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우리나라 만성질환 실태를 조명하다”

제5회 만성질환 예방관리 포럼 개최

만성질환 주요 현황 통계집「만성질환 현황과 이슈」공개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양병국)는 만성질환의 현황을 공유하고 효과적인 전략을 마련하기 위해 8월 21일 서울 가톨릭의대 의생명연구원에서「제5차 만성질환 예방관리 포럼」을 개최한다. (▸붙임1)

이번 포럼에서는 질병관리본부를 비롯해 시도 및 시·군·구 사업 담당자, 유관기관 및 학계 등 약 400여 명이 참석하여 국가 만성질환 예방관리 정책 방향과 해외 만성질환 관리사례를 소개한다.

특히, 이번 포럼에서 질병관리본부는 「만성질환 현황과 이슈」*를 발간, 배포하여 우리나라의 만성질환 및 위험요인의 통계와 현안에 대해 공유할 예정이다.

* 「만성질환 현황과 이슈」는 주요 만성질환과 생활습관 위험요인 등의 현황에 대해 국가승인통계와 유관기관 공개자료 등을 활용하여 분석한 통계집으로, 보건의료 정책의 효과적인 수립을 위한 근거 자료로 활용할 목적으로 올해 최초로 제작되었고 이후 지속 갱신될 예정

[질병관리본부 홈페이지 (www.cdc.go.kr)에서 다운로드 가능]

「만성질환 현황과 이슈」에 의하면 우리나라는 만성질환의 질병 부담이 높은 상황으로, 만성질환은 전체 사망의 81%를 차지하며, 사망원인 상위 10위 중 7개*가 만성질환이다.

* 높은 순서로 암, 뇌혈관질환, 심장질환, 당뇨병, 만성 하기도질환, 간질환, 고혈압성 질환

순환기계질환, 당뇨병, 만성 하기도질환, 암은 만성질환으로 인한 사망의 70%를 차지, 이들 주요 만성질환에 대한 관리가 중요함을 보여준다.

* 순환기계질환은 고혈압, 심장질환, 뇌질환 등을 포함, 만성 하기도질환은 천식, 만성폐쇄성폐질환을 포함

* WHO에서는 전 세계적으로 질병 부담이 높은 심혈관질환, 당뇨병, 만성호흡기질환, 암을 4개의 주요 만성질환으로 지정, 이에 대한 국가적 차원의 대책 마련을 권고함

[자료원] 통계청. 사망원인통계. 2013

반면, 만성질환의 원인이 되는 흡연, 음주, 신체활동, 식습관 등의 생활습관요인에 대한 관리는 미흡하거나 더욱 악화되고 있다.

* (흡연․음주) 성인 남성 흡연율은 여전히 40% 이상, 고위험음주율은 12.5%

* (신체활동․식습관) 신체활동 실천율 꾸준히 감소, 에너지․지방 과잉 섭취자 증가

또한, 고혈압, 고콜레스테롤혈증, 당뇨병, 비만 등은 적절히 관리하면 심근경색이나 뇌졸중 등의 심각한 질환으로 이어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치료율과 합병증 관리율 등이 여전히 낮은 상황이다.

* (고혈압) 성인 10명 중 3명은 고혈압 환자, 그러나 치료율은 58.6% 불과

* (고콜레스테롤혈증) ‘05년 대비 약 6.9%p 늘어나 지속적 증가추세

* (비만) 성인 1,300만명이 비만이며, 특히 성인 남성에서의 비만 유병률 확연한 증가 추세

* (당뇨병) 당뇨병 합병증 중 안저검사율은 50% 미만으로 합병증 관리 활성화 시급

질병관리본부는 이러한 만성질환의 현안을 알리고 올바른 예방관리 방법에 대한 대국민 인식을 향상시키기 위해 만성질환 예방관리 캠페인을 추진하고, 일반 국민들에게 쉽게 전달할 수 있는 자료(인포그래픽)를 배포하는 등 다양한 활동을 전개할 예정이다.

인포그래픽 「주요 만성질환의 예방과 관리」(▸붙임2)를 시작으로 개별 만성질환에 대한 대국민용 자료를 순차적으로 제작할 예정이며,

9월 첫 주를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 주간’으로 지정, 전국 지자체 및 민간기관이 함께 참여하는 레드서클 합동 캠페인*을 시행한다.

