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행정안전부(장관 김부겸)는 4월에 중점 관리할 재난안전사고 유형을 선정하고, 피해예방을 위해 국민들에게 각별한 주의를 당부하였다. 중점 관리 재난안전사고 유형은 통계(재해연보, 재난연감/행정안전부)에 따른 발생빈도*와 사회관계망 서비스(SNS)에 나타난 국민 관심도**를 고려하였다. 정부는 중점 관리 유형을 관계부처 및 지방자치단체와 공유하여 적극적인 예방 대책으로 이어지게 하고, 국민들에게는 재난 유형별 행동요령을 알려 대비하도록 할 계획이다.

(산불) 4월은 산불로 인한 피해가 가장 큰 시기로, 산림 소실 등 연간 피해면적의 1/3이 발생되었고, 강한 바람과 건조한 날씨 등으로 대형화 위험도 높다. 산림청은 3월15일부터 4월22일까지를 ‘대형 산불 특별대책기간’으로 정하고, 유관기관*과 공조체계를 구축하는 등 대형 산불과 동시다발 산불에 대한 예방과 진화 대응 등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 또한, 중‧대형 산불이 발생하면 중앙산불현장지원단과 공중‧특수진화대*를 신속히 투입하여 산불을 진화할 계획이다. 특히, 산림헬기와 지방자치단체 임차 헬기 등과의 공조*를 강화하고, 동시 다발 대형 산불 발생 위험이 높은 강원 동해안과 경기 북부 등 산불 취약지역**에는 산림헬기를 전진 배치하여 대응하고 있다.

(지역축제 안전사고) 4월에는 전국 각지에서 각종 봄맞이 축제가 개최될 예정으로 축제 중 한꺼번에 많은 관람객이 몰리는 경우 안전사고*의 위험이 높다. 행정안전부는 4월1일부터 5월31일까지 ’봄철 지역축제 안전관리실태’를 지방자치단체와 중앙 합동으로 점검*할 계획이다. 지방자치단체는 순간관람인원 1천명 이상의 축제에 대해서는 안전관리계획을 심의하고, 주최 측에서도 축제기간에 현장종합상황실을 운영하는 등 안전관리를 철저히 해야 한다.

(해상조난사고) 4월은 해상조난사고로 인한 인명사고가 1월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이 발생하였다. 해양경찰청은 해상조난사고 발생 시, 신속한 초기상황 파악을 위해 신고접수시스템을 개선*하고 및 해상교통관제센터(VTS) 관제구역을 확대**하였다. 또한, 신속한 사고 대응 및 구조를 위하여 해양경찰서 구조대와 거리가 멀고 사고가 자주 발생하는 파출소에는 구조장비와 잠수대원이 배치된 구조 거점 파출소를 운영하고 있다.

(농기계사고) 봄철 영농기에는 농기계 사고가 가장 많이 발생한다. 특히 농촌 고령화 등으로 인한 노령층의 안전사고 위험이 높다. 농기계 사고를 예방하려면 평소 점검과 정비를 생활화하고, 부품 등은 시기에 맞춰 제 때 교체하는 것이 좋고 안전수칙을 잘 지킨다. 농기계로 도로를 다닐 때는 반드시 교통신호를 지키고, 농기계 뒷면에 야광 반사판 같은 등화 장치를 붙여 저녁 시간대 교통사고를 예방한다. 또한, 경찰청 및 지방자치단체는 사고 예방활동을 강화하며, 특히 고령자 맞춤형 예방수칙 홍보가 필요하다.

(황사) 2016년 및 평년(‘81~’10) 자료에 따르면 4월에 가장 많은 황사가 발생하였고, 과거에 비해 연간 황사 발생 일수는 증가* 추세다. 또한, 황사 외에도 계절풍을 타고 날아오는 각종 먼지와 꽃가루 등의 영향으로 대기 중 미세먼지** 농도가 가장 높아지는 시기이다. 미세먼지 중 PM10 오염도는 최근 정체* 상황이나, 인체 위해성이 높은 PM2.5는 고농도 발생이 빈번**하다. 황사나 미세먼지가 농도가 높은 날 외출 시에는 보건용 마스크를 착용하고, 노약자나 영유아 호흡기 질환자 등은 실외 활동을 삼가는 등 각별히 주의한다.

(강풍‧풍랑) 4월은 강풍과 풍랑으로 인한 피해 횟수가 가장 많은 달이다. 통계에 따르면 지난 10년간(’07~‘16) 총 10회의 강풍(풍랑)으로 260억 원의 재산피해가 발생하였다.

류희인 행정안전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은 “4월에 발생하기 쉬운 재난안전사고에 대비해 각 중앙부처와 지자체가 함께 중점 관리해 소중한 국민의 안전을 지키는데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국민 여러분께서도 이러한 재난안전사고에 관심을 가지고 사전에 행동요령을 숙지하는 등 적극 대비해 주실 것을 당부드린다.”라고 말했다.    



[ 행정안전부 2018-03-29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889 마비성 패류독소 발생 및 검사현황(3월14일 현재) 강원도소비생활센터 999 2016.03.16
2888 마비성 패류독소 발생 및 변동상황(2016.3.8. 현재) 강원도소비생활센터 989 2016.03.10
2887 마사지건 안전 주의사항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2 2021.09.06
2886 마스크 온라인 쇼핑 사기 피해주의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9 2020.03.16
2885 마스크 피부 발진, 화장품으로 개선? 믿지 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0 2021.01.28
2884 막바지 겨울, 2월에는 한파, 대설, 화재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0 2021.01.29
2883 만 12세 사람유두종바이러스 백신 미접종 이유의 73.5%는 부작용 걱정, 실제로는 심각한 부작용 ´0´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9 2017.08.17
2882 만성질환자를 위한 자가투여 주사제 안전사용 정보 제공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5 2019.11.29
2881 만성콩팥병 환자 중 건강한 비만 환자도 콩팥기능 악화될 위험 높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2 2018.03.29
2880 만성콩팥병, 진행될수록 합병증과 사망 위험성 커져!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4 2019.03.14
2879 만트럭버스코리아(주) 덤프트럭 1,868대 리콜 실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7 2021.06.08
2878 말라리아 다발생 지역 거주 또는 여행 시 감염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7 2021.04.23
2877 말라리아 매개모기 증가, 방역 강화와 신속한 진단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2 2023.07.12
2876 말라리아 발생지역 거주 또는 여행 시 감염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7 2020.04.24
2875 말라리아 환자 전년 대비 3.3배 증가에 따른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6 2023.06.15
2874 말라리아, 위험지역 거주나 여행 시 감염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8 2019.04.24
2873 말라리아, 위험지역 여행 시 감염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3 2018.04.25
2872 맘스터치 매운양념치킨 판매중단 안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585 2016.08.22
2871 맘앤마트 / MOMNMART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1 2022.12.29
2870 맘앤쥬 펭귄 어린이 칫솔 자발적 환급 등 안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544 2016.10.28
Board Pagination Prev 1 ...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 220 Next
/ 2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