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3~5월 클로스트리디움 퍼프린젠스 식중독 주의 -

□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류영진)는 일교차가 커지는 봄철에는 조리된 식품을 적정온도에 보관하지 않으면 클로스트리디움 퍼프린젠스(Clostridium perfringens) 식중독이 발생할 수 있어 조리식품 보관·섭취 및 개인위생에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 클로스트리디움 퍼프린젠스 식중독은 노로바이러스, 병원성대장균, 살모넬라 다음으로 많이 발생하는 식중독으로 특히 봄철에 많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 최근 5년(‘13~17년) 동안 클로스트리디움 퍼프린젠스 식중독은 총 90건, 3,104명 환자가 발생하였고, 이중 50건(55.6%), 1,669명(53.3%)이 3~5월에 집중되었습니다.
○ 자연계에 널리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진 클로스트리디움 퍼프린젠스는 생장과정에서 열에 강한 포자를 만들기 때문에 조리과정에서 병원성대장균, 노로바이러스 등과 같이 식중독균 자체는 사멸하지만 포자가 남아 있어 조리 후 보관온도 관리가 중요합니다.
- 포자가 남은 조리된 식품을 잘못된 온도에서 보관하게 된다면 포자가 깨어날 수 있으며 균이 증식하면서 만들어 지는 독소에 의해 식중독이 발생하게 됩니다.
* 클로스트리디움 퍼프린젠스 포자는 100℃, 1시간이상 가열해도 죽지 않고 60℃이하에서 깨어나 증식하며, 포자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독소를 생성

□ 클로스트리디움 퍼프린젠스 식중독을 예방하기 위한 요령은 다음과 같습니다.
○ 육류 등의 식품은 중심온도 75℃ 1분이상 되도록 완전히 조리하며, 조리된 음식은 가능한 2시간 이내에 섭취합니다.
○ 조리된 음식을 보관할 때에는 따뜻하게 먹을 음식은 60℃이상, 차갑게 먹을 음식은 빠르게 식혀 5℃이하에서 보관합니다.
○ 조리된 음식을 냉각하는 올바른 방법은 ▲여러 개의 용기에 나눠 담기 ▲싱크대에 차가운 물이나 얼음을 채운 후 큰솥이나 냄비를 담그고 규칙적으로 젓기 ▲급속 냉각장치 사용하기 등입니다.
- 특히, 뜨거운 음식을 냉장‧냉동고에 바로 넣으면 냉장고 내부 온도가 상승되어 보관 중인 음식도 상할 수 있으므로 식혀서 넣고, 선풍기는 먼지로 인한 오염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사용하지 않도록 합니다.
○ 보관된 음식을 섭취할 경우에는 75℃ 이상에서 재가열합니다.

□ 식약처는 클로스트리디움 퍼프린젠스 식중독이 대량으로 조리하는 장소에서 발생하기 쉬운 만큼 학교 등 집단급식소, 대형음식점 등 다중이용시설에서는 조리식품 보관온도 관리에 각별히 주의를 기울여 주기를 당부하였습니다.



[ 식품의약품안전처 2018-03-14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519 전자상거래로 구입한 가구, 소비자 피해 급증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4 2019.03.27
2518 봄철 산행, 등산사고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4 2019.03.15
2517 Little Tikes 스퀴시 완구, 작은 조각 삼킴 우려 있어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4 2019.03.12
2516 신학기 학교생활 시작, 인플루엔자·홍역·수두 등 감염병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4 2019.02.27
2515 Jakks Pacific 완구, 작은 조각 삼킴 우려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4 2019.01.31
2514 UPPAbaby 유모차 시트(RumbleSeat), 시트 어댑터 분리 현상 발생하여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4 2018.06.20
2513 즐거운 캠핑, 화재 안전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3 2024.04.24
2512 라벨에 미표기 된 알러지 성분이 포함된 NISSIN 커리 누들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3 2023.03.10
2511 새우 성분 등 표시 누락돼 알러지 위험 등으로 리콜된 Acecook 조미 소금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3 2023.02.10
2510 투어2000(㈜투어이천)의 일방적 계약해제로 인한 소비자피해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3 2023.02.07
2509 살모넬라균 오염 가능성 있는 Kinder 초콜릿(3)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3 2022.06.08
2508 제조 불량으로 부품 손상 가능성 있는 ASUS 메인보드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3 2022.04.04
2507 감전 위험있는 Kaabo Mantis 10 전동킥보드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3 2022.03.08
2506 녹농균 오염 가능성 있는 Bio Life Pet 고양이용 유산균 액상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3 2022.03.08
2505 자석이 분리되어 삼킬 경우 질식 위험있는 Hysagtek 볼펜 회수 및 환불 조치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3 2022.02.09
2504 염화칼슘 수용액이 누출될 가능성이 있는 습기제거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3 2021.07.28
2503 올해 첫 비브리오패혈증 확진환자 발생, 예방수칙 준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3 2021.06.16
2502 부품이 분리되어 질식 위험 있는 키움하우스 브랜드B 치발기 국내 리콜(환급) 실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3 2021.05.24
2501 화재 위험 있는 THANKO 전기담요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3 2021.02.26
2500 가구 소비자피해 2건 중 1건은 온라인 구입 제품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3 2020.12.24
Board Pagination Prev 1 ...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