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광고에 현혹되지 말고 치료여부 신중히 결정해야 -

최근 인기를 끌고 있는 치아 투명교정*이 광고내용이나 사전설명과 달리 효과가 없거나 단계별 치료가 적절히 이루어지지 않아 교정치료를 중단하는 피해 뿐 아니라 선납한 고액의 진료비를 돌려받지 못해 이중피해를 겪고 있다는 소비자불만이 급증하고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 얇고 투명한 레진(특수 강화 플라스틱)으로 된 틀을 이용하여 치열을 교정하는 시술

소비자불만 전년동기 대비 186.7% 증가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최근 2년 3개월간(2016.1.1.~2018.3.20.) 1372소비자상담센터*에 접수된 투명교정 관련 불만은 총 332건으로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특히, 최근 3개월 동안 86건이 접수되어 전년동기 (30건) 대비 186.7% 증가했다.

* 공정거래위원회가 운영하는 전국 단위 소비자상담 통합 콜센터(국번없이 1372)로 소비자단체·한국소비자원·광역지자체가 참여하여 상담을 수행

또한, 진료비는 100만원대부터 700만원대까지 개인별 편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부실진료‘ 불만이 투명교정 치료중단 사유의 절반 이상 차지

투명교정 치료중단 사유는 의료기관의 ‘부실진료’가 180건(54.2%)으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고, ‘부작용 발생’이 60건(18.1%)을 차지했다.

부실진료의 세부 내용으로는 ‘효과없음’이 50건(27.8%)으로 가장 많았고, ‘진료 및 관리소홀’ 34건(18.9%), ‘교정장치 제공지연’ 27건(15.0%), ‘교정장치 이상’ 19건(10.6%) 등 의료기관의 진료 및 사후관리 전반에 대한 불만이었다.

선납진료비 환급기준 마련과 과장광고 규제 필요

투명교정의 경우 치료대상이 제한적이고 소비자의 협조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며 성실하게 진료를 받더라도 원하는 대로 교정이 되지 않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단계별로 교정상태를 꼼꼼히 확인하면서 치료를 진행해야 한다.

그러나 일부 의료기관의 경우 과도한 이벤트성 광고로 소비자를 유인한 후 무분별하고 불성실한 진료를 행하거나 치료가 중단된 경우에도 소비자가 선납한 진료비 환급 거부 또는 과다한 위약금 등을 청구하고 있다.

이처럼 투명교정 관련 분쟁이 많아지면서 지난해 대한치과교정학회는 교정진료비 환불 권고안에 투명교정 장치를 포함(2017.12. 개정)시켰으나 소비자피해를 해결하기에는 미흡한 실정이다.

한국소비자원은 투명교정 등 치아교정 중단으로 인한 소비자피해의 효율적 해결을 위해 관련기관과 협의하여 선납진료비 환급기준(소비자분쟁해결기준)을 마련하는 한편, 피해예방 및 확산 방지를 위해 학회 등과 함께 소비자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예정이다. 아울러 관계부처에는 과도한 가격할인 등 과장광고를 하는 의료기관에 대한 관리·감독 강화를 요청할 계획이다.

또한, 소비자들에게는 ▲가격할인이나 이벤트 등 광고에 현혹되지 말고 ▲투명교정 대상 여부와 치료 효과, 관리, 주치의 변경 여부 등에 대한 정보를 사전에 충분히 확인한 후 치료 여부를 결정하며 ▲장치를 제대로 착용하지 않으면 교정 효과가 없을 수 있음을 충분히 인식하고, 골격과 치아상태 등에 따라 적합한 치료법을 선택하도록 당부했다.



[ 한국소비자원 2018-03-29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4174 항히스타민제 안전하게 사용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0 2024.03.20
4173 내가 쓰는 코인 거래소는 안전할까, 가짜 거래소를 이용한 가상자산 투자사기를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 2024.03.20
4172 실손 보상이 된다는 의사 말만 믿고 고가의 신의료기술 치료를 받았다가는 큰 낭패를 당할 수도 있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 2024.03.20
4171 살모넬라 오염 가능성이 있는 Quaker 시리얼류(6)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 2024.03.19
4170 살모넬라 오염 가능성이 있는 Quaker 시리얼류(5)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 2024.03.19
4169 살모넬라 오염 가능성이 있는 Quaker 시리얼류(4)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8 2024.03.19
4168 살모넬라 오염 가능성이 있는 Quaker 시리얼류(3)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 2024.03.19
4167 살모넬라 오염 가능성이 있는 Quaker 시리얼류(2)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8 2024.03.18
4166 살모넬라 오염 가능성이 있는 Quaker 시리얼류(1)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 2024.03.18
4165 살모넬라 오염 가능성이 있는 Gamesa 시리얼류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8 2024.03.18
4164 살모넬라 오염 가능성이 있는 Cap’n Crunch 시리얼류(3)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 2024.03.18
4163 살모넬라 오염 가능성이 있는 Cap’n Crunch 시리얼류(2)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 2024.03.18
4162 살모넬라 오염 가능성이 있는 Cap’n Crunch 시리얼류(1)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 2024.03.18
4161 사용 중 파손위험 있는 골프 가방 판매차단 안내(2)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 2024.03.18
4160 사용 중 파손위험 있는 골프 가방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 2024.03.18
4159 부력 수준 미흡해 익사 위험 있는 SBART 구명조끼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 2024.03.18
4158 부력 수준 미흡해 익사 위험 있는 Omouboi 구명조끼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7 2024.03.18
4157 부력 수준 미흡해 익사 위험 있는 NBY 구명조끼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 2024.03.18
4156 부력 수준 미흡해 익사 위험 있는 Hisea 구명조끼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 2024.03.18
4155 방사선 조사처리한 원료를 사용한 Grillon D'or 뮤즐리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 2024.03.18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 217 Next
/ 21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