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15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행정안전부(장관 김부겸)는 봄 이사철을 맞아 가스 막음조치 미비 등으로 인한 가스 안전사고 발생에 각별한 주의를 당부하였다.

한국가스안전공사 통계에 따르면 최근5년(‘12~’16년)간 총 533건*의 가스관련 사고로, 677명의 인명피해가 발생하였다. 이 중 가스 막음조치 미비로 인한 사고는 총 48건으로 가스난로 사용이 많은 계절인 겨울을 제외하면, 이사철인 봄에 많이 발생하였다. 위의 사고들은 모두 액화석유가스(LP가스)를 사용하는 곳에서 발생하고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또한 통계*에 따르면 도시가스의 보급으로 액화석유가스** 사용가구가 많이 줄었지만, 아직도 전체 가구의 20% 정도는 개별난방***을 하고 있고, 이들 가구의 대부분이 취사용으로 액화석유가스를 주로 사용한다. 가스막음조치미비사고 발생 장소를 살펴보면, 사고의 절반(50%,24건)이 주택에서 발생하였고, 인명피해도 44%(40명)로 가장 많았다. 사고유형은 연소기 철거 후 배관이나 호스 방치가 40건으로 가장 많았고, 이 중 취사용 연료기 관련이 14건으로 가장 높았다.

이사 등으로 가스기기를 철거하거나 설치할 때는 반드시 전문가의 도움을 받고 다음과 같은 사항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사를 할 때는 적어도 3일 전에 가스 막음조치를 신청*하고, 이사 당일 가스기기 철거와 설치는 반드시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다. 가스시설의 막음조치를 직접 처리할 경우 가스가 누출되기 쉽고 자칫 가스 폭발 등 대형 사고로 이어질 수 있어 매우 위험하다. 아울러, 평소 가스레인지 등을 사용 할 때는 연소기 가까이에 불이 옮겨 붙기 쉬운 가연성 물질은 멀리하고, 자주 환기한다. 사용 중에는 가스의 불꽃을 확인*하고, 사용 후에는 가스밸브를 잠가 가스를 차단한다. 가스 누출의 위험이 높은 밸브 등의 연결부위는 비눗물을 사용해서 주기적으로 가스가 새는지 점검한다. 또한, 가스 누출이 의심될 경우 집안의 콘센트나 전기스위치는 절대 사용하지 말고, 가스밸브를 잠그고 환기한다. 이 때 라이터 등의 화기 사용을 금하고 전문가의 점검 후 사용한다.

김석진 행정안전부 안전정책실장은 “봄 이사철을 맞아 가스 막음조치 미비로 인한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반드시 전문가의 도움을 받고, 평소에도 가스안전을 생활화 해주실 것”을 당부하였다. 



[ 행정안전부 2018-04-12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209 여름철에는 벌레.곰팡이 이물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4 2021.07.09
2208 살모넬라균 오염 가능성 있는 Olde Thompson 고수 가루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9 2021.07.12
2207 작은 부품 탈락해 삼킴 사고 위험 있는 Janod 카메라 완구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7 2021.07.12
2206 뒷바퀴 탈락 위험 있는 Inglesina Quid 유모차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3 2021.07.12
2205 알레르기 유발 성분(콩) 미표시된 Centruy 참치 캔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6 2021.07.12
2204 제품명을 잘못 표시한 K&K 홍합 통조림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7 2021.07.12
2203 식중독 위험이 있는 RANDALL 콩 통조림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7 2021.07.12
2202 식중독 위험이 있는 S&W 콩 통조림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9 2021.07.12
2201 식중독 위험이 있는 Regent Pandan cake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6 2021.07.12
2200 미생물 오염 가능성이 있는 Bausch+lomb 렌즈액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4 2021.07.12
2199 청소년 여름철 당류 과다 섭취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5 2021.07.14
2198 여름 휴가철 국립공원 내 물놀이 '해루질이 가장 위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5 2021.07.15
2197 어르신이 주의해야 하는 약에는 어떤게 있나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7 2021.07.19
2196 전국 내륙 폭염 예고, 온열질환 예방을 위한 건강수칙 준수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3 2021.07.19
2195 여름철 캠핑용품으로 인한 안전사고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9 2021.07.20
2194 숨 막히는 폭염, 온열질환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4 2021.07.20
2193 종합마트 EEMART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1 2021.07.22
2192 피해다발업체 - 단소 잡화점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29 2021.07.22
2191 일부 휴대용 레이저용품에서 시력 손상 위험있는 레이저 방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 2021.07.22
2190 “휴가철 렌터카 소비자피해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8 2021.07.26
Board Pagination Prev 1 ...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 220 Next
/ 2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