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류영진)는 봄철에 자주 발생하는 황사‧미세먼지에 대비하여 ‘보건용 마스크’의 올바른 구입, 사용시 주의사항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고 밝혔습니다.
○ ‘보건용 마스크’는 황사, 미세먼지 등 입자성 유해물질 또는 감염원으로부터 호흡기 보호를 목적으로 사용하는 제품으로, 의약외품으로 허가된 보건용 마스크는 69개사 372제품(`18.3.13.기준)이 있습니다.
※ 보건용 마스크 생산‧수입실적: (`15년)157억원→ (`16년)153억원→ (`17년)340억원

□ 의약외품으로 허가받은 ‘보건용 마스크’는 추위로부터 얼굴을 보호하는 방한대 등 일반 마스크와 달리 미세입자를 걸러내는 성능을 가지고 있으므로 일상생활에서 황사‧미세먼지로부터 호흡기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보건용 마스크를 착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보건용 마스크 구입요령〉
○ 허가된 ‘보건용 마스크’ 포장에는 입자차단 성능을 나타내는 ‘KF80’, ‘KF94’, ‘KF99’가 표시되어 있는데, ‘KF’ 문자 뒤에 붙은 숫자가 클수록 미세입자 차단 효과가 더 크지만, 숨쉬기가 어렵거나 불편할 수 있으므로 황사‧미세먼지 발생 수준, 개인별 호흡량 등을 고려하여 적당한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 ‘KF80’은 평균 0.6㎛ 크기의 미세입자를 80%이상 걸러낼 수 있으며 ‘KF94’, ‘KF99’는 평균 0.4㎛ 크기의 입자를 94%, 99% 이상 각각 걸러낼 수 있습니다.
※ KF(Korea Filter): 보건용 마스크는 KF문자 뒤에 숫자를 표시하여 해당 제품의 입자차단 성능을 나타냄.
○ 구입 시에는 입자차단 성능이 없는 방한대, 의약외품으로 허가받지 않은 마스크 등이 황사, 미세먼지 등을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 광고‧판매되는 사례가 있어 주의해야 합니다.
- 약국, 마트, 편의점 등에서 보건용 마스크를 구입하는 경우에는 제품의 포장에서 ‘의약외품’이라는 문자와 KF80, KF94, KF99 표시를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 인터넷, 모바일 등 온라인 구매의 경우에도 인터넷 사이트에 게시된 제품명, 사진, 효능‧효과 등 해당 제품이 ‘보건용 마스크’로 허가된 것인지 확인하고 구입해야 합니다.
- 최근 콧속에 삽입해 코로 흡입되는 입자 차단 제품(일명 ‘코마스크’)은 황사‧미세먼지부터 코, 입 등 전체적인 호흡기의 보호를 기대할 수 없어 의약외품이 아닙니다.

〈보건용 마스크 사용 시 주의사항〉
○ 보건용 마스크는 세탁하면 모양이 변형되어 기능을 유지할 수 없으므로 세탁하지 않고 사용해야 하며, 사용한 제품은 먼지나 세균에 오염되어 있을 수 있으므로 재사용하지 말아야 합니다.
○ 또한 수건이나 휴지 등을 덧댄 후 마스크를 사용하면 밀착력이 감소해 미세입자 차단 효과가 떨어질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하고, 착용 후에는 마스크 겉면을 가능하면 만지지 말아야 합니다.
○ 임산부, 호흡기‧심혈관 질환자, 어린이, 노약자 등 마스크 착용으로 호흡이 불편한 경우에는 사용을 중지해야 하며, 필요한 경우 의사 등 전문가와 상의해야 합니다.

