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만성콩팥병 환자 중 건강한 비만 환자도 콩팥기능 악화될 위험 높다!

□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만성콩팥병* 환자 중 대사 이상**이 없는 ‘건강한 비만’*** 환자도 대사 이상이 없는 비만하지 않은 환자에 비해 콩팥기능 악화 위험이 2배로 높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하였다.

    * 만성콩팥병(만성신장질환) : 3개월 이상 만성적으로 신장의 손상이 있거나 신장 기능이 저하되어 있는 각종 질환을 의미
   ** 대사 이상 : 고혈압, 당뇨, 이상지질혈증 등
   *** 건강한 비만(MHO, Metabolically Healthy obesity) : 비만하지만 대사 이상을 동반하지 않는 비만의 유형

 ○ 서울대병원 등 9개 병원*이 참여하여 만성콩팥병 성인 환자 1,940명을 대상으로 비만 및 대사 이상 동반 여부에 따른 콩팥 기능 악화** 위험을 추적 분석하였다.

    * 가천대길병원, 강북삼성병원, 노원을지병원, 부산백병원, 분당서울대병원, 서울대병원, 서울성모병원, 연세대세브란스병원, 전남대병원(가나다순)
   **  콩팥기능 악화: 사구체여과율 50%이상 감소, 투석 또는 신장이식 받은 경우

   - 그 결과, 대사 이상이 없는 건강한 비만 환자군에서도 콩팥 기능 악화 위험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 이번 연구를 통해 만성콩팥병 환자에서 대사 이상을 동반하지 않은 건강한 비만도 콩팥기능 악화 위험을 증가시킨다는 점이 밝혀졌다.

 ○ 한승혁, 윤해룡 교수* 등이 정리한 이번 연구 결과는 건강한 비만 환자군의 예후 논란을 설명할 수 있는 점을 인정받아 신장 분야 국제학술지 American journal of kidney disease에 등재 예정이다.
    *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 신장내과

□ 질병관리본부는 한국인 만성콩팥병의 원인질환과 임상적 양상, 합병증 발병 양상, 악화요인, 사망위험률 등 특성을 파악하고 의과학적 증거를 확보하기 위해 추적조사 연구를 기획하였다.

 ○ 현재 진행 중인 만성콩팥병 추적조사 연구*를 통해 생산한 기초자료를 근거로 국내 실정에 맞는 임상진료지침을 마련할 계획이다.

   - 미국, 영국, 일본, 호주, 유럽 등 선진국은 각 국의 특성에 맞는 임상진료지침을 갖추고 있다.
    * 연구과제명 : 유형별 만성신장질환 생존 및 신기능 보존 10년 추적조사 연구

   - 우리나라는 2011년부터 서울대학교병원(연구책임 : 안규리 교수) 등 17개 병원*에서 성인 및 소아 만성콩팥병 환자와 신장이식 환자 등 약 4,000명을 10년 간 추적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 가천길병원, 강북삼성병원, 경북대병원, 계명대병원, 고려대안암병원, 노원을지병원, 부산대양산병원, 부산백병원, 분당서울대병원, 삼성서울병원, 서울대병원, 서울성모병원, 서울아산병원, 연세대세브란스병원, 전남대병원, 전북대병원, 제주대병원(가나다순)   

□ 정은경 질병관리본부장은 “이번 연구결과가 만성콩팥병 환자 관리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 아울러, “만성콩팥병 환자를 포함한 전 국민이 건강한 신체를 위하여 지속적인 운동과 식이조절 등을 실천, 비만은 감소시키고 근육은 증가시켜야 한다”고 당부하였다.

 ○ 한편, 질병관리본부는 전 국민을 대상으로 만성콩팥병 예방관리를 위한 가이드라인 및 교육자료 등을 보급하고 있다.

   - 특히, 지난 2월 대한소아신장학회와 공동으로 보건교사용 길라잡이와 상황별 교육 자료*(8종)을 만들어 전국 초・중・고등학교에 배포하였다.

    * 고혈압, 단백뇨, 요당, 요잠혈 (청소년, 보호자용 및 어린이용 각 4종)
    * 질병관리본부 홈페이지(http://cdc.go.kr → 민원/정보공개 → 정보공개 → 교육자료)에서 다운받을 수 있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171 캠핌용품 쇼핑몰 캠핑SM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9 2021.06.30
2170 가정 내 어린이 트램펄린 안전사고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7 2021.06.29
2169 무등록 제조 제품을 소분한 곡류가공품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4 2021.06.29
2168 "다양한 변비약! 전문가와 상의해 선택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9 2021.06.28
2167 쇠줄 혼입 가능성 있는 L’il Critters 유아 영양보충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4 2021.06.24
2166 쇠줄 혼입 가능성 있는 multivites 영양보충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0 2021.06.24
2165 사용 중 손잡이가 파손될 수 있는 Morfboard 스케이트보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9 2021.06.24
2164 리튬 이온 배터리 불량으로 발열 및 발연 우려 있는 파이오니아 블랙박스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6 2021.06.24
2163 다른 제품 혼입돼 아몬드 알레르기 유발 위험 있는 Hershey’s 초콜릿 시럽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7 2021.06.24
2162 알레르기 성분(우유) 미표기된 BUBS Naturals MCT 오일 파우더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6 2021.06.24
2161 알레르기 성분(땅콩) 미표기된 Natural Way 아몬드 버터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8 2021.06.24
2160 유리조각 혼입 가능성 있는 Weleda 바디로션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2 2021.06.24
2159 발수 기능이 미흡한 Karrimor 남성용 재킷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3 2021.06.24
2158 누수로 인한 화상 위험 있는 Joy Mangano 스팀다리미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3 2021.06.24
2157 차아염소산을 함유해 구강을 자극할 수 있는 HiSmile 치아미백기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1 2021.06.24
2156 미세먼지 차단 기능이 미흡한 Dr. Frei 마스크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4 2021.06.24
2155 가열된 물이 새어나와 화상 위험 있는 Dretec 전기포트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3 2021.06.24
2154 온도조절장치 하자로 화재 발생 위험 있는 Girmi 가정용 튀김기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4 2021.06.24
2153 때 이른 무더위, 물놀이 사고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0 2021.06.24
2152 기계톱 안전사고, 60대 이상 고령층에 다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5 2021.06.24
Board Pagination Prev 1 ...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 218 Next
/ 218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