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주변 원룸보다 비싼 서울 주요대학 기숙사비, 합리적인지 의문 제기돼
현재 기숙사 수용률도 낮아 재학생 10명 중 2명도 채 수용 못해
정부는 기숙사 수용기준 마련하고, 대학은 건축적립기금 적극 사용해야
 
 
대학 기숙사는 학생들이 안정적인 주거공간에서 공부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필수 교육시설이다. 그러나 시설의 절대적인 부족은 학교 주변의 부동산 가격을 끌어올리고 있으며 최근 민자 방식으로 건설되는 경우가 늘면서 대학생들의 주거비 부담은 날로 더해지고 있다.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이덕승 회장) 물가감시센터(김천주·김연화 공동위원장)는 대학기숙사 비용과 수용현황 조사를 통해 기숙사비의 적정성과 낮은 수용률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고자 한다.
 
1. 4년제 사립대 기숙사비(2인실) 194천 원, 국립대보다 55천 원 비싸!
- 2인실의 경우, 대전가톨릭대 > 고려대 > 건국대 > 서강대 > 동국대 순으로 높아
- 사립대가 국·공립대보다 비싸고 수도권이 지방보다 비싸
4년제 국사립대학‘14년 기숙사비1인실 287천 원, 2인실 18만 원, 3인실 144천 원, 4인실 이상 137천 원으로, 2012년 기숙사비에 비해 소폭 인상된 수준을 보이고 있다.
사립대의 기숙사비는 ‘14년 기준 국립대보다 1인실은 86천 원, 2인실은 55천 원 비싼 것으로 나타났고, 대학알리미에 공시된 2인실 기준 기숙사비 상위 50개교를 보더라도 단 2개교를 제외하고 모두 사립대학이 차지하고 있어, 사립대 기숙사비가 국·공립에 비해 여전히 높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2인실 기숙사비는 대전가톨릭대학교가 513천 원으로 가장 비싸고, 고려대(388천 원), 건국대(363천 원), 서강대(357천 원), 동국대(348천 원) 등이 뒤를 이었다.
기숙사비는 서울인천경기소재 사립대학의 기숙사비가 지방보다 전체적으로 비쌌고, 서울지역 대학이 지방대학보다 최대 161천 원(1인실)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2. 기숙사비, 민자형태가 소유형태보다 비싸고 일부 대학 주변 원룸보다 비싸
- 사립대학 민자기숙사 1인실 445천원으로 소유형 기숙사보다 15만원 비싸
- 연세대·고려대·이화여대·한양대·경희대 기숙사비, 주변 부동산 시세보다 가격 높아
대학교 기숙사가 민간자본이 투입되어 건립된 경우 일반적인 소유형태에 비해 기숙사비가 비싼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사립대학의 경우 민자형태가 최소 7만 원(3인실)에서 최대 152천 원(1인실) 더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국사학진흥재단 자료에 따르면, 민자형태로 2인실을 보유한 52개교(국립 32개교, 사립 20개교) 중 상위 16개교가 모두 사립대학이고, 이 중 12개교가 수도권 소재 대학으로 나타나 비싼 민자기숙사의 상당수가 사립대학과 수도권 위주로 분포되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수도권 사립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들의 주거비 부담이 가중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2인실 민자기숙사비는 연세대(429천 원), 고려대(387천 원), 건국대(363천 원), 동국대(348천 원), 한국외대(분교, 33만 원) 순으로 높았다.
서울 주요대학의 기숙사비(1인실)를 주변 원룸 시세와 비교한 결과, 절반이 넘는 학교의 기숙사비가 원룸비보다도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연세대학교의 기숙사비(62만 원)는 주변 월세(평균 42만 원)에 비해 무려 20만 원이나 비쌌고, 고려대(502천 원)도 원룸비(38만 원)보다 122천 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화여대, 한양대, 경희대 역시 주변 시세보다 2.0~16.5% 비쌌고, 성균관대·서강대·중앙대의 기숙사비는 주변 월세보다 저렴하기는 하나 3~5만원 낮은 수준에 그쳤다. 기숙사의 건축에 학교 내 부지가 활용된다는 점을 감안하면 현재의 대학 기숙사비가 합리적으로 산정된 것인지 강한 의구심이 제기된다.


