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소규모 공연장 관객석 안전관리 미흡

- 15개 공연장 중 6곳의 실내공기 오염 -

이 자료는 8월 27일(목) 조간부터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방송·인터넷 매체는 8월 26일 12시)

연극·뮤지컬·음악회 등 다양한 공연을 통해 문화 활동의 중심공간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소규모 공연장이 소비자의 관람 안전에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5년간 한국소비자원(www.kca.go.kr)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 접수된 연장 관련 위해사례는 총 80건*으로 매년 지속해서 접수되고 있다.

* (’10년) 7건, (’11년) 20건, (’12년) 16건, (’13년) 20건, (’14년) 17건

1 위해내용을 보면, 소비자가 관객석에 부딪히거나 무대소품 맞아 다치는 사례가 24건(30.0%)으로 가장 많고, 이어 계단이나 바닥에서 ‘넘어지거나 미끄러짐’ 23건(28.8%), 공연소품 등에 의해 ‘베이거나 찔림’ 9건(11.3%) 주로 관석에서 발생한 사고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은 100석 이상 300석 미만의 소규모 공연장 15개를 대상으로 관람 안전태를 조사하였다. 과, 5개 공연장의 실내 공*에서 총휘발성유기화합물(Vocs) 552.5㎍/㎥~1298.7㎍/ 검출되어 기준(500㎍/㎥ 이하)을 최대 2.6배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1개 공연장에서는 발암 물질인 폼알데하이드(HCHO) 113.2㎍/㎥ 검출되어 기준(100㎍/㎥ 이하) 초과하였다. 

* 측정기준 : 소규모 공연장 실내공기질 기준이 없어「다중이용시설등의실내공기질관리법」‘실내영화상영관’ 기준 준용

총휘발성유기화합물과 폼알데하이드는 페인트·접착제 등에서 주로 발생하는 오염물질로, 피부접촉과 호흡으로 인체에 유입될 경우 두통, 구토, 피부발진 등의 증상을 일으킬 수 있음.

2 또한, 13개 공연장은 관객석 세로통로*최소 너비가 31cm~76cm 수준으로 너무 좁아 교차 통행이 어렵거나 통로 계단의 최대 높이가 18cm**이상으로 과도하게 높아 통행 중 넘어질 위험이 있었으며, 9개 공연장은 관객석 마지막열의 천장높이가 2.1m***도 안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세로통로 너비 : 통로 양측에 객석이 있는 경우 80cm 이상, 통로 한쪽에 객석이 있는 경우 60cm 이상(공연장 조성 매뉴얼, (재)예술경영지원센터)

**「주택건설기준등에관한규정」제16조 제1항의 ‘주택단지 안의 건축물에 설치하는 계단 중 공동으로 사용하는 계단의 단높이’ 기준인 18cm를 준용함.

***「건축물의피난ㆍ방화구조등의기준에관한규칙」제16조

어두운 공연장 내에서 적정한 통로너비와 일정한 계단높이, 적정 단차가 확보되지 않을 경우 통로에서 넘어질 가능성이 높고, 천장높이가 지나치게 낮을 경우 화재 등 사고 발생 시 신속한 대피가 어려울 수 있다.

3 

소방·피난시설의 경우 9개 공연장에 비치된 소화기는 장애물에 가려져 있거나 안전핀·봉인 탈락 또는 저충압 상태였으며, 10개 공연장은 화재 등 비상 시 피난경로를 알려주는 비상구 유도등을 천이나 테이프 등으로 가려 놓거나 가려질 수 있는 구조로 설치하였고, 5개 공연장은 비상구 앞에 무대소품을 적재하거나 관객석을 설치하여 신속한 피난을 방해하는 등 소방·피난시설 관리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4 

한국소비자원은 소규모 공연장을 이용하는 소비자의 안전 확보를 위해 ▲ 소규모 공연장의 실내공기질 기준 마련, ▲ 관객석 세로통로 너비 확보 등 관객석 안전기준 마련, ▲ 공연장 소방·피난시설의 점검관리 강화 등을 관계 부처에 건의하고, 공연장 등에는 ▲ 소방·피난시설 관리 철저 등을 권고할 계획이다.

 

[한국소비자원 2015-08-26]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685 4등급 경유차와 굴착기·지게차도 조기 폐차 보조금 지원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3.02 38
1684 4대 중증질환 유전자 검사 및 재가 인공호흡기 대여료 및 소모품 지원 확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23 133
1683 4대 중증질환 보장강화 확대 극희귀질환 등 건강보험 본인부담 대폭경감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2.26 145
1682 4대 정책 서민금융상품 알선을 빙자한 불법-과장광고에 주의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02 65
1681 4대 절대 불법 주.정차 관행 근절 운동 본격 시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4.16 36
1680 4대 불법 주‧정차 주민신고 100일간 200,139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7.29 10
1679 4개 카셰어링 사업자의 불공정 약관조항에 대한 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7.03 55
1678 4개 정부기관 콜센터 전화 ‘110번’으로도 상담 가능해진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1.04 89
1677 4개 온라인사업자(구글, 페이스북, 네이버, 카카오)의 불공정약관조항 시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3.14 63
1676 4개 부처 손잡고 미래 유망 의료기기 개발 전주기 지원한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02 129
1675 45년만에 주민등록번호 부여체계 바꾼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2.17 8
1674 438만 경력단절 전업주부, 국민연금 추후납부 가능해져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1.22 137
1673 41종의 생활정보「민원24」에서 한번에 확인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3.10 127
1672 41만여명의 보험설계사, 유사수신행위 예방교육 받는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23 64
1671 41만여명의 보험설계사, 유사수신행위 예방교육 받는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24 55
Board Pagination Prev 1 ... 809 810 811 812 813 814 815 816 817 818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