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17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건강한 우리 아이, 야외 놀이 안전하게 !

◇ 질병관리본부놀이터 등 야외 사고 예방을 위한 예방수칙 안내 

◇ 14세 이하 어린이 낙상추락사고가 신체 손상 입원 사유 중 36.5% 차지 

남자 어린이가 여자 어린이의 2.1연중 5-6월에 가장 많이 발생

어린이 연령이 높을수록 놀이터운동장 사고 비율 증가

* 0-4세 6.5%, 5-9세 26.9%, 10-14세 31.6%

 

 

□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5~6월 바깥 활동, 여행 등이 많아짐에 따라 야외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고 예방수칙을 안내하였다.

  

어린이 야외 사고 예방을 위한 예방수칙 

  

  

  

◎ 안전한 옷을 입혀 주세요.

놀이를 할 때는 바지운동화 등 간편한 옷을 입혀 준다.

장신구목걸이를 하지 않도록 지도한다. 

특히손에 물건을 든 상태에서 놀이를 하지 않도록 지도한다.

  

◎ 놀이터에서 안전하게 지내는 방법을 알려주세요.

움직이고 있는 그네 앞으로 지나가지 않는다.

미끄럼틀은 계단을 이용해서 올라간다.

미끄럼틀 위에서 뛰거나 장난치지 않는다

자전거나 바퀴달린 탈 것은 정해진 곳에서만 이용한다

  

◎ 야외에 나간 경우안내문을 읽어보고 안내문에 따라 행동한다.


 

  ◎ 야외에 나간 경우, 안내문을 읽어보고 안내문에 따라 행동한다.

 ○ 또한, 자녀들이 놀이터 등에서 놀 때 놀이터 바닥이 안전한지, 망가지거나 부서진 놀이기구가 없는지 미리 살펴보는 것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놀이터 안전 점검 사항 >
 
     * 출처: 손상 예방을 위한 어린이 안전가이드라인(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 붙임 참조


□ 질병관리본부는 2011-2015년에 입원한 환자조사(170개 병원 기록 조사)* 결과 중 14세 이하의 낙상 및 추락 사고에 대한 분석 결과를 다음과 같이 발표하였다.

    * 매년 100병상 이상 170개 표본병원의 퇴원환자 9%를 표본추출하여 의무기록 조사를 실시하고 있으며, 2005년에 조사를 도입하였고 국가통계로 승인받았음

 ○ 5년 간 신체 손상으로 입원한 14세 이하 1만 379명 중 36.5%인 3,786명이 낙상 및 추락사고로 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 (성별) 5년 간 낙상 및 추락사고로 입원한 14세 이하 어린이 3,786명 중 남자 어린이(2,557명, 67.5%)가 여자 어린이(1,229명, 32.5%)의 약 2.1배 차지
   - (발생시기) 전반적으로 겨울에 발생이 낮고, 활동하기 좋은 시기인 5월(10.6%)과 6월(10.6%)에 가장 많이 발생, 그 다음으로는 10월(9.5%)과 9월(9.4%), 4월(9.3%) 순으로 많이 발생

 
<  월별 14세 이하 어린이 낙상‧추락사고 후 입원 분율, 2011-2015 > : 붙임 참조

   - (손상부위) 사고 후 많이 다치는 부위를 보면, 0-4세 연령은 외상성뇌손상(42.5%), 5-9세 연령은 어깨‧위팔(34.4%), 10-14세 연령은 무릎‧아래다리(24.7%)


□ 손상 발생 요인을 조사하는 응급실 손상환자 심층조사(23개 응급실 기록)의 최근 6년간(‘11~’16) 14세 이하 어린이의 낙상 및 추락사고 16만 7000건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 14세 이하의 낙상 및 추락사고는 ‘주거지’에서 가장 많이 발생

 ○ 연령 별로 보면 0-4세 연령은 주거지 발생(72.2%)이 많고, 5-9세 연령은 주거지(35.8%)와 놀이터‧운동장(26.9%)에서 많이 발생하며, 10-14세 연령은 놀이터‧운동장(31.6%)에서 주로 발생


< 연령별 낙상‧추락 사고 발생 장소 현황 > : 붙임 참조

 ○ 놀이터와 운동장에서 발생한 사고(2만 390건)는 주로 놀이시설인 미끄럼틀, 그네, 정글짐 등(38.1%)과 놀이터‧운동장 바닥(37.1%)에서 주로 사고가 발생하였다. 

□ 정은경 질병관리본부장은 “야외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미리 안전수칙을 알아두었다가 야외 가족나들이 때나 자녀를 현장학습에 보낼 때 지도하고, 만약에 사고가 났을 때는 어떻게 대처할지도 미리 챙겨둘 것”을 당부하였다.



[ 보건복지부 2018-04-23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231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5.8.21.∼2015.8.27.)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899 2015.08.31
3230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5.7.31.∼2015.8.6.)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932 2015.08.10
3229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5.7.3.∼2015.7.9.)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024 2015.07.13
3228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5.7.24.∼2015.7.30.)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846 2015.08.03
3227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5.7.17.∼2015.7.23.)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891 2015.08.03
3226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5.7.10.∼2015.7.16.)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901 2015.07.21
3225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5.6.5.∼2015.6.11.)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956 2015.06.15
3224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5.6.26.∼2015.7.2.)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990 2015.07.06
3223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5.6.12.∼2015.6.18.)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844 2015.06.22
3222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5.5.8.∼2015.5.14.)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956 2015.05.18
3221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5.5.29.∼2015.6.4.)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965 2015.06.08
3220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5.5.22.∼2015.5.28.)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964 2015.06.01
3219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5.5.15.∼2015.5.21.)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942 2015.05.26
3218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5.4.3.∼2015.4.9.)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032 2015.04.13
3217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5.4.24.∼2015.4.30.)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075 2015.05.04
3216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5.4.17.∼2015.4.23.)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126 2015.04.27
3215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5.4.10.∼2015.4.16.)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221 2015.04.20
3214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5.3.20.∼2015.3.26.)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402 2015.03.30
3213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5.3.13.∼2015.3.19.)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482 2015.03.23
3212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5.2.27.∼2015.3.5.)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394 2015.03.09
Board Pagination Prev 1 ...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 218 Next
/ 218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