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환자 편의 위한 진료정보교류사업 확산에 속도 붙는다!

- ’18년 신규참여기관으로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전북대병원, 한림대 성심병원, 서울대병원 선정 -

□ 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는 공모를 거쳐 ’18년 진료정보교류사업 신규 참여기관으로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전북대병원, 한림대학교 성심병원, 서울대병원을 선정했다고 밝혔다(붙임 1. 공모계획 참조).

 ○ 진료정보교류사업은 환자의 진료정보를 의료기관 간에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교류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사업이다.

 ○ 현재 상급종합병원급 거점의료기관*과 이에 협력하는 병‧의원들을 중심으로 정부 지원을 통해 사업을 확산 중이다.

     * 거점의료기관은 정부 지원을 받아 진료정보교류에 필요한 문서저장소를 신규 구축하거나 공동으로 활용함(기존 문서저장소 6개, ’18년에는 신규 3개 추가 예정)

□ 이번에 선정된 4개 상급종합병원의 특색은 다음과 같다.

 ○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은 전국에 걸친 가톨릭의료원 산하 7개 종합병원‧병원급 의료기관* 및 243개 의원과 함께 사업을 신청하여, 이번 신규선정 기관 중 가장 큰 병의원 협력체계를 형성했다.

     * 여의도성모병원, 성바오로병원, 부천성모병원, 의정부성모병원 등
 ○ 전북대병원은 이번에 선정된 유일한 비수도권 거점의료기관으로서, 장수군보건의료원․진안군의료원 등의 공공의료기관을 포함하여 110개의 지역사회 의료기관과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지역사회 중심의 진료정보교류사업을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 한림대학교성심병원은 한림대학교의료원 산하 병원(강남성심병원, 한강성심병원, 동탄성심병원), 원광대학교산본병원 등 100개의 병․의원과 함께 참여하였는데, 특히 춘천성심병원을 포함함으로써 강원권역까지 진료정보교류 네트워크를 최초로 확산시킬 수 있는 기반을 닦게 되었다.

 ○ 서울대병원은 암 전문 종합병원인 원자력병원 및 공공진료의 한 축을 담당하는 보라매병원․서울적십자병원 등 100개의 병‧의원과 진료정보교류를 통한 중증질환 진료협력모델을 제시하였으며, 특히 기존에 정부가 구축한 공공 문서저장소를 공동으로 활용하는 새로운 모델을 제안함으로써 재정투자를 효율화할 수 있게 되었다.

     * 공공 문서저장소 공동 활용시, 신규 문서저장소 구축이 불필요하므로 정부지원액 감소

□ 이번 선정으로, 기존 참여기관을 포함하여 모두 15개 상급종합병원(거점의료기관)*을 포함한 1,886개의 의료기관이 진료정보교류에 참여**했다(붙임 2. 참여현황 참조).

     * (서울)강남세브란스병원․서울대병원․서울성모병원․신촌세브란스병원, (부산)고신대병원․동아대병원․부산대병원․부산백병원, (대구)경북대병원, (광주)전남대병원, (대전)충남대병원, (경기)분당서울대병원․한림대성심병원, (전북)전북대병원, (경북)경북대칠곡병원

    ** 진료정보교류는 각 거점의료기관과 협력관계에 있는 병‧의원 간 뿐만이 아니라, 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모든 의료기관 간 교류가 가능함

□  보건복지부는 ‘18년 사업에 선정된 의료기관들에 거점문서저장소 신규 구축 및 상급종합병원과 협력의료기관간 정보연계를 위한 예산, 진료정보교류의 정보 표준 적용을 위한 기술지원을 실시하여, 각 기관의 사업 참여가 신속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노력할 계획이다.

 ○ 이를 통해 의료기관간 연속성 있는 진료서비스를 제공하여 약물사고 예방 등 환자안전을 강화하고, 환자불편 해소 및 의료비용 절감을 달성할 수 있도록 현장과 긴밀하게 협력한다.

 ○ 아울러 이번 정부 지원 사업 공모에 선정되지 않았더라도, 복지부가 배포한 지침서*에 따라 자율적으로 의료기관의 전자의무기록시스템(EMR)에 진료정보교류표준을 적용하는 경우 언제든지 사업에 참여할 수 있으므로 이를 적극 촉진할 계획이다.

     * 진료정보교류표준 고시 적용을 위한 전자의무기록시스템 연계 가이드라인

□ 향후 복지부는 ’22년까지 진료정보교류사업을 전국 모든 지역과 주요 거점의료기관까지 확산하고, 이를 위해 정부 지원을 꾸준히 추진하고 의료기관의 자발적 참여를 독려할 계획이다.



[ 보건복지부 2018-03-26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465 냉동 치킨, 중량 및 영양성분이 제품별 차이 있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2.01 14
5464 냉난방비 부담 줄여주는 ‘제로에너지건축물’ 인증제 시행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0.12 93
5463 내일이룸학교 다녀간 학교 밖 청소년, 10명 중 6명이 취업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2.07 6
5462 내일부터 방역지침 관련 시설 관리·운영자 처분부담 완화 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2.08 33
5461 내일배움카드 발급이 더 쉬워졌어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9.08 48
5460 내용물은 비우고 상표띠는 뜯고 뚜껑은 닫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4.20 116
5459 내상조 찾아줘 홈페이지 시범운영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8.08 74
5458 내달부터 자동차 결함 숨기면 손해액 5배 배상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1.26 39
5457 내달 4일부터 KTX광명역 도심공항서 미국행 탑승수속 개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5.31 36
5456 내달 4일부터 3층 이상 필로티 건축물 안전관리 대폭 강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1.27 13
5455 내년에 부패·공익신고자 보호·보상, 공공재정환수 강화 등에 ‘예산탄력’ 받는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9.10 33
5454 내년부터‘근로시간 단축청구권 제도’ 30인 이상 사업장으로 확대 시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2.17 25
5453 내년부터, 배당액이 얼마인지 알고 투자할 수 있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2.05 6
5452 내년부터 희망하는 학교에서 자유학년제를 시작한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9.12 48
5451 내년부터 환자에게 요양병원 본인부담상한액 초과금 직접 지급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2.09 69
Board Pagination Prev 1 ... 557 558 559 560 561 562 563 564 565 566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