3. 대학기숙사, 재학생 10명 중 2명도 채 수용하지 못하고 있어
- 수도권 소재 대학 수용률은 13.8%로 타 지역 학생도 수용하지 못하는 심각한 수준
대학 기숙사비가 비싸다는 인식에도 불구하고 대학들의 기숙사 입실경쟁은 여전히 치열한 상황이다. 대학들의 ‘14년 기숙사 수용률이 18.3%에 불과해 재학생 10명 중 2명도 채 수용하지 못하고 있는 수준이기 때문이다. 수도권대학은 13.8%, 지방대학은 21.0%로 수도권 지역의 기숙사 시설이 특히 부족한 것으로 보인다. 한국장학진흥재단의 김종배 외(2013) 연구에서 추정한 전국 대학 재학생 대비 타 지역 출신 학생의 비율은 40.5%인데, 이들을 모두 수용할 수 있는 수준을 이상적이라고 본다면 현재의 기숙사 수용률은 매우 심각한 수준이라 판단된다.
 
4. 기숙사비 문제, 정부 정책 부실과 학생 주거복지에 대한 학교의 관심 부재 탓!
- 정부는 기숙사 수용기준에 대한 명확한 규정을 확립하고, 대학은 건축적립금 적극 사용해 저렴한 기숙사를 많은 학생들에게 공급할 수 있어야
현재의 대학 기숙사가 비싸면서도 절대적으로 부족해진 것은 대학생 주거복지에 대한 부실한 정부 정책과 학교 측의 관심 부재에 기인한다. 대학별 기숙사 수용인원을 전체 정원의 15% 이상으로 규정하였던 대학설치기준령1996대학설립·운영 규정으로 대체되면서 기숙사 최소 수용률에 대한 규제가 완전히 사라져 대학 스스로 기숙사를 의무적으로 건립해야 할 이유가 없어진 상황이다. 더욱이 현재 대학 해당 규정에는 기숙사가 설립과정에서 필수적으로 갖추어야 할 교육기본시설이 아닌 지원시설로 분류되어 있어 대학들이 기숙사 수요에 대응하지 않을 명분이 되고 있다. 기숙사 확충에 대한 정부의 규제가 부재하고 대학들도 소극적 자세로 일관함으로써 학생들에게 최소한의 복지조차 담보하지 못하고 있다. 실제 전체 대학의 기숙사 수용률 변화를 보더라도 ‘14년 현재 전전년 대비 0.8%p 증가한 것에 그치고 있다.
정부는 주거약자인 대학생들의 복지 제고를 위해 기숙사 수용기준에 대한 명확한 규정을 다시금 확립시킬 필요가 있다. 대학생 주거마련을 지원하고자 2013년 발표한 대학생 주거지원 5개년 계획에는 정부가 목표수용률을 25%로 설정하고 있으나, 이는 근거도 명확히 존재하지 않을뿐더러 타 지역 학생을 수용할 수 있는 기준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으므로 보다 적극적이고 체계적인 정책 수립이 요구된다. 대학들 또한 학생 복지 차원에서 기숙사 확충에 더욱 적극적으로 임해야 하며, 사립대학의 경우 2013년 말 기준 전체 적립금의 약 46.0%(37,696억 원)를 차지하고 있는 건축적립금 사용 용도를 명확히 규정하여 이를 학생들의 주거복지에 적극적으로 사용하도록 해야 한다. 본 협의회는 대학생들의 주거불안이 해소될 수 있도록 정부와 대학들의 노력과 보다 전향적인 자세의 변화를 촉구한다. .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2015-08-25]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190 재가 의료급여, 73개 시·군·구로 확대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6.30 14
1189 동남아 여행 후에는 검역소에서 뎅기열 검사 받아보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6.30 13
1188 중증질환자 치료 접근성을 높이고 장애인 보조기기 지원을 확대하여 국민부담 줄인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6.30 14
1187 하도급법 개정안 국회 본회의 통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6.30 15
1186 생활안정자금 융자 제출서류, 대폭 ‘다이어트’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7.03 17
1185 범죄피해 외국인을 위한 112 전문 통역 서비스 운영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7.03 18
1184 후원방문판매업자의 정보공개에 관한 고시 개정·시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7.03 35
1183 장기요양 복지용구 지원영역 확대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7.03 18
1182 해외직구식품 구매 시 국내 반입차단 원료.성분을 확인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7.03 17
1181 코로나19 예방접종, 코로나19감염 이후 주요질환발생 위험률 낮춰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7.03 19
1180 ‘주민감사청구’ 온라인으로, 연대서명 검증도 한 번에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7.03 19
1179 ‘전기요금복지할인’, ‘근로자생활안정자금융자’신청 종이 서류 없이 공공 마이데이터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7.03 17
1178 불법촬영 예방을 위한 공중화장실 칸막이 설치기준 마련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7.03 16
1177 자전거 통행 위험지역 조사 의무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7.03 19
1176 내 차에 적합한 ‘품질인증부품’ 구매 간편해진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7.04 15
Board Pagination Prev 1 ... 842 843 844 845 846 847 848 849 850 851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