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문화예술교육으로 만드는 행복한 주말

- 4월부터 ‘2018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시작 -

 

 

 

  평일의 바쁜 일상에 쫓겨 많은 시간을 함께하지 못했던 가족들과 대화를 나누고, 문화예술 체험을 통해 아이들에게 숨겨진 꿈과 끼를 찾아주고 싶다면 매주 주말 가까운 문화기반시설에서 진행되는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꿈다락 토요문화학교를 찾아보자.

 

  문화체육관광부(장관 도종환, 이하 문체부)는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원장 양현미, 이하 진흥원), 한국문화예술회관연합회(회장 김혜경, 이하 한문연), 17개 시도 지역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와 함께 4월부터 매주 주말 900여 개의 꿈다락 토요문화학교프로그램을 운영한다.

 

  ‘꿈다락 토요문화학교는 아동·청소년과, 아동·청소년을 포함하는 가족들에게 문화예술 체험 기회를 제공하고 건전한 주말여가문화를 형성하기 위해 2012년부터 시작됐다. 박물관, 도서관, 문화예술회관 등의 문화기반시설에서 미술, 음악, 건축 등 다양한 분야의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다양한 분야의 주제별 프로그램 운영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의 각 운영기관들은 다양한 교육, 체험 방식을 적용한 프로그램을 기획해 운영한다. 미술관·박물관에서는 시설과 소장품을 활용한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예를 들어, 세계민속악기박물관에서는 생소한 민속 악기를 체험하고, 아동이 상상한 이야기의 장면에 적합한 악기소리를 배경음악으로 결합해 본다. 한국예술종합학교·광주시립발레단 등 국공립단체·기관은 전문성을 활용해 가족들을 대상으로 수업을 하고 발표회를 열어보는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예술을 배운 적이 없는 아동도 음악을 작곡하고 미술로 자기 생각을 표현할 수 있게 하는 꼬마작곡가’, ‘어린이는 무엇을 믿는가라는 프로그램과 건축문화의 관점에서 지역에 대한 이해와 상상력을 높이고 현장학습과 건축가의 강의를 통해 건축문화를 배워보는 건축문화 프로그램을 연다. 예술가와 가족이 함께 낯선 곳을 여행하며 예술을 통해 소통하는 주말문화여행’, 합창이나 오케스트라 악기를 배우고 발표회를 준비하며 가족이 소통하는 가족 오케스트라·합창등 가족 대상 프로그램들도 다양하게 운영한다.

 

  ▲ 한문연에서는 문예회관의 뮤지컬·국악·클래식 공연, 전시회 등과 연계해 아동·청소년들이 일상 속에서 문화예술을 즐길 수 있는 예술 감상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작품을 감상하기 위해 해당 분야와 관련된 지식이나 감상하는 방법, 관람예절을 교육하고 교육과정 중 1회는 해당 분야의 공연이나 전시를 관람한다. 17개 광역 시도의 지역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에서는 지역의 문화자원을 활용한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예를 들어, 담양에서는 지역 특산물인 대나무를 이용한 공예 프로그램을, 밀양에서는 밀양아리랑과 타악, 전통연희 같은 예술 분야를 결합한 교육프로그램을 진행한다.

 

토요문화학교 운영 분야 확대 및 프로그램 개발

 

  문체부는 7년째를 맞이한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사업의 프로그램 운영 분야를 확대하고 신규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2017년도에 개발해 시범사업으로 운영한 문학프로그램 일상의 작가를 올해에는 신규사업으로 확대, 운영한다. ‘일상의 작가는 북카페, 작은책방, 도서관 등 문학 관련 공간을 활용해 작가와 함께 가족의 일상, 감정, 생각을 문학으로 풀어내는 프로그램이다. 이 프로그램은 문학적 감수성을 키우고 가족 간 소통의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청소년이 예술가와 함께 연극무대를 만들거나 영화를 제작하는 등 예술작업을 하며 문화예술분야의 직업을 체험해보는 청소년×예술가(진로 탐색) 프로그램도 확대 운영한다.

 

  ▲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해 과학기술과 융합한 아동·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 하반기에는 개발된 프로그램을 시범운영하는 등 사업모델을 개발한다. 각 프로그램들은 진흥원의 운영을 바탕으로 사업안내서(매뉴얼)를 만들고, 향후 지역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등 관련 기관과 공유해 우수 프로그램을 확대·보급할 예정이다.

 

  교육 장소와 내용, 일정 등 프로그램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진흥원이 운영하는 꿈다락 토요문화학교누리집(http://toyo.or.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대부분의 프로그램은 무료로 운영되며,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한부모가정, 결혼이민자가정, 북한이탈주민, 장애인 자녀, 특수교육대상자 등의 참여 신청은 우선 접수한다.

 

  문체부 정책 담당자는 지난해 꿈다락 토요문화학교만족도 조사를 통해 참여자들이 사업에 전반적으로 만족(90.5%)하고 가족 간 소통(94%)과 문화예술에 대한 관심(85.2%)이 많아졌다는 것을 확인했다.”라며 앞으로 만족도를 더욱 높이기 위해 우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사업 지원 체계를 개선하는 데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 문화체육관광부 2018-04-11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503 르노삼성·아우디·혼다·야마하 시정조치(리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3.04 41
6502 건설업 등 자진신고 사업장 3월31일까지 고용·산재보험료 신고.납부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3.16 41
6501 분양가상한제 합리화 방안 제도개선 후속조치 추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6.27 41
6500 7.11일부터 코로나19 생활지원 및 치료비 지원 제도 개편 적용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6.27 41
6499 휴가지에서도 음주운전은 절대 안돼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7.15 41
6498 신용카드 결제성 리볼빙 서비스 개선방안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8.24 41
6497 [소비자 유의사항 안내] 상해,실손보험 가입후 동일 직업 또는 직장내에서 직무만 변경되었더라도 그 사실을 보험회사에 알려야 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9.23 41
6496 2023년 장기요양보험료율 0.91% (소득대비) 결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9.26 41
6495 자가검사키트, 의료기기판매업 신고 편의점에서 구매 가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9.27 41
6494 2022년 3/4분기 소비자위해정보 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10.26 41
6493 부모의 마음으로, 따뜻하게 동행하겠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11.17 41
6492 내 혈관은 건강한가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8.31 41
6491 성폭력 신고현장 조사 거부 시 최대 500만 원 과태료 부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6.14 42
6490 2017년 5월 주민등록 인구는 5,173만 명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6.15 42
6489 사우디 여행시 주의 당부, 메르스 대응 적극 강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6.15 42
Board Pagination Prev 1 ... 482 483 484 485 486 487 488 489 490 491 ... 920 Next
/ 9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