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환경부, 이미 승인된 12개 차종 11만대를 제외한 Q3 등 3개 차종 1만 6,215대의 최종 결함시정 계획 3월 28일 승인


환경부(장관 김은경)는 아우디폭스바겐코리아(주)가 제출한 Q3, Q5, 골프 1.6 등 3개 차종 1만 6,215대에 대한 결함시정(이하 리콜) 계획을 3월 28일 승인한다고 밝혔다.

이들 차량은 지난 2015년 11월 26일 배출가스 조작으로 인증취소(판매정지), 과징금(141억 원), 리콜 명령을 받은 15개 차종 12만 5,515대에 포함된 차종이며, 이로써 아우디폭스바겐(주) 배출가스 조작차량에 대한 리콜 승인이 모두 끝났다.

리콜차량-1

리콜은 통상 리콜 명령이 내려진 이후 제작사가 리콜 계획을 제출하고 이의 타당성을 환경부가 검증하여 승인된 이후 소비자를 대상으로 실시된다.

아우디폭스바겐(주)은 배출가스 조작이 확인되고 1년 여가 지난 2016년 10월 리콜계획서를 최종 제출했으며 환경부는 이를 검토하여 지난해 1월부터 순차적으로 리콜 계획을 승인해왔다.

특히 이번 3개 차종의 경우 일부조건에서의 질소산화물 과다배출 문제가 완전히 해소되지 않아 추가 차량을 선정하여 리콜계획을 검증·보완하는 과정에서 다소 시일이 소요되었다.

리콜대상 차량들은 차속, 냉각수 온도센서 등을 이용하여 인증시험조건과 이외 주행조건을 구분하고 배출가스재순환장치(EGR), 연료압력 등을 달리 제어하는 소프트웨어를 적용했으며, 도로주행에서 질소산화물이 과다배출되는 결함이 확인되었다. 이에 모든 조건에서 동일하게 작동되는 엔진제어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내용의 리콜 계획이 제출되어 환경부는 검증에 착수했다.

리콜 계획 검증은 국립환경과학원 교통환경연구소가 배출가스시험과 차량성능시험으로 나누어 진행했으며, 다양한 조건에서 배출가스 재순환장치의 정상적 작동 여부와 함께 이것이 연비 등 차량의 다른 기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지 여부를 중점 검증했다.

불법 소프트웨어 제거와 '배출가스재순환장치' 가동률 증가에 따라 리콜 대상 차량의 질소산화물 배출량은 실내시험에서 최대 87.5% 감소했고, 도로주행에서 한국과 유럽의 권고기준을 만족했다.

* 실제 도로주행 시 질소산화물 배출량 가이드라인('17.1): 실내 인증기준의 5배

또한 불법 소프트웨어 제거 이후에도 가속능력, 등판능력, 연비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연료압력 증가, 분사 방식 개선 및 흡입공기정류기 추가(1.6L엔진) 등의 보완적 조치가 이뤄졌기 때문이다.

환경부는 이번 3개 차종에 대해서도 기존 승인 차종과 동일하게 18개월 동안 85% 이상의 리콜 이행률을 달성하도록 아우디폭스바겐(주) 측에 요구하고, 분기별로 리콜 이행 실적을 제출하도록 했다.

아우디폭스바겐(주) 측은  차량 픽업·배달, 교통비 제공, 콜센터 운영 등의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며, 분기별 실적을 분석하여 리콜이 예상보다 부진할 경우에는 추가적인 보완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환경부는 올해 1월, 이미 승인된 12개 차종에 대한 리콜 현황 점검 및 이행률 제고를 위해 제작사 측과 대책회의를 갖고 콜센터 근무시간 연장, 리콜 관련 정보 제공 서비스 등을 추가로 추진키로 한 바 있다.

리콜차량-2

폭스바겐 측은 환경부의 리콜 계획 승인에 따라 3월 28일부터 해당 차량 소유자에게 결함 사실을 알리고 리콜을 개시할 예정이다.

리콜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아우디폭스바겐(주) 고객 상담서비스센터(폭스바겐 080-767-0089, 아우디 080-767-2834)로 문의하면 된다.

환경부는 리콜 승인이 완료된 차종에 대해서는 결함확인검사 대상에 포함하여 리콜 이행에 따른 결함 여부를 지속적으로 감시(모니터링)할 예정이다.

또한 향후 리콜에 소요되는 기간을 단축하기 위해 임의설정 판정 및 시정 매뉴얼을 마련하고 리콜 계획 제출 및 이행시한설정, 리콜 소비자 안내사항을 이행하지 않을 경우 제작사 책임 명문화 등의 제도 개선을 추진할 예정이다.


[ 환경부 2018-03-28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060 소형 의류건조기, 건조도·소음 등 주요 성능 차이있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1.21 13
8059 소형 신축주택 추가 구입시 취득세 최대 42백만원 절감 등 주거공급 활성화 지원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3.19 52
8058 소형 가전제품 구입 시 KC인증 취소여부 등 안전인증정보 확인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1.06 34
8057 소하천 토지변경 없으면, 점용허가 끝나도 원상복구 면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2.24 11
8056 소하천 무단 점유·사용·파손 행위에 벌칙 대폭 강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4.20 10
8055 소통 누리집 등 온라인에서 마약 판매·구매 절대 하지 마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12.09 11
8054 소중한 피부, 자외선으로부터 지켜주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7.07 80
8053 소중한 전세보증금, 안전하게 지키세요. - 전세 계약시 유의사항 및 전세보증금 반환보증 활용법 -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12.05 9
8052 소중한 일상을 지키기 위해 재난 시 행동요령을 익혀두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5.19 51
8051 소중한 생명을 살리는 ‘소방차 길 터주기’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5.24 64
8050 소중한 면허, 잘 관리하자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18 68
8049 소중한 국민의 목소리를 정책으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1.21 7
8048 소외계층 성인에게 평생교육 바우처 첫 지급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3.27 53
8047 소양강댐ㆍ충주댐, "용수 15% 감축해 공급"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24 114
8046 소아.청소년 독감, 안전하게 치료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0.25 27
Board Pagination Prev 1 ... 384 385 386 387 388 389 390 391 392 393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