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김상곤)는 교육정책 수요자를 위한 맞춤형 교육 복지 및 지원정책 통합조회 서비스인「교육지원 한눈에(http://eduone.moe.go.kr/)」를 19일 구축.개통했다고 밝혔다.
□ 그간 학생.학부모 부담 경감과 학생에게 필요한 교육프로그램 제공을 위해 다양한 교육지원 정책을 추진하였으나, 수요자가 정책지원 대상 포함여부 및 신청 시기 등을 정책별로 확인해야 했었다.
o 교육부는 이를 개선하고자 자신의 조건을 입력하면 맞춤형으로 교육지원 혜택정보를 제공하는 동시에,
o 신청 시기 알림 등을 실시간으로 안내 받을 수 있는 수요자 편의성 중심의 교육 정보 서비스를 구축하였다.

□ 교육지원정책 통합조회 서비스인「교육지원 한눈에」의 구성 및 기능은 다음과 같다.
① (맞춤형 교육지원 정보) 사용자가 해당 조건*을 입력하면 선택한 조건에 따라 맞춤형 교육지원 혜택 정보**가 제공된다.
* 신분(학생, 학부모, 일반), 가구상황(다문화학생, 장애학생, 탈북학생), 소득수준(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등
** 사업명, 지원금액, 지원시기, 신청시기, 신청방법 등에 대한 정보 안내
※ [참고] ‘수요자별(가구별) 지원 예시’ 참고
② (신청기관 바로가기) 신청기간 중인 지원사업의 경우, “신청 기관 바로가기” 버튼을 통해 관련 기관 신청 홈페이지에 즉시 접속할 수 있으며, 추후 본 시스템 내 원스톱(One-stop) 신청기능 또한 추가.운영할 계획이다.
③ (알림서비스) 본인의 맞춤형 교육지원 정보를 주기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관심 사업에 대해 “찜 하기”를 선택하고 알림서비스를 신청하면, 해당 지원 프로그램의 신청시기에 맞춰 문자, 메일 등으로 관련 교육지원 정보를 안내할 예정이다.
□ 교육지원 정책 통합조회 서비스는 현재 교육부가 추진하고 있는 교육지원 정책 중 60개 내외의 주요 교육 복지.지원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o 이 중 28개는 교육비.등록금.학업장려비 등 가계에 부담을 줄이는 경제적 지원을 하는 프로그램이며, 27개는 필요한 교육.체험.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다. (※ 붙임3 ‘지원 프로그램 성격에 따른 분류’ 참고)
o 지원.복지 프로그램 중 31개가 올해 5월 안에 신청이 이루어지므로 본인에게 필요한 지원을 빠트리지 않고 신청하기 위한 사전 확인이 필요하다. (※ 붙임4 ‘지원 프로그램별 신청 시기 종합’ 참고)
※ 연중 상시 신청 또는 별도 신청 절차 없는 프로그램 11개
□ 교육부는 앞으로 정책 수요자에게 더 많은 교육지원 정보를 제공하고자 관계 기관과의 협업을 통해 관계부처, 시.도교육청 및 지자체 등의 교육관련 프로그램 정보까지 안내를 확대할 계획이다.
□ 김상곤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은 “학생.학부모.평생학습자 등 교육정책 수요자에게 하나의 교육지원 혜택이라도 빠짐없이 안내할 수 있도록, 교육부가 적극적으로 다가가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히며,
o “향후, 현재 지원하는 정책의 부족한 부분을 검토하여 사각지대 없이 모든 정책수요자가 실질적으로 체감할 수 있는 교육지원 정책을 확대하겠다.”라고 덧붙였다.



[ 교육부 2018-03-19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474 공항 도착부터 항공기 탑승까지 촘촘한 방역망 구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3.05 47
5473 화재로부터 안전한 건축물로 도시환경을 더욱 안전하게 지키겠습니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3.05 98
5472 지방도시개발공사 임대주택의 장기 빈집 문제 해결로 재정손실을 줄인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3.05 48
5471 “코로나19 감염자 입원치료 거부 등 공익침해행위 신고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3.06 38
5470 290개 「국민안심병원」지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3.06 38
5469 2019년 교통사고 사망자 3,349명, 전년 대비 11.4% 감소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3.09 10
5468 건물 출입 위해 국유지 통행했다고 무단점유는 아냐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3.09 25
5467 근로기준법, 산업안전보건법, 한국고용노동교육원법 등 5개 제.개정 법률안 국회 본회의 통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3.09 9
5466 근로자 생활안정자금 융자, 한시적으로 소득요건 완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3.09 10
5465 소비자 대상 직접(DTC) 유전자검사를 받을 때 주의사항과 활용방법을 알려드립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3.09 17
5464 거짓 부정한 의약품 허가 취소 및 처벌 근거 마련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3.09 6
5463 깨알글씨 민원신청서, 읽고 쓰기 쉬워진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3.09 73
5462 고속도로순찰대, 3월부터 화물차 집중관리에 나선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3.10 19
5461 태국행 여객기 사전 발열검사 실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3.10 6
5460 항공보안, 안전성은 높이고 불편은 줄이겠습니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3.10 19
Board Pagination Prev 1 ... 556 557 558 559 560 561 562 563 564 565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