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4월 20일 충남지역에서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첫 사망자 발생 -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예방의 최선은 진드기에 물리지 않는 것

야외활동시 긴옷 착용, 외출 후 목욕하고 옷 갈아입기

야외활동 후 2주 내 고열, 구토 등의 임상증상 발생 시 즉시 의료기관 방문하여 진료받기
* 연도별 사망자수 : 17명(’13)→16명(’14)→21명(’15)→19명(’16)→54명(’17, 잠정통계)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4월 20일 충남지역에서 올해 첫 번째로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evere Fever with thrombocytopenia Syndrom; SFTS)’ 사망환자가 보고됨에 따라 진드기 매개 감염병인 SFTS에 대한 주의를 철저히 해 줄 것을 당부하였다.

충청남도 청양군에 거주하는 A씨(여자, 만 62세)는 4월 13일 발열 및 설사 증상으로 4월 15일 병원 응급실에서 대증치료를 받던 중, 증상이 호전되지 않아 16일 대학병원으로 전원 후 중환자실에서 치료받았으나 4월 20일 21시경 사망(패혈증 쇼크, 간기능 상승, 백혈구 감소, 혈소판 감소)하였다.

* A씨는 증상 발생 전 밭농사, 고사리 채취, 나물 캐기 등의 야외 활동을 하였음

* 4월 19일(목) 충남보건환경연구원 유전자 검사 결과 양성 판정

SFTS는 주로 4~11월에 SFTS 바이러스를 보유한 참진드기(주로 작은소피참진드기)에 물린 후 고열(38-40℃), 소화기증상(오심, 구토, 설사) 등을 나타내는 감염병으로 ‘13년 이후 환자는 607명이었고, 이중 사망자는 127명으로 확인되었다. (붙임1, 2 참조)

* 환자수 : 36명(’13)→55명(’14)→79명(’15)→165명(’16)→272명(’17, 잠정통계)

* 사망자수 : 17명(’13)→16명(’14)→21명(’15)→19명(’16)→54명(’17, 잠정통계)

< SFTS를 매개하는 작은소피참진드기 > : 붙임 참조

SFTS는 예방백신과 SFTS 치료제가 없어 농작업·등산 등 야외활동 시 진드기에 물리지 않도록 주의하는 것이 최선의 예방법이다.

특히, SFTS 감염자 중에는 50대 이상의 농업 및 임업 종사자의 비율이 높아 농촌지역 고연령층에서 주의가 필요하다.

야외활동 후 2주 이내에 고열(38-40도), 소화기증상(오심, 구토, 설사 등)이 있을 경우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아야 한다.

또한, 의료인들은 SFTS 발생 시기인 4~11월 사이에 고열(38-40℃), 소화기증상(오심, 구토, 설사 등) 등으로 의료기관을 방문하는 환자에게는 야외활동 여부를 확인하여 SFTS 진단이 신속히 이루어지도록 유의하고, 심폐소생술이나 기도삽관술이 필요한 중증환자 시술 시에는 2차 감염에 주의해야 한다.

< 진드기 매개질환 예방수칙 및 주의사항 >

  • 작업 및 야외활동 전
    • 작업복과 일상복은 구분하여 입기
    • 작업 시에는 소매를 단단히 여미고 바지는 양말 안으로 집어넣기
    • 진드기기피제 사용이 도움이 될 수 있음
  • 작업 및 야외(진드기가 많이 서식하는 풀밭 등)활동 시
    • 풀밭 위에 옷을 벗어두거나 눕지 않기
    • 돗자리를 펴서 앉고, 사용한 돗자리는 세척하여 햇볕에 말리기
    • 풀밭에서 용변 보지 않기
    • 등산로를 벗어난 산길 다니지 않기
    • 진드기가 붙어 있을 수 있는 야생동물과 접촉하지 않기
  • 작업 및 야외활동 후
    • 옷을 털고, 반드시 세탁하기
    • 즉시 목욕하고, 옷 갈아입기
    • 머리카락, 귀 주변, 팔 아래, 허리, 무릎 뒤, 다리 사이 등에 진드기가 붙어 있지 않은지 꼼꼼히 확인하기
    • 진드기에 물린 것이 확인되면 바로 제거하지 말고 의료기관 방문
    • 2주 이내에 고열, 오심, 구토, 설사 등의 증상 있을 경우 진료받기



[ 보건복지부 2018-04-24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249 살모넬라균 오염 가능성 있는 Olde Thompson 고수 가루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9 2021.07.12
2248 살모넬라균 오염 가능성 있는 The Spice Hunter 향신료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2 2020.11.23
2247 살모넬라균 오염 가능성 있는 The Spice Hunter 향신료(Arrowroot ground 애로루트 가루)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0 2021.01.28
2246 살모넬라균 오염 가능성 있는 The Spice Hunter 향신료(Black Pepper Organic 후춧가루)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6 2021.01.28
2245 살모넬라균 오염 가능성 있는 The Spice Hunter 향신료(California Garlic 마늘가루)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1 2021.01.28
2244 살모넬라균 오염 가능성 있는 The Spice Hunter 향신료(Cilantro Organic 고수잎)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6 2021.01.28
2243 살모넬라균 오염 가능성 있는 The Spice Hunter 향신료(Cilantro Organic 고수잎)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8 2021.01.28
2242 살모넬라균 오염 가능성 있는 The Spice Hunter 향신료(Coriander 고수가루)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8 2021.01.29
2241 살모넬라균 오염 가능성 있는 The Spice Hunter 향신료(Dill Weed Organic 허브)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6 2021.01.28
2240 살모넬라균 오염 가능성 있는 The Spice Hunter 향신료(Fine Black Pepper 후춧가루)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4 2021.01.29
2239 살모넬라균 오염 가능성 있는 The Spice Hunter 향신료(Freeze-Dried Chives 쪽파)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0 2021.01.29
2238 살모넬라균 오염 가능성 있는 The Spice Hunter 향신료(Madagascar Cloves 정향가루)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1 2021.01.28
2237 살모넬라균 오염 가능성 있는 The Spice Hunter 향신료(Malabar Black Peppercorns 통후추)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0 2021.01.29
2236 살모넬라균 오염 가능성 있는 The Spice Hunter 향신료(Muntock White Pepper 백후추)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0 2021.01.29
2235 살모넬라균 오염 가능성 있는 The Spice Hunter 향신료(Paprika Organic 파프리카 가루)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7 2021.02.01
2234 살모넬라균 오염 가능성 있는 The Spice Hunter 향신료(Pumpkin Pie Spice 호박파이)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9 2021.01.29
2233 살모넬라균 오염 가능성 있는 The Spice Hunter 향신료(Roasted Garlic 구운 마늘가루)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01 2021.01.29
2232 살모넬라균 오염 가능성 있는 The Spice Hunter 향신료(Seafood Grill & Broil Blend 해산물)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0 2021.01.29
2231 살모넬라균 오염 가능성 있는 The Spice Hunter 향신료(Szechwan Seasoning 사천식)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7 2021.01.29
2230 살모넬라균 오염 가능성 있는 The Spice Hunter 향신료(프랑스식, 멕시칸식)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1 2021.01.29
Board Pagination Prev 1 ...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 220 Next
/ 2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