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3~5월 클로스트리디움 퍼프린젠스 식중독 주의 -

□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류영진)는 일교차가 커지는 봄철에는 조리된 식품을 적정온도에 보관하지 않으면 클로스트리디움 퍼프린젠스(Clostridium perfringens) 식중독이 발생할 수 있어 조리식품 보관·섭취 및 개인위생에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 클로스트리디움 퍼프린젠스 식중독은 노로바이러스, 병원성대장균, 살모넬라 다음으로 많이 발생하는 식중독으로 특히 봄철에 많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 최근 5년(‘13~17년) 동안 클로스트리디움 퍼프린젠스 식중독은 총 90건, 3,104명 환자가 발생하였고, 이중 50건(55.6%), 1,669명(53.3%)이 3~5월에 집중되었습니다.
○ 자연계에 널리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진 클로스트리디움 퍼프린젠스는 생장과정에서 열에 강한 포자를 만들기 때문에 조리과정에서 병원성대장균, 노로바이러스 등과 같이 식중독균 자체는 사멸하지만 포자가 남아 있어 조리 후 보관온도 관리가 중요합니다.
- 포자가 남은 조리된 식품을 잘못된 온도에서 보관하게 된다면 포자가 깨어날 수 있으며 균이 증식하면서 만들어 지는 독소에 의해 식중독이 발생하게 됩니다.
* 클로스트리디움 퍼프린젠스 포자는 100℃, 1시간이상 가열해도 죽지 않고 60℃이하에서 깨어나 증식하며, 포자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독소를 생성

□ 클로스트리디움 퍼프린젠스 식중독을 예방하기 위한 요령은 다음과 같습니다.
○ 육류 등의 식품은 중심온도 75℃ 1분이상 되도록 완전히 조리하며, 조리된 음식은 가능한 2시간 이내에 섭취합니다.
○ 조리된 음식을 보관할 때에는 따뜻하게 먹을 음식은 60℃이상, 차갑게 먹을 음식은 빠르게 식혀 5℃이하에서 보관합니다.
○ 조리된 음식을 냉각하는 올바른 방법은 ▲여러 개의 용기에 나눠 담기 ▲싱크대에 차가운 물이나 얼음을 채운 후 큰솥이나 냄비를 담그고 규칙적으로 젓기 ▲급속 냉각장치 사용하기 등입니다.
- 특히, 뜨거운 음식을 냉장‧냉동고에 바로 넣으면 냉장고 내부 온도가 상승되어 보관 중인 음식도 상할 수 있으므로 식혀서 넣고, 선풍기는 먼지로 인한 오염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사용하지 않도록 합니다.
○ 보관된 음식을 섭취할 경우에는 75℃ 이상에서 재가열합니다.

□ 식약처는 클로스트리디움 퍼프린젠스 식중독이 대량으로 조리하는 장소에서 발생하기 쉬운 만큼 학교 등 집단급식소, 대형음식점 등 다중이용시설에서는 조리식품 보관온도 관리에 각별히 주의를 기울여 주기를 당부하였습니다.



[ 식품의약품안전처 2018-03-14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069 Keracare 샴푸, 박테리아 감염 가능성이 있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3 2018.04.12
2068 장난감 공(Flashing Spiky Ball), 부품 떨어져 질식 위험 있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3 2018.05.17
2067 국민 10명 중 7명은 아파트 단지 내 보행안전 ‘위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3 2018.05.31
2066 일회용 면봉 일부 제품, 일반세균·형광증백제 기준 초과 검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3 2018.11.07
2065 멸균 처리되지 않은 Medline 수술용 장갑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3 2020.07.01
2064 건강한 추석 명절을 위한 식품.의약품 안전정보 제공(의료제품편)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3 2020.09.24
2063 쉽게 불 붙을 수 있는 소재 사용한 Tkala Fashion 유아용 잠옷 판매차단(2)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3 2021.09.14
2062 단풍철, 산행 시 안전사고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3 2021.10.07
2061 기준치 초과 PAH가 검출될 수 있는 STIHL 장갑 회수 및 환급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3 2022.03.08
2060 “호텔·펜션 등 숙박시설 이용 시 안전사고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3 2022.03.21
2059 동남아 방문 시 모기매개 감염병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3 2023.03.22
2058 가구업체 ‘원갤러리’ 배송·환급 지연 피해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3 2023.04.11
2057 패류독소 기준 초과해역 2곳 추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4 2018.04.06
2056 식약처, 구강용 ‘벤조카인 제제’ 24개월 미만 영아에 사용 금지토록하는 안전성 서한 배포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4 2018.05.29
2055 추석연휴, 교통사고와 주택화재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4 2018.09.13
2054 Clairmen 화장품, 피부 자극 우려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4 2019.02.07
2053 “ 휴대폰 사기판매 피해 주의! ”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4 2019.03.26
2052 공공기관, 은행 등을 사칭한 불법대출 문자메시지 소비자 피해 주의 경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4 2019.12.03
2051 스키장 어린이 사고! 예방법 꼭 기억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4 2020.01.31
2050 전국가.지역 해외여행에 대한 특별여행주의보 연장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4 2020.04.22
Board Pagination Prev 1 ...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 220 Next
/ 2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