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소규모 공연장 관객석 안전관리 미흡

- 15개 공연장 중 6곳의 실내공기 오염 -

이 자료는 8월 27일(목) 조간부터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방송·인터넷 매체는 8월 26일 12시)

연극·뮤지컬·음악회 등 다양한 공연을 통해 문화 활동의 중심공간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소규모 공연장이 소비자의 관람 안전에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5년간 한국소비자원(www.kca.go.kr)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 접수된 연장 관련 위해사례는 총 80건*으로 매년 지속해서 접수되고 있다.

* (’10년) 7건, (’11년) 20건, (’12년) 16건, (’13년) 20건, (’14년) 17건

1 위해내용을 보면, 소비자가 관객석에 부딪히거나 무대소품 맞아 다치는 사례가 24건(30.0%)으로 가장 많고, 이어 계단이나 바닥에서 ‘넘어지거나 미끄러짐’ 23건(28.8%), 공연소품 등에 의해 ‘베이거나 찔림’ 9건(11.3%) 주로 관석에서 발생한 사고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은 100석 이상 300석 미만의 소규모 공연장 15개를 대상으로 관람 안전태를 조사하였다. 과, 5개 공연장의 실내 공*에서 총휘발성유기화합물(Vocs) 552.5㎍/㎥~1298.7㎍/ 검출되어 기준(500㎍/㎥ 이하)을 최대 2.6배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1개 공연장에서는 발암 물질인 폼알데하이드(HCHO) 113.2㎍/㎥ 검출되어 기준(100㎍/㎥ 이하) 초과하였다. 

* 측정기준 : 소규모 공연장 실내공기질 기준이 없어「다중이용시설등의실내공기질관리법」‘실내영화상영관’ 기준 준용

총휘발성유기화합물과 폼알데하이드는 페인트·접착제 등에서 주로 발생하는 오염물질로, 피부접촉과 호흡으로 인체에 유입될 경우 두통, 구토, 피부발진 등의 증상을 일으킬 수 있음.

2 또한, 13개 공연장은 관객석 세로통로*최소 너비가 31cm~76cm 수준으로 너무 좁아 교차 통행이 어렵거나 통로 계단의 최대 높이가 18cm**이상으로 과도하게 높아 통행 중 넘어질 위험이 있었으며, 9개 공연장은 관객석 마지막열의 천장높이가 2.1m***도 안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세로통로 너비 : 통로 양측에 객석이 있는 경우 80cm 이상, 통로 한쪽에 객석이 있는 경우 60cm 이상(공연장 조성 매뉴얼, (재)예술경영지원센터)

**「주택건설기준등에관한규정」제16조 제1항의 ‘주택단지 안의 건축물에 설치하는 계단 중 공동으로 사용하는 계단의 단높이’ 기준인 18cm를 준용함.

***「건축물의피난ㆍ방화구조등의기준에관한규칙」제16조

어두운 공연장 내에서 적정한 통로너비와 일정한 계단높이, 적정 단차가 확보되지 않을 경우 통로에서 넘어질 가능성이 높고, 천장높이가 지나치게 낮을 경우 화재 등 사고 발생 시 신속한 대피가 어려울 수 있다.

3 

소방·피난시설의 경우 9개 공연장에 비치된 소화기는 장애물에 가려져 있거나 안전핀·봉인 탈락 또는 저충압 상태였으며, 10개 공연장은 화재 등 비상 시 피난경로를 알려주는 비상구 유도등을 천이나 테이프 등으로 가려 놓거나 가려질 수 있는 구조로 설치하였고, 5개 공연장은 비상구 앞에 무대소품을 적재하거나 관객석을 설치하여 신속한 피난을 방해하는 등 소방·피난시설 관리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4 

한국소비자원은 소규모 공연장을 이용하는 소비자의 안전 확보를 위해 ▲ 소규모 공연장의 실내공기질 기준 마련, ▲ 관객석 세로통로 너비 확보 등 관객석 안전기준 마련, ▲ 공연장 소방·피난시설의 점검관리 강화 등을 관계 부처에 건의하고, 공연장 등에는 ▲ 소방·피난시설 관리 철저 등을 권고할 계획이다.

 

[한국소비자원 2015-08-26]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08 “전체 지방공기업 임금피크제 반드시 도입해달라”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08 82
1207 두산인프라코어(주), 굴삭기 시정조치(리콜) 실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08 96
1206 에프씨에이코리아, 연료장치 결함으로 리콜 실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08 128
1205 자동차리스 관련 소비자 권익 제고 방안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08 122
1204 (주)쁘레베베, 길이가 긴 안전벨트 무상 제공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07 128
1203 추석 성수식품, 떴다방, 농.축.수산물 원산지 표시 중점 점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07 76
1202 지역금연지원센터(전국 18개)와 함께 금연성공(9030) 하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07 96
1201 우리 아이『화상』, 초기 응급치료가 중요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07 72
1200 인감 제도’, 주민이 편리한 방향으로 대폭 개정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07 88
1199 롯데네슬레코리아㈜, 사은품 보온병 대체상품으로 교환 실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07 94
1198 LG전자㈜, 스마트폰 G2 자발적 무상 수리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07 151
1197 1월 대비 양파 판매가격 상승률 가장 높아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07 129
1196 9월 4일부터 신협, 수협, 새마을금고에 가입한 연금정보도 '통합연금포털'에서 조회할 수 있습니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07 196
1195 금융투자회사 임직원의 불건전 자기매매 근절 방안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07 101
1194 ‘귀뚜라미’, 이제 먹거리로 즐긴다 !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03 154
Board Pagination Prev 1 ... 835 836 837 838 839 840 841 842 843 844 ... 920 Next
/ 9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