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17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국토교통부(장관 김현미)는 ‘국민생명 지키기 3대 프로젝트’ 중 하나인 ‘교통안전 종합대책’의 추진 동력을 강화하기 위해 봄 행락철(4~5월)을 맞아 캠페인, 단속·점검 등 교통안전 강화 대책을 추진한다.

봄 행락철은 가족 단위 나들이, 단체관광, 연휴 기간(근로자의 날, 어린이 날, 부처님 오신 날) 등으로 인해 교통량이 집중되는 시기이므로 대형 교통사고와 그에 따른 사상자가 발생할 우려가 높다.

지난해 봄 행락철의 하루 평균 고속도로 통행량은 447만여 대로 다른 기간(435만 대)에 비해 약 2.7%p가 높고, 월 평균 교통사고 발생건수도 18,110건으로 역시 다른 기간(18,028건)에 비해 많다.

특히, 작년(5.11.) 영동고속도로 관광버스 졸음운전 사고(14명 사상자 발생) 등 봄 행락철 졸음운전 및 음주운전과 같은 위험 운행도 여전하여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다.

이에, 봄 행락철 대국민 교통안전 의식을 높여 교통사고를 예방하고자 지난 1월 23일 발표한 교통안전종합대책과 연계하여 다양한 교통안전 대책을 추진하는 것이다.

먼저 교통안전 홍보·캠페인을 강화한다.

오는 4월 24일 교통안전 공청회를 개최하여 범부처 공통 슬로건* 발표 및 캠페인 영상 상영 등 본격적으로 교통안전 홍보를 시작함을 선포하고, 유관기관과 협업을 통해 TV, 신문, 뉴미디어, 옥외광고 등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여 전파할 계획이다.

* 슬로건: 생명운전, 차보다 사람이 먼저다(3.19∼25. 대국민 설문조사 실시)


또한, 5월을 ‘교통안전의 달’로 선정하여 교통안전 국제컨퍼런스*(5.16∼18, 제주)에서 속도관리 정책 관련 특별 세션을 마련하고, 교통안전문화발전대회(5.15), 교통사고줄이기 한마음 대회(5. 29.) 등을 활용하여 교통안전정책을 홍보하는 등 다양한 행사를 통해 집중 홍보할 예정이다.

* 스웨덴, 미국, 호주 등 교통선진국의 공무원, 전문가 등 50개국 500여 명 참여


아울러, 봄 행락철 졸음운전, 과속운전 등 위험 운행에 대한 위험성도 지속적으로 알릴 계획이다.(4월∼)

봄 행락철을 맞아 차량 사전 점검, 안전 순찰 및 단속도 강화한다.

단체 여행 증가에 대비하여 국토부·경찰청·지자체 등 관계기관 합동으로 주요 관광지 전세 버스 대상 안전사항*을 일제점검(4. 4.∼4. 26., 10개 지역)하고 있으며, 운수단체와 합동으로 차량 안전 상태 점검 및 운전자 안전수칙 교육 등을 상시 진행 중(4∼5월)이다.

* 음주운전, 운전자 자격여부, 속도제한장치·운행기록계 작동, 재생 타이어 불법사용, 안전띠·소화기·탈출용 비상망치 설치 여부 등


또한, 고속도로 사고 취약시간대 및 사고 다발 구간에 안전순찰 활동을 확대(10회/일)하고, 졸음운전 취약시간대 ‘졸음알리미’를 상시 운영(300개소)하며, 사고·고장차 무료 견인 등 2차사고 예방 조치도 실시한다.

불법 운행 단속을 위해 고속도로 TG, 휴게소 주변에서 차내 음주가무, 안전띠 미착용 등에 대한 순회 지도 및 합동 단속(교통안전공단·경찰청·지자체)을 실시하고, 고속도로 내 대열운행 및 안전기준 위반(후부 반사판 훼손 등) 행위 등에 대한 상시 점검 및 단속도 강화한다.

한편, 사고 발생 시 신속한 대응체계 구축을 위해 경찰청, 운수단체, 119 구급대 등과 비상 연락체계를 구축하고, 사고 취약시간대 구난 견인차량 배치를 확대하여 사고 발생 시 신속한 구조, 구난 체계를 구축했다.

국토교통부 관계자는 “봄 행락철에는 교통사고 위험이 높은 만큼 안전 수칙을 준수하면서 운전에 보다 집중할 필요가 있고, 특히 졸음운전과 음주운전은 절대로 피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며, “앞으로도 행락철, 명절 등 사고 위험이 높은 시기에는 교통안전 의식을 높일 수 있는 대국민 캠페인을 집중적으로 실시하여 선진 교통문화를 정착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또한, “올해가 ‘교통사고 사망자 절반 줄이기’ 프로젝트의 원년인 만큼 봄 행락철 사고가 획기적으로 감소될 수 있도록 범 정부차원의 역량을 다할 것”이라면서, 앞으로 교통안전을 위해 본격적인 홍보가 시작되는 만큼 국민들의 적극적인 지지와 관심을 부탁하는 것과 함께 안전 운전에 적극 동참해 줄 것을 당부했다.



[ 국토교통부 2018-04-06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233 '연금형 달러 펀드'로 고수익을 올릴 수 있다고 유혹하는 외국 금융회사 사칭 '불법 금융투자업자'를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7 2024.03.14
3232 스트랩 앵커 이탈로 부상 위험있는 자전거 헬멧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7 2024.04.15
3231 잔류농약 기준 초과 수입 냉동 무청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8 2021.06.07
3230 화재 및 감전 위험이 있는 건전지 충전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8 2022.08.23
3229 화로용 ‘에탄올 연료’ 화재 위험에 주의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8 2022.09.28
3228 특정금전신탁 가입 시 소비자 유의사항 안내 - 특정금전신탁은 무조건 원금이 보장되는 것은 아닙니다. -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8 2022.11.23
3227 잠금장치 불량인 제트스키 승객용 좌석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8 2022.12.06
3226 통과한 빛에 화재 위험 있어 리콜된 Birds Choice 새 물통(1)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8 2022.12.07
3225 2-클로로에탄올 존재 가능성 있어 리콜된 Seitenbacher 피트니스 바(식품)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8 2022.12.08
3224 LG EBEST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8 2023.01.12
3223 캠핑가기 좋은 5월 화재 안전에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8 2023.05.09
3222 디에틸헥실프탈레이트(DEHP)를 과도하게 함유한 Trust 헤드셋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8 2024.02.29
3221 라벨 미표기 알레르기 유발물질(밀) 함유 가능성이 있는 아위가루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8 2024.02.29
3220 스테로이드 계열 의약품 성분이 포함된 Jamu Tea Black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8 2023.07.12
3219 소형 부품 탈락으로 질식 우려 있는 TY 봉제인형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8 2023.08.18
3218 히터 팬 고장으로 과열 및 화재 우려 있는 Brod & Taylor 식품건조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8 2023.09.07
3217 불이 붙을 위험이 있는 Tempur 여행용 베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8 2023.09.18
3216 플러그 접촉핀 절연처리 되지 않아 감전 위험이 있는 Tetris 와플메이커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8 2024.02.15
3215 배터리 발연 및 화재 위험 있는 테이블 조명 무상수리 조치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9 2022.07.11
3214 비 올 때 위험해지는 지하 공간, 이렇게 대피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9 2022.09.13
Board Pagination Prev 1 ...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