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4월 20일 충남지역에서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첫 사망자 발생 -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예방의 최선은 진드기에 물리지 않는 것

야외활동시 긴옷 착용, 외출 후 목욕하고 옷 갈아입기

야외활동 후 2주 내 고열, 구토 등의 임상증상 발생 시 즉시 의료기관 방문하여 진료받기
* 연도별 사망자수 : 17명(’13)→16명(’14)→21명(’15)→19명(’16)→54명(’17, 잠정통계)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4월 20일 충남지역에서 올해 첫 번째로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evere Fever with thrombocytopenia Syndrom; SFTS)’ 사망환자가 보고됨에 따라 진드기 매개 감염병인 SFTS에 대한 주의를 철저히 해 줄 것을 당부하였다.

충청남도 청양군에 거주하는 A씨(여자, 만 62세)는 4월 13일 발열 및 설사 증상으로 4월 15일 병원 응급실에서 대증치료를 받던 중, 증상이 호전되지 않아 16일 대학병원으로 전원 후 중환자실에서 치료받았으나 4월 20일 21시경 사망(패혈증 쇼크, 간기능 상승, 백혈구 감소, 혈소판 감소)하였다.

* A씨는 증상 발생 전 밭농사, 고사리 채취, 나물 캐기 등의 야외 활동을 하였음

* 4월 19일(목) 충남보건환경연구원 유전자 검사 결과 양성 판정

SFTS는 주로 4~11월에 SFTS 바이러스를 보유한 참진드기(주로 작은소피참진드기)에 물린 후 고열(38-40℃), 소화기증상(오심, 구토, 설사) 등을 나타내는 감염병으로 ‘13년 이후 환자는 607명이었고, 이중 사망자는 127명으로 확인되었다. (붙임1, 2 참조)

* 환자수 : 36명(’13)→55명(’14)→79명(’15)→165명(’16)→272명(’17, 잠정통계)

* 사망자수 : 17명(’13)→16명(’14)→21명(’15)→19명(’16)→54명(’17, 잠정통계)

< SFTS를 매개하는 작은소피참진드기 > : 붙임 참조

SFTS는 예방백신과 SFTS 치료제가 없어 농작업·등산 등 야외활동 시 진드기에 물리지 않도록 주의하는 것이 최선의 예방법이다.

특히, SFTS 감염자 중에는 50대 이상의 농업 및 임업 종사자의 비율이 높아 농촌지역 고연령층에서 주의가 필요하다.

야외활동 후 2주 이내에 고열(38-40도), 소화기증상(오심, 구토, 설사 등)이 있을 경우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아야 한다.

또한, 의료인들은 SFTS 발생 시기인 4~11월 사이에 고열(38-40℃), 소화기증상(오심, 구토, 설사 등) 등으로 의료기관을 방문하는 환자에게는 야외활동 여부를 확인하여 SFTS 진단이 신속히 이루어지도록 유의하고, 심폐소생술이나 기도삽관술이 필요한 중증환자 시술 시에는 2차 감염에 주의해야 한다.

< 진드기 매개질환 예방수칙 및 주의사항 >

  • 작업 및 야외활동 전
    • 작업복과 일상복은 구분하여 입기
    • 작업 시에는 소매를 단단히 여미고 바지는 양말 안으로 집어넣기
    • 진드기기피제 사용이 도움이 될 수 있음
  • 작업 및 야외(진드기가 많이 서식하는 풀밭 등)활동 시
    • 풀밭 위에 옷을 벗어두거나 눕지 않기
    • 돗자리를 펴서 앉고, 사용한 돗자리는 세척하여 햇볕에 말리기
    • 풀밭에서 용변 보지 않기
    • 등산로를 벗어난 산길 다니지 않기
    • 진드기가 붙어 있을 수 있는 야생동물과 접촉하지 않기
  • 작업 및 야외활동 후
    • 옷을 털고, 반드시 세탁하기
    • 즉시 목욕하고, 옷 갈아입기
    • 머리카락, 귀 주변, 팔 아래, 허리, 무릎 뒤, 다리 사이 등에 진드기가 붙어 있지 않은지 꼼꼼히 확인하기
    • 진드기에 물린 것이 확인되면 바로 제거하지 말고 의료기관 방문
    • 2주 이내에 고열, 오심, 구토, 설사 등의 증상 있을 경우 진료받기



[ 보건복지부 2018-04-24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154 설명절, 교통사고와 주택화재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4 2019.01.31
3153 Toothette Oral Care 구강 스프레이(Advance Oral Moisturizer Spray) 일부 생산분 오염 가능성이 있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4 2017.12.26
3152 Le Toy Van 완구(Petilou Tunnel Puzzle-Momma Bear), 질식 위험으로 교환·환불 및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4 2017.12.06
3151 식약처, 비가열 햄.소시지 등 수거.검사 결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4 2017.09.05
3150 카페인이 과다 함유되어 있는 Bang 에너지 음료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3 2023.04.10
3149 박테리아 오염 가능성이 있는 Fabuloso 다목적 세정제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3 2023.03.16
3148 LG베스트몰 주의게시글 타이틀 정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3 2022.03.17
3147 뒷바퀴 탈락 위험 있는 Inglesina Quid 유모차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3 2021.07.12
3146 쉽게 결정하는 백내장 수술, 부작용 발생에 주의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3 2020.05.14
3145 탄소 혼입에 따른 누전 위험 있는 옴(OHM) 고무 전기 플러그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3 2020.04.14
3144 일부 어린이 과학교구에서 유해물질 검출돼 주의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3 2020.02.12
3143 설 명절, 감염병 예방수칙은 꼭 지켜주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3 2020.01.23
3142 인플루엔자 지속 증가, 감염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3 2019.04.12
3141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RSV) 감염증 발생 증가에 따른 예방·관리 강화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3 2018.11.05
3140 2017-2018절기 인플루엔자“유행주의보 해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3 2018.05.25
3139 ‘무늬만 가상통화 관련주’ 투자 유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3 2018.02.22
3138 냉동만두 관련 비교정보 생산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3 2018.02.07
3137 RSV 감염증 발생 지속에 따른 영유아 감염 예방·관리 철저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3 2017.12.06
3136 Intenze 문신용 염료(Dark Tone 1 oz(29.6ml)), 발암물질 초과 검출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3 2017.10.31
3135 2017년 8월 소비자 위해정보 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3 2017.09.18
Board Pagination Prev 1 ...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 217 Next
/ 21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