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고용노동부, 최근 5년간 질식재해 발생현황 발표
- 3월부터 질식재해 예방교육 및 4월부터 사업장감독 나서

고용노동부(김영주 장관)는 최근 5년간 발생한 107건의 질식재해를 분석한 결과, 봄철(3~5월)에 가장 많은 질식재해가 발생하였다고 밝혔다.

특히, 봄철 질식재해의 46%는 맨홀, 오폐수처리장, 축산분료 처리작업 등에서 발생하여 관련 업체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고 밝혔다.

고용노동부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질식재해로 총 177명의 재해자가 발생하였고, 이중 93명이 사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수치는 일반적인 사고로 재해자 1,000명 중 12명이 사망하는 것과 비교할 때 40배나 높은 것으로 그만큼 질식재해가 치명적임을 나타낸다.

고용노동부는 이러한 질식재해 발생특성을 고려하여 예년보다 한 달 빠르게 "밀폐공간 질식재해 예방 대책"을 마련하여 추진한다.

우선 3월부터 밀폐공간 보유 사업장을 대상으로 질식재해 예방 교육을 실시하고, 4월부터 본격적으로 질식재해 예방 감독을 실시할 계획이다.

 특히, 이번 감독에서는 지난 1월 포항 소재 제철소에서 발생한 협력업체 노동자 유해가스 중독 사망사건을 계기로 원청의 밀폐공간 작업관리 실태를 중점 확인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소규모 사업장에 대해서는 안전보건공단을 통해 질식재해 예방 지도를 실시하고, 유해가스 측정기.환기설비 등 질식재해 예방장비도 적극 대여하는 등 지원활동도 병행할 계획이다.

지자체, 각종 업종단체 등과의 협력도 강화하여 질식재해 예방교육 및 현장점검 지원, 홍보자료 보급 등을 추진하는 한편, 부처별 제도개선 사항도 적극 발굴하여 개선토록 지원할 계획이다.

박영만 산재예방보상정책국장은 산소결핍이나 유해가스는 눈으로 보이지 않아 이를 간과하고 밀폐공간에 들어갔다가 수초 내에 의식을 잃고 사망에 이를 수 있어 예방만이 유일한 대책임을 강조하면서 질식재해 예방을 위해 반드시 ‘①사업장 내 밀폐공간을 확인하고 경고표시 하기, ②작업 전.작업 중 산소농도 및 유해가스 농도 측정하기, ③작업 중 환기팬을 이용하여 충분히 환기하기’를 당부하였다.



[ 고용노동부 2018-03-14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603 CJ온스타일 사칭사이트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1 2023.06.14
3602 에코가전 / APPLIANCESECO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7 2023.06.14
3601 한성스포츠 사칭 사기사이트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5 2023.06.13
3600 [소비자 경보] 도수치료를 가장한 성형, 피부미용 시술 증가, 보험사기에 연루되지 않도록 각별한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3 2023.06.09
3599 골프, 캠핑, 유아용품 박람회 전시할인 상품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3 2023.06.08
3598 카카오톡 고객센터 사칭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5 2023.06.07
3597 캠핑나우 / NOW CAMPING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7 2023.06.01
3596 음식물처리기 사용 관련 소비자안전주의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6 2023.05.31
3595 MEENI-MALL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7 2023.05.30
3594 단쇄염화파라핀 과다 함유된 장난감 카메라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5 2023.05.26
3593 작동하지 않는 OKEAH 연기 및 일산화탄소 감지ㆍ경보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1 2023.05.26
3592 작동하지 않는 Petrico 연기 및 일산화탄소 감지ㆍ경보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3 2023.05.26
3591 실제 체온보다 낮게 표시되는 Beurer 비접촉식 체온계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7 2023.05.26
3590 주행 중 파손되어 부상 위험 있는 Shimano 자전거 스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0 2023.05.26
3589 벌써 여름? 세균성 식중독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7 2023.05.26
3588 배터리 설계 결함으로 화재 발생 위험 있는 Uoni Yuli 로봇 청소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5 2023.05.25
3587 단추형 전지함 고정 미흡으로 어린이 사망 위험있는 Uyuni lighting 티라이트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9 2023.05.25
3586 레이저 방사선 보호 미흡해 눈 손상 위험있는 Vevor 레이저 조각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0 2023.05.25
3585 낙하 사고 발생 우려 있는 Titan 추락 제지용 기구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1 2023.05.25
3584 제조 결함으로 화재 위험 있는 Vornado 히터 판매 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2 2023.05.25
Board Pagination Prev 1 ...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