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2.24 17
4521 국민권익위, “차량시동잠금장치 등 음주운전 사전 예방시스템 도입” 2차 국민 의견수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2.25 15
4520 국민권익위, “지자체마다 상이한 전기·수소차 구매보조금 지급 거주요건 통일한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9.15 56
4519 국민권익위, “지난 5년간 법령 속 부패유발요인 찾아 3,960건 개선권고...이행률 80.5% 달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5.06 58
4518 국민권익위, “지난 4년간 이동신문고 329회 운영, 지구 1.6바퀴(약 65,800km) 달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5.20 34
4517 국민권익위, “지난 1주간(9.6~9.12.) 국민신문고 국민지원금 이의신청 11만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9.14 65
4516 국민권익위, “중고거래 플랫폼 성장...최근 3년간 발생 민원 14,000여 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9.09 28
4515 국민권익위, “주택가 이면도로라도 교통방해 된다면 불법 주·정차 단속해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0.27 13
Board Pagination Prev 1 ... 619 620 621 622 623 624 625 626 627 628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