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16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한국소비자원은 가정 등 일상생활 공간에서 제품이나 시설·서비스 이용 중 다양한 안전사고가 발생하고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고 밝혔다. 2017년 한국소비자원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소비자 위해정보는 총 71,000건으로 매년 증가하는 추세다.
※ 연도별 접수건수(증감률): ’15년 68,002건 → ’16년 69,018건(1.5%) → ’17년 71,000건(2.9%)
 
* 「소비자기본법」에 따라 전국 62개 병원, 18개 소방서 등 80개 위해정보제출기관과 1372소비자상담센터 등을 통해 위해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평가하는 시스템 (CISS, Consumer Injury Surveillance System)

□  위해 다발 품목은 ‘가구/가구설비’, 전년대비 증가 품목은 ‘가공식품’
 
  2017년 위해가 가장 많이 발생한 품목은 ‘가구 및 가구설비’로 전체의 15.1%인 10,707건이 접수됐다. 다음으로 전년대비 가장 많이 증가(1,487건, 16.9%)한 ‘가공식품’이 14.5%(10,314건)를 차지했다.

  한편, 2016년 ‘가정용 정수기’와 ‘공기청정기’에서 각각 중금속과 OIT(옥틸이소티아졸리논) 성분이 검출됐다는 언론보도로 위해정보 접수가 급증했던 ‘가전제품 및 정보통신기기’는 예년 수준으로 돌아가 가장 많이 감소(△1,461건, △18.1%)했다.
  
 
연도별 위해 다발 상위 5개 품목
  
 위해 다발 장소는 ‘주택’이 절반 가까운 47.7%(33,806건)로 가장 많았고, ‘도로 및 인도’ 9.2%(6,549건), ‘숙박 및 음식점’ 7.2%(5,094건) 등의 순이었다. 위해증상은 ‘피부 손상’이 전체의 37.2%(26,426건)로 가장 많았고, 이어 ‘뇌진탕 및 타박상’ 12.5%(8,901건), ‘근육, 뼈 및 인대 손상’ 9.4%(6,670건) 등이었다.

□ 연령대별 주로 발생하는 사고 유형에 유의할 필요

  연령 확인이 가능한 65,503건을 분석한 결과, 위해 다발 연령대는 ‘만 10세 미만’이 전체의 35.5%(23,279건)로 해마다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다음으로 ‘30대’ 14.8%(9,699건), ‘40대’ 12.4%(8,096건), ‘60대 이상’ 11.0%(7,249건)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연령대별 위해 다발 품목 및 유형을 살펴보면, ‘만 10세 미만’은 침대 추락 사고가 가장 많았다. ‘10대’는 자전거 사고, ‘20대’는 반려견 물림 사고, ‘30·40대’는 가정용 정수기 이물질 검출 사고가 주로 발생했다. ‘50·60대 이상’ 중년 및 고령층에서는 석재·타일 바닥재에서 미끄러지거나 넘어지는 사고가 빈발했다.
 
연령대별 위해 다발 품목


  한국소비자원은 이번 위해동향 분석 결과를 토대로 소비자들에게 ▲일상생활 중 발생하는 다양한 안전사고에 유의하고 안전수칙을 준수할 것 ▲특히 안전에 취약한 어린이나 노약자가 있는 가정과 시설에서는 낙상 방지 손잡이 및 미끄럼 방지 장치 설치 등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환경개선에 힘쓸 것을 강조했다.

 아울러 위해가 발생했거나 발생 우려가 있는 경우 핫라인(☎ 080-900-3500)이나 ‘위해정보신고’ 모바일앱 또는 한국소비자원 CISS 홈페이지(www.ciss.go.kr)를 통해 신고해 줄 것을 당부했다.
※ 자세한 내용은 한국소비자원 CISS 홈페이지 내 ‘위해정보동향’ - ‘소비자위해동향’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한국소비자원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 2018-03-27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473 씨티마켓 / ctmarket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8 2020.07.17
2472 쓴 아몬드의 비율이 높은 dmBio 아몬드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8 2023.07.13
2471 쓰리엠(3M) 그라인더 디스크, 접합부 분리로 인해 부상 위험이 있어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6 2019.12.27
2470 썸데이룩 - 피해다발업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6 2023.06.27
2469 쌍용자동차㈜ 코란도C 차량, 이음 발생하는 선글라스케이스 무상수리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26 2018.04.12
2468 쌍용자동차(주) 코란도스포츠 차량 자동온도제어기(FATC) 무상수리 안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592 2017.04.26
2467 싹딜(주식회사 엔씨지글로벌)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7 2022.12.26
2466 싸구요 / ssa9yo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2 2023.06.30
2465 심폐소생술 교육으로 물놀이 안전사고 대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99 2017.06.23
2464 실제 체온보다 낮게 표시되는 Beurer 비접촉식 체온계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7 2023.05.26
2463 실손 보상이 된다는 의사 말만 믿고 고가의 신의료기술 치료를 받았다가는 큰 낭패를 당할 수도 있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 2024.03.20
2462 실명을 유발할 수 있는 VEVOR 레이저 각인기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1 2021.10.28
2461 실리카겔 혼입 가능성 있어 리콜된 Nestle 코코아 분말(2)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9 2023.01.13
2460 실리카겔 혼입 가능성 있어 리콜된 Nestle 코코아 분말(1)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8 2023.01.13
2459 실리카겔 봉지 포장이 찢어진 Edison mama 과자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 2023.11.21
2458 실데나필 성분 함유되어 부작용 위험이 있는 Wonderfull Honey 건강식품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5 2022.05.04
2457 실데나필 성분 함유되어 부작용 위험이 있는 Evelle Hilti 건강식품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3 2022.05.04
2456 실내용 페인트, 피부 과민반응 유발 우려 있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0 2018.07.23
2455 실내 인테리어용 시트지, 카드뮴과 납 다량 검출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84 2016.11.28
2454 실내 롤러스케이트장, 안전사고 위험 높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2 2019.12.13
Board Pagination Prev 1 ...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 217 Next
/ 21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