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국토교통부(장관 김현미)는 국내외 항공사들이 신청한 2018년 하계기간(‘18.3.25~’18.10.27) 동안의 국제선과 국내선의 정기편 항공운항 일정표(스케줄)을 인가하였다고 밝혔다.

* 세계 대부분 나라들은 미주 등의 일광절약시간제(daylight saving time)에 따른 운항시각 변동과 계절적 수요에 탄력적 대처를 위해 1년에 2차례(동·하계) 일정을 조정함


이번 하계기간에는 국제선은 93개 항공사가 총 357개 노선에 왕복 주4,782회 운항할 계획이며, 전년 하계와 대비하여 운항횟수는 주370회(약 +8.4%) 증가하였다.

국가별로는 중국이 전체 운항횟수의 약 23.3%(주1,205회)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그 다음으로 일본 22.5%(주1,160회), 미국 9.8%(주505회) 등의 순이다.

’17년 하계 대비 운항횟수가 가장 많이 증가한 국가는 주189회가 증가한 일본이고, 다음이 베트남(주143회) 등의 순이다.

중국의 경우 ‘17년 하계 대비 운항횟수가 10.3%(주1,343회→주1,205회) 줄었으나, ’17년 동계에 비해서는 14.7%(주1,051회→주1,205회) 증가하였다.

* 항공사들은 사드제재의 조속한 해결을 기대하면서 17년 하계 운항계획을 제출하였으나, 관계회복이 지연되면서 감편 운항(주993회 운항)
** 주1,317회(‘16하계)→주1,254회(‘16동계)→주1,343회(‘17하계)→주1,051회(‘17동계)


또한, 올해도 우리나라 저비용항공사들의 운항횟수가 대폭 증가하였는데(전년 하계 주1,143회 → 올해 하계 주1,460회), 이는 제주항공(주118회 증), 티웨이(주93회 증), 에어서울(주49회 증) 등 저비용항공사의 일본, 동남아 운항횟수 증가* 및 신규 취항 확대**결과로 분석 된다.

* 국적 LCC 18년 하계 일본 운항은 17년 동계 대비 주198회 증(주498회→주696회), 동남아 운항은 주132회 증(주263회→주395회)
** 국적 LCC 17년 하계 대비 18년 하계 신규 취항도시(9곳) : 일본 3곳(가고시마, 마스야마, 미야자키), 중국(연대), 대만(타이중), 말레이시아(조호바루), 필리핀(칼리보), 베트남(나트랑), 러시아(블라디보스톡)


저비용항공사의 운항확대로 일정표(스케줄) 선택의 폭이 확대되고 운임이 인하되는 등 이용객의 편익이 증진될 것으로 기대된다.

국내선은 총 20개 노선에서 주1,921회를 운항하여 전년 하계기간 대비 운항횟수가 주13회(0.7%, 왕복기준) 늘어난다.

11개 제주노선은 주 1,526회로 전년 하계기간 대비 주 4회 감편(0.3%↓)되어 공급석이 1,834석 감소되며, 제주노선을 제외한 9개 내륙노선은 주 395회로 전년 하계기간 대비 주 17회 증편(4.5%↑)되어 공급석도 소폭 증가된다. 특히, ‘18년 국내선 하계 스케줄에서는 대구-김포 정기노선(에어부산)이 신설되었다.

항공사별로 살펴보면,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이 전년 하계대비 주9회(1.0%) 감소한 주883회를 운항하며, 저비용항공사는 주 22회(2.2%) 증가한 주 1,038회를 운항한다.

국토교통부는 항공편을 이용하는 여행객과 화주들에게 3.25일부터 변경되는 (하계) 운항스케줄을 미리 확인할 것을 당부하였다.



[ 국토교통부 2018-03-22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900 미세먼지 정보 쉽게 파악 '우리동네 대기정보' 앱 새단장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7.31 23
5899 시중 유통 빵류, 당류 저감화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7.31 35
5898 소비자분쟁조정위원회, 투명치과의원 선납 진료비 집단분쟁조정 개시 결정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7.31 39
5897 일하는 저소득 노인 및 장애인 최대 14만 원 생계급여 추가 지원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7.31 21
5896 선불식할부거래업자(상조업자)의 등록변경사항 정보공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7.31 29
5895 고졸 중소·중견기업 재직자에게 등록금 전액 지원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7.31 37
5894 장애인거주시설 등 복지시설의 의료서비스 제공 투명해진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7.31 32
5893 신차에서 동일한 하자 반복 시 교환·환불 가능해진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7.31 39
5892 국제운전면허 발급 깜빡 잊으셨다면, 이제 인천국제공항에서 발급 받으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7.30 54
5891 중증(인정점수 105점 이상) 장기요양 수급자 갱신조사 면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7.30 54
5890 여름철 시원한 휴식, 국립공원 자연 속을 걸어보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7.30 20
5889 한국소비자원, 위생용품사업자와 기저귀 발진 예방 가이드 마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7.30 31
5888 ㈜티케이디에스, 휴대용 DVD플레이어 자발적 무상 수리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7.30 33
5887 방사능 기준 초과 검출 수입 '건능이버섯'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7.30 89
5886 주정차 금지구역 확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7.30 32
Board Pagination Prev 1 ... 528 529 530 531 532 533 534 535 536 537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