□ 식약처는 소비자가 과대광고 등으로 피해를 입지 않도록 인터넷 사이트 등에 대해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있으며, 품질이 확보된 제품이 소비자에 공급되도록 하기 위하여 보건용 마스크 시험검사기관을 추가 지정하였습니다.
○ 최근 3년간 온라인에서 공산품 마스크를 의약외품 보건용 마스크로 오인할 우려가 있는 과대‧거짓 광고를 721건 적발하여 고발, 사이트 차단, 시정지시 등의 조치를 취했습니다.
- 공산품 마스크를 의약외품인 보건용 마스크로 과대‧거짓 광고하는 주요 사례로 ▲황사‧미세먼지(PM10, PM2.5) 등 미세입자 문구 사용 ▲황사‧미세먼지(PM10, PM2.5) 등 입자 여과 기능 광고 ▲필터 차단율(00% 이상) 광고 등입니다.
○ 보건용 마스크 개발‧허가를 지원하기 위해 시험검사기관(1곳)을 올해 1월 신규 지정하였으며, 오는 4월까지 시험검사기관 2곳의 추가 지정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 식약처는 황사나 미세먼지가 심할 때는 외출을 가급적 자제하되 외출 시에는 의약외품으로 허가받은 보건용 마스크를 착용하고, 외출 후 집에 돌아와서는 반드시 얼굴과 손발 등을 깨끗이 씻는 등 위생수칙을 철저히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당부하였다.
○ ‘보건용 마스크’ 품목허가 현황은 식약처 홈페이지(www.mfds. go.kr) → 분야별 정보 → 바이오(한약/화장품/의약외품) → 의약외품 정보 → 의약외품 자료실에서 확인할 수 있다.



[ 식품의약품안전처 2018-03-16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133 식품소분업 영업신고 없이 판매된 벌꿀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3 2021.07.26
2132 이명치료제.최면진정제 해외 구매대행 등 482건 적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8 2021.07.26
2131 여름철 휴가, 물놀이 사고 각별한 주의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5 2021.07.28
2130 염화칼슘 수용액이 누출될 가능성이 있는 습기제거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7 2021.07.28
2129 필터의 분진 포집 효율이 미흡한 미세먼지 마스크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9 2021.07.28
2128 설계 사양과 다른 회로 혼입된 YAZAWA LED 스탠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2 2021.07.28
2127 전지함 고정이 미흡해 삽입된 단추형 전지로 인한 질식 위험 있는 어린이 손목시계 판매차단(1)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9 2021.07.28
2126 알레르기 유발 성분(헤이즐넛) 미표기된 Cadbury Dairy Milk 초콜릿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3 2021.07.28
2125 알레르기 유발 성분(우유) 미표기된 Eat Real 과자 판매차단(1)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7 2021.07.28
2124 알레르기 유발 성분(우유) 미표기된 Eat Real 과자 판매차단(2)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7 2021.07.28
2123 알레르기 유발 성분(우유) 미표기된 Eat Real 과자 판매차단(3)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8 2021.07.28
2122 알레르기 유발 성분(우유) 미표기된 Eat Real 과자 판매차단(4)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4 2021.07.28
2121 알레르기 유발 성분(이눌린) 미표기된 Renadyl 프로바이오틱스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2 2021.07.28
2120 알레르기 유발 성분(흰 달걀, 우유) 미표기된 Just Egg America 과자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4 2021.07.28
2119 알레르기 유발 성분(흰 달걀, 우유) 미표기된 Just Egg Mexico 과자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37 2021.07.28
2118 버튼 작동 오류로 인해 감전 위험 있는 Klein Tools 검전기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2 2021.07.28
2117 화상 및 감전 위험 있는 Hoco USB 충전기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6 2021.07.28
2116 충전기 결함으로 감전 위험 있는 CORE 마사지기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9 2021.07.28
2115 알레르기 유발 성분(우유) 미표기된 Jolly Time 팝콘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8 2021.07.28
2114 다른 색상의 제품이 혼입된 hoyu 뷰틴 오렌지색 염모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1 2021.07.28
Board Pagination Prev 1 ...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 217 Next
/ 21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