* 레드서클(Red Circle) 캠페인: 레드서클은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를 위한 건강 캠페인의 심벌로 건강한 혈관을 상징하며, 캠페인의 올해 메시지는 “자기혈관 숫자 알기”로 스스로의 혈압·혈당·콜레스테롤 수치를 알고 관리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

또한, 심뇌혈관질환, 당뇨병, 만성호흡기질환, 암*의 4개 주요 만성질환을 보다 효과적이고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국가적 차원의 만성질환 종합대책을 수립할 예정이다.

* 4대 만성질환 중 암에 대한 국가적 차원의 관리는 보건복지부 제3기 암정복 10개년 계획에 기반

[지표 설명]

현재흡연율 : 평생 담배 5갑(100개비)이상 피웠고 현재 담배를 피우는 분율

고위험음주율 : 1회 평균 음주량이 7잔 이상(여자 5잔)이며 주 2회 이상 음주하는 분율

신체활동 실천율 : 최근 1주일 동안 격렬한 신체활동(1회 10분 이상, 1일 총 20분 이상, 주3일 이상), 중등도 신체활동(1회 10분 이상 1일 총 30분 이상 주 5일 이상), 또는 걷기(1회 10분 이상, 1일 총 30분 이상, 주 5일 이상)를 실천한 분율

에너지 과잉섭취자 분율 : 성·연령별 필요추정량(또는 영양권장량의 125%) 이상 분율

지방 과잉섭취자 분율 : 에너지섭취비율 25% 초과

나트륨 과잉섭취자 분율 : 나트륨 목표 섭치량인 2,000mg 초과

비만 유병률 : BMI ≥ 25, 고도비만 유병률 : BMI ≥ 30

고콜레스테롤혈증 유병률 : 총콜레스테롤 ≥240 mg/dL or 콜레스테롤강하제 복용

고콜레스테롤혈증 치료율 : 유병자 중 치료자 콜레스테롤강하제를 한 달에 20일 이상 복용

고콜레스테롤혈증 조절률 : 총콜레스테롤 <200 mg/dL

고혈압 유병률 : 수축기혈압 ≥140mmHg 또는 이완기혈압 ≥ 90mmHg 또는 고혈압 약물 복용

고혈압 치료율 : 혈압강하제를 한 달에 20일 이상 복용

고혈압 조절률 : 수축기혈압이 140mmHg미만이고 이완기혈압이 90mmHg미만

당뇨병 합병증 검사(건강보험심사평가원 당뇨병 적정성 평가 대상)

당화혈색소 검사 시행률 : 당화혈색소 검사를 시행한 환자의 비율

지질 검사 시행률 : 지질 검사를 시행한 환자의 비율

안저 검사 시행률 : 안저 검사를 시행한 환자의 비율

 

[보건복지부 2015-08-20]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743 농식품부, 계란 수급 안정화 방안 발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1.09 68
9742 대규모유통업법 개정안 국무회의 통과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1.06 68
9741 아우디, 벤츠, 마세라티, KTM 리콜 실시(총 19개 차종 2,172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2.13 68
9740 중국산 활꼬막(새꼬막) 카드뮴 기준초과 검출 회수조치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2.05 68
9739 해외구매 배송 지연 시 신속히 대응해야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1.25 68
9738 시중유통 컬러 콘택트렌즈 일부 제품 기준 부적합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1.21 68
9737 유학갈 때, 국내 주소 미리 신고하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1.18 68
9736 서민에게 적합한 대출상품과 일자리를 상담해 드립니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0.20 68
9735 알뜰폰 서비스 피해 소비자의 약 절반이 고령자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0.19 68
9734 철도 파업에도 전철·KTX 정상 운행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9.23 68
9733 국토부, 아우디폭스바겐코리아에 과징금 부과 예정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9.05 68
9732 청년 3명이 함께 전셋집 구하면 최대 1억 5천만 원 지원, 전세임대주택 안내하는 ‘전세임대 뱅크(BANK)’ 도 도입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31 68
9731 식약처, 국내.외 유통 분유제품 방사능 검사 결과 발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16 68
9730 모바일로 쉽게 화장장 예약하고, 장례용품 가격비교 하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14 68
9729 불법·위해 수입물품, 꼼짝마 !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24 68
Board Pagination Prev 1 ... 266 267 268 269 270 271 272 273 274 275 ... 920 Next
/ 9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