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생활 속 궁금한 질병통계정보, 심사평가원에서 확인하세요!
- ‘생활 속 질병통계 100선’ 발간...질병정보+통계정보로 활용도 높여 -

□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김승택, 이하 ‘심사평가원’)은 국민 생활과 밀접하고 관심이 높은 질병을 통계로 알기 쉽게 풀어 쓴 책자인 “생활 속 질병통계 100선”을 발간한다고 밝혔다.

□ ‘생활 속 질병통계 100선’은 장염, 관절염 등 국민이 일상에서 흔히 접하는 질병·진료행위 100개 항목*에 대해 다양한 의학정보와 함께 여러 관점의 통계현황을 국민 눈높이에서 이해하기 쉽게 정리, 수록되었다.
     * 장염, 관절염 등 85개 질병과 내시경, 사시 수술 등 15개 진료행위로 구성

 ○ 책자는 ▲ PartⅠ. 내과, 외과 분야 ▲ PartⅡ. 피부, 비뇨, 산부인과, 안·이비인후과 분야 ▲ PartⅢ. 정신건강의학과, 악성 신생물 및 기타분야로 구분하였고, 심사평가원의 상근심사위원 및 각 전문의학회의 자문을 받아 내용의 정확도를 높였다.

 ○ 각 질병별 세부 내용은 정의 및 원인, 증상 등 의학적 설명을 기술한 ‘질병정보’ 부문, 질병에 대한 통계를 표와 그래프로 보여주고 특징을 분석한 ‘통계정보’ 부문으로 구성되었다.

□ 책자의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봄철 주의 할 질병, 알레르기성 결막염>

 ○ 2016년 기준 월별 알레르기성 결막염 환자수는 봄철(4월)에 28만 9천명으로 크게 증가하고 여름철까지 증가 추세가 지속되다가 9월 이후 감소하는 양상을 나타낸다.

   - 알레르기성 결막염은 알레르기 유발물질이 눈의 결막에 접촉 후 과민반응을 일으켜 결막에 염증이 발생하는 질환이다. 봄철에 꽃가루, 황사 등이 원인이 되어 4월에 환자수가 급증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우리아이 성장 관련, 성조숙증>

 ○ 성조숙증이란, 8세 이전에 가슴이 나오거나 고환이 커지는 증상 등 이차 성징이 또래에 비해 비정상적으로 빠른 경우를 말한다. 성장이 빠른 만큼 성장판이 일찍 닫혀 성인키가 작아질 확률이 높으므로 조기에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 성조숙증 환자 수는 2012년 5만 5천명에서 2016년 8만 6천명으로 연평균 11.8% 증가하였다. 이러한 증가는 서구화된 식습관으로 인한 어린이 비만 증가나 환경 호르몬 노출 증가 등이 주요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중년 여성이 주의해야 할 질병, 퇴행성관절염>
 ○ 퇴행성관절염 환자 수는 2016년 여자 252만 명, 남자 116만 명으로 여자가 남자보다 2.2배 많고, 여자의 경우 50대 이후부터 크게 증가하여 60대에 30.2%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 중년 여성은 남성에 비해 근력이 약하고, 폐경 이후 호르몬 변화로 인한 골밀도 감소로 퇴행성관절염 발생 위험이 높으므로 체중관리, 조기 검진 등 예방 및 관리가 필요하다.


< 사회적 관심이 많은 질환, 공황장애>
 ○ 공황장애는 특별한 이유 없이 예상치 못하게 나타나는 극단적인 불안 증상을 나타내는 질환이다. 환자 수는 2012년 8만 3천명에서 2016년 12만 7천명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 공황장애 환자가 증가하는 이유는 매스컴을 통해 유명 연예인들이 공황장애에 걸렸다는 사실을 고백하면서 대중이 질병에 대해 알게 되고, 예전보다 정신건강의학과 진료의 부정적 인식이 줄어든 사회적 현상과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 암 사망원인 1위, 폐암>
 ○ 폐암 환자 수는 2012년 6만 4천명에서 2016년 8만명으로 연평균 5.5% 증가했고, 성별로는 2016년 기준으로 남자가 여자보다 1.8배 더 많다.

   - 폐암은 암 사망원인 1위(통계청, 2015년 사망원인 통계)로 초기에는 증상이 거의 없고 증상이 나타나 병원을 찾으면 진행이 되어 치료가 어려운 경우가 많으므로 조기 진단이 중요하다.


□ 심사평가원은 발간된 책자를 지역 주민들이 쉽게 접할 수 있도록 전국 시·군·구 보건소 및 보건의료원에 책자를 배부하고, e-book으로도 제작해 심사평가원 홈페이지에 게시* 할 예정이다.
    * 게시위치: 심사평가원 홈페이지(www.hira.or.kr)>의료정보>간행물>HIRA e-book

 ○ 책자에 수록된 통계는 심사평가원 보건의료빅데이터개방시스템에서 상세하게 확인할 수 있다.

    * 이용방법: 보건의료빅데이터개방시스템(http://opendata.hira.or.kr) ▶ 의료통계정보 ▶ 질병/행위별 의료통계 ▶국민관심통계(질병통계, 진료행위통계, 질병/행위통계)

 

□ 심사평가원 배수인 의료정보융합실장은 “국민이 공감하는 생활형 질병 통계 제공으로 통계를 쉽게 이해하고 건강관리에 활용하길 기대하며, 앞으로도 국민 친화적 보건의료 통계 서비스를 확대해 나가도록 하겠다”라고 밝혔다.



[ 보건복지부 2018-03-28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286 새마을금고 맡기신 예적금, 안전하게 보호하겠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7.06 19
6285 새마을금고 민원 말로만 신청해도 OK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5.13 151
6284 새마을금고, 중도해지한 예적금 재예치 혜택기한이 이틀 뒤 종료됩니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7.13 18
6283 새마을금고, 지역주민을 위한 금융지원 서비스 강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1.14 83
6282 새벽배송, 배송지연 시 자체 보상기준 없고 유통기한 등 표시 미흡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2.24 22
6281 새일센터, 올해 경력단절여성 1만 5천명 대상 774개 무료 직업훈련과정 실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3.16 37
6280 새일센터에서 직업훈련부터 취업까지 한번에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2.26 17
6279 새집증후군 예방 위한 친환경 건축자재 성능·안전성 점검 진행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3.21 41
6278 새치용 염모제, 염색 밝기·윤기 등 제품 특성에 차이 있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9.14 68
6277 새학기 청소년 고민, 사회관계망서비스에서 상담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3.02 60
6276 새학년, 새학기 고민 ‘청소년상담1388’에서 나눠보자!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3.05 25
6275 새학년·신학기 고민은 청소년상담1388로 지금 연락주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3.05 11
6274 새해 주거급여, 더 많은 분들께 더 많은 혜택을 드립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1.02 10
6273 새해부터 달라지는 금융제도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2.28 52
6272 새해부터 달라지는 금융제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2.28 29
Board Pagination Prev 1 ... 500 501 502 503 504 505 506 507 508 509 ... 924 Next
/ 9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