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만성콩팥병 환자 중 건강한 비만 환자도 콩팥기능 악화될 위험 높다!

□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만성콩팥병* 환자 중 대사 이상**이 없는 ‘건강한 비만’*** 환자도 대사 이상이 없는 비만하지 않은 환자에 비해 콩팥기능 악화 위험이 2배로 높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하였다.

    * 만성콩팥병(만성신장질환) : 3개월 이상 만성적으로 신장의 손상이 있거나 신장 기능이 저하되어 있는 각종 질환을 의미
   ** 대사 이상 : 고혈압, 당뇨, 이상지질혈증 등
   *** 건강한 비만(MHO, Metabolically Healthy obesity) : 비만하지만 대사 이상을 동반하지 않는 비만의 유형

 ○ 서울대병원 등 9개 병원*이 참여하여 만성콩팥병 성인 환자 1,940명을 대상으로 비만 및 대사 이상 동반 여부에 따른 콩팥 기능 악화** 위험을 추적 분석하였다.

    * 가천대길병원, 강북삼성병원, 노원을지병원, 부산백병원, 분당서울대병원, 서울대병원, 서울성모병원, 연세대세브란스병원, 전남대병원(가나다순)
   **  콩팥기능 악화: 사구체여과율 50%이상 감소, 투석 또는 신장이식 받은 경우

   - 그 결과, 대사 이상이 없는 건강한 비만 환자군에서도 콩팥 기능 악화 위험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 이번 연구를 통해 만성콩팥병 환자에서 대사 이상을 동반하지 않은 건강한 비만도 콩팥기능 악화 위험을 증가시킨다는 점이 밝혀졌다.

 ○ 한승혁, 윤해룡 교수* 등이 정리한 이번 연구 결과는 건강한 비만 환자군의 예후 논란을 설명할 수 있는 점을 인정받아 신장 분야 국제학술지 American journal of kidney disease에 등재 예정이다.
    *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 신장내과

□ 질병관리본부는 한국인 만성콩팥병의 원인질환과 임상적 양상, 합병증 발병 양상, 악화요인, 사망위험률 등 특성을 파악하고 의과학적 증거를 확보하기 위해 추적조사 연구를 기획하였다.

 ○ 현재 진행 중인 만성콩팥병 추적조사 연구*를 통해 생산한 기초자료를 근거로 국내 실정에 맞는 임상진료지침을 마련할 계획이다.

   - 미국, 영국, 일본, 호주, 유럽 등 선진국은 각 국의 특성에 맞는 임상진료지침을 갖추고 있다.
    * 연구과제명 : 유형별 만성신장질환 생존 및 신기능 보존 10년 추적조사 연구

   - 우리나라는 2011년부터 서울대학교병원(연구책임 : 안규리 교수) 등 17개 병원*에서 성인 및 소아 만성콩팥병 환자와 신장이식 환자 등 약 4,000명을 10년 간 추적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 가천길병원, 강북삼성병원, 경북대병원, 계명대병원, 고려대안암병원, 노원을지병원, 부산대양산병원, 부산백병원, 분당서울대병원, 삼성서울병원, 서울대병원, 서울성모병원, 서울아산병원, 연세대세브란스병원, 전남대병원, 전북대병원, 제주대병원(가나다순)   

□ 정은경 질병관리본부장은 “이번 연구결과가 만성콩팥병 환자 관리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 아울러, “만성콩팥병 환자를 포함한 전 국민이 건강한 신체를 위하여 지속적인 운동과 식이조절 등을 실천, 비만은 감소시키고 근육은 증가시켜야 한다”고 당부하였다.

 ○ 한편, 질병관리본부는 전 국민을 대상으로 만성콩팥병 예방관리를 위한 가이드라인 및 교육자료 등을 보급하고 있다.

   - 특히, 지난 2월 대한소아신장학회와 공동으로 보건교사용 길라잡이와 상황별 교육 자료*(8종)을 만들어 전국 초・중・고등학교에 배포하였다.

    * 고혈압, 단백뇨, 요당, 요잠혈 (청소년, 보호자용 및 어린이용 각 4종)
    * 질병관리본부 홈페이지(http://cdc.go.kr → 민원/정보공개 → 정보공개 → 교육자료)에서 다운받을 수 있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274 네일서비스, 계약해지 거부 및 위약금 과다 청구 많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8 2018.06.29
2273 ECOIFFIER 테이블 완구(Table eveil maxi Abrick), 작은 부품으로 인한 질식 위험으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8 2018.06.20
2272 Keracare 샴푸, 박테리아 감염 가능성이 있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8 2018.04.12
2271 패류독소 기준 초과해역 2곳 추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8 2018.04.06
2270 식약처, 황사.미세먼지 대비‘보건용마스크’ 정보 제공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8 2018.03.16
2269 전국적으로 강력한 한파 예상, 한랭질환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8 2018.01.10
2268 어린이가 사용하는 핑거페인트, 안전성에 문제 있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8 2017.10.17
2267 고령층 대상, '관절건강' 부당광고하는 식품 등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7 2022.03.24
2266 전기 절연처리가 미흡해 감전 위험있는 USB 충전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7 2022.03.08
2265 기준치 초과 PAH가 검출될 수 있는 STIHL 장갑 회수 및 환급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7 2022.03.08
2264 국내 유통 수산물의 동물용의약품 잔류수준 안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7 2021.04.01
2263 화재 위험 있는 THANKO 전기담요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7 2021.02.26
2262 잠금장치 열릴 수 있는 Sea to summit 코펠 냄비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7 2021.01.27
2261 일부 자외선 살균제품, 살균파장 방출되지 않거나 오존 발생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7 2020.12.23
2260 안전한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을 위한 예방수칙 준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7 2020.10.26
2259 비브리오패혈증 환자 발생 증가, 예방수칙 준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7 2020.09.02
2258 청소년 울리는 고금리 사채, 대리입금 거래를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7 2020.07.09
2257 가을 나들이철, 식중독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7 2019.10.23
2256 Nabisco 쿠키, 응고 성분 혼입 가능성 있어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7 2019.06.14
2255 식약처, 사용 금지 살균보존제 함유 세척제 회수.폐기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7 2019.04.17
Board Pagination Prev 1 ...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 217 Next
/ 21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