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4월 20일 충남지역에서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첫 사망자 발생 -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예방의 최선은 진드기에 물리지 않는 것

야외활동시 긴옷 착용, 외출 후 목욕하고 옷 갈아입기

야외활동 후 2주 내 고열, 구토 등의 임상증상 발생 시 즉시 의료기관 방문하여 진료받기
* 연도별 사망자수 : 17명(’13)→16명(’14)→21명(’15)→19명(’16)→54명(’17, 잠정통계)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4월 20일 충남지역에서 올해 첫 번째로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evere Fever with thrombocytopenia Syndrom; SFTS)’ 사망환자가 보고됨에 따라 진드기 매개 감염병인 SFTS에 대한 주의를 철저히 해 줄 것을 당부하였다.

충청남도 청양군에 거주하는 A씨(여자, 만 62세)는 4월 13일 발열 및 설사 증상으로 4월 15일 병원 응급실에서 대증치료를 받던 중, 증상이 호전되지 않아 16일 대학병원으로 전원 후 중환자실에서 치료받았으나 4월 20일 21시경 사망(패혈증 쇼크, 간기능 상승, 백혈구 감소, 혈소판 감소)하였다.

* A씨는 증상 발생 전 밭농사, 고사리 채취, 나물 캐기 등의 야외 활동을 하였음

* 4월 19일(목) 충남보건환경연구원 유전자 검사 결과 양성 판정

SFTS는 주로 4~11월에 SFTS 바이러스를 보유한 참진드기(주로 작은소피참진드기)에 물린 후 고열(38-40℃), 소화기증상(오심, 구토, 설사) 등을 나타내는 감염병으로 ‘13년 이후 환자는 607명이었고, 이중 사망자는 127명으로 확인되었다. (붙임1, 2 참조)

* 환자수 : 36명(’13)→55명(’14)→79명(’15)→165명(’16)→272명(’17, 잠정통계)

* 사망자수 : 17명(’13)→16명(’14)→21명(’15)→19명(’16)→54명(’17, 잠정통계)

< SFTS를 매개하는 작은소피참진드기 > : 붙임 참조

SFTS는 예방백신과 SFTS 치료제가 없어 농작업·등산 등 야외활동 시 진드기에 물리지 않도록 주의하는 것이 최선의 예방법이다.

특히, SFTS 감염자 중에는 50대 이상의 농업 및 임업 종사자의 비율이 높아 농촌지역 고연령층에서 주의가 필요하다.

야외활동 후 2주 이내에 고열(38-40도), 소화기증상(오심, 구토, 설사 등)이 있을 경우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아야 한다.

또한, 의료인들은 SFTS 발생 시기인 4~11월 사이에 고열(38-40℃), 소화기증상(오심, 구토, 설사 등) 등으로 의료기관을 방문하는 환자에게는 야외활동 여부를 확인하여 SFTS 진단이 신속히 이루어지도록 유의하고, 심폐소생술이나 기도삽관술이 필요한 중증환자 시술 시에는 2차 감염에 주의해야 한다.

< 진드기 매개질환 예방수칙 및 주의사항 >

  • 작업 및 야외활동 전
    • 작업복과 일상복은 구분하여 입기
    • 작업 시에는 소매를 단단히 여미고 바지는 양말 안으로 집어넣기
    • 진드기기피제 사용이 도움이 될 수 있음
  • 작업 및 야외(진드기가 많이 서식하는 풀밭 등)활동 시
    • 풀밭 위에 옷을 벗어두거나 눕지 않기
    • 돗자리를 펴서 앉고, 사용한 돗자리는 세척하여 햇볕에 말리기
    • 풀밭에서 용변 보지 않기
    • 등산로를 벗어난 산길 다니지 않기
    • 진드기가 붙어 있을 수 있는 야생동물과 접촉하지 않기
  • 작업 및 야외활동 후
    • 옷을 털고, 반드시 세탁하기
    • 즉시 목욕하고, 옷 갈아입기
    • 머리카락, 귀 주변, 팔 아래, 허리, 무릎 뒤, 다리 사이 등에 진드기가 붙어 있지 않은지 꼼꼼히 확인하기
    • 진드기에 물린 것이 확인되면 바로 제거하지 말고 의료기관 방문
    • 2주 이내에 고열, 오심, 구토, 설사 등의 증상 있을 경우 진료받기



[ 보건복지부 2018-04-24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711 인체 접촉성 합성수지·합성가죽 제품에서 유해물질 검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1 2022.04.13
2710 삼킴 및 질식 우려 있는 Silicone Koala Rattle Collection 딸랑이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1 2022.04.29
2709 상조 관련 불법 영업행위로 인한 소비자 피해주의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1 2022.05.24
2708 연일 계속되는 폭염, 온열질환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2 2018.07.17
2707 유행성각결막염 지속 증가, 예방수칙 철저히 준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2 2018.08.27
2706 비브리오패혈증 환자 발생 증가, 예방수칙 준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2 2018.08.29
2705 일부 어린이 샌들에서 유해물질 검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2 2018.09.06
2704 닭고기 안전하게 섭취하려면 교차오염에 특히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2 2019.01.29
2703 임신 중 비타민 D 적정 유지가 출생 후 자녀의 아토피피부염 예방에 도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2 2019.03.08
2702 에티오피아 티그라이(Tigray)주 여행경보 3단계(철수권고)로 상향 조정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2 2020.11.13
2701 과열로 화재 위험 있는 Trianium 휴대폰 배터리 케이스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2 2020.11.23
2700 바늘 조각 혼입 가능성 있는 언더아머 아동용 후드티(1)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2 2021.04.28
2699 바늘 조각 혼입 가능성 있는 언더아머 긴팔티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2 2021.05.03
2698 살모넬라균 감염 위험 있는 Venture 토끼사료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2 2021.05.13
2697 식품 사용 안 되는 복어알을 첨가한 식품 제조.판매, 복어환.추출액에 항암효과 허위 광고 등 4개 업체 적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2 2021.07.01
2696 다른 색상의 제품이 혼입된 hoyu 뷰틴 오렌지색 염모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2 2021.07.28
2695 짜장·비빔라면, 포화지방과 나트륨 높아 과잉섭취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2 2021.08.03
2694 크기가 너무 작아 질식 위험있는 장난감 자동차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2 2022.04.04
2693 수두·유행성이하선염 증가 시기, 예방수칙 준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3 2018.04.11
2692 여름의 끝 8월에는 어떤 재난에 주의해야 할까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3 2018.07.27
Board Pagination Prev 1 ...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