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한국소비자원은 피젯스피너* 사용 중 얼굴에 상처를 입거나 피부 발진이 발생했다는 위해정보가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에 접수됨에 따라,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놀이용 피젯스피너’ 25개와 충전지로 작동하는 ‘블루투스 스피커용 피젯스피너’ 10개 제품의 표시 실태 및 안전성을 조사하였다.
* 피젯스피너(Fidget spinner): 여러 갈래 금속 또는 플라스틱 소재 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한 손으로 쥐고 반복적인 회전동작을 하도록 설계된 제품

  조사 결과, ‘놀이용 피젯스피너’ 일부 제품 및 ‘블루투스용 스피커용 피젯스피너’ 전 제품의 안전확인표시가 미흡하였고, 날카로운 가장자리로 인한 상해 및 배터리 폭발로 인한 화재·화상 등 안전사고가 우려되는 제품도 있었다.

  이에, 통신판매중개사업자 정례협의체*와 협력하여 조사 대상을 포함한 미인증 블루투스 스피커용 피젯스피너를 판매하는 약 400개 사업자의 1,555개 상품에 대해 유통·판매를 차단하였다.
* 온라인 유통 제품의 안전성 확보를 위하여 한국소비자원과 네이버(쇼핑), SK플래닛(11번가), 이베이코리아(옥션, 지마켓), 인터파크(쇼핑), 쿠팡 등 5개사가 참여
 

< 피젯스피너 이용 시 소비자 주의사항 >

1. 사용 연령을 확인하십시오.
 ▶
어린이가 사용할 경우, 어린이제품 안전확인신고 여부를 확인 후 구매하도록 함.
   ※ 어린이제품안전 확인번호는 'CB-'로 시작됨.

2. 가정 내 보관 시 주의하십시오.
 ▶
베어링 등 작은 부품이 포함된 제품은 해외에서 삼킴사고가 발생한 사례가 있어 보관 시에도 주의가 필요함.
 ▶ 특히 불빛이 나는 스피너의 버튼형(리튬) 전지를 삼킬 경우, 식도에 화상을 입을 수 있으므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함.
   ※ 만3세 미만 어린이는 특히 주의가 필요함.

3. 사용 시 주의하십시오.
 ▶
스피너의 부품이 작은 충격에도 쉽게 빠질 수 있어 놀이 시 보호자의 지도 및 주의가 필요함.
가장자리가 깨지면서 부품이 빠진 경우버튼형 배터리가 빠진 경우
가장자리가 깨지면서 부품이 빠진 경우 사진버튼형 배터리가 빠진 경우 사진
 ▶ 얼굴(특히 눈) 가까이에 두고 놀지 않도록 주의함.
 ▶ 코팅이 벗겨진 금속 스피너 사용 중 피부 발진 등 이상증상 발생시 즉시 사용을 중단함.
코팅이 벗겨져 금속 노출로 인한
피부질환 유발
돌출된 부위를 당기거나 미는 동작이 반복되면서
피부에 지속적인 자극을 주어 피부질환 유발
코팅이 벗겨진 피젯스피너지속적인 피부 자극을 주는 피젯스피너
 ▶ 가장자리가 매끄럽지 않은 제품은 사용에 주의가 필요함.
거스러미날카로운 끝날카로운 가장자리
거스러미가 일어난 피젯스피너끝이 날카로운 피젯스피너가장자리가 날카로운 피젯스피너

3. 충전 시 주의하십시오.
 ▶ 배터리가 포함된 제품 충전 시 장시간 충전 상태로 방치하지 말아야 함.
배터리 부풀음 현상 시험 전시험 후(부풀음 발생)
배터리 부풀음 전 사진배터리 부풀음 발생 후 사진

 ▶ 완충된 후 반드시 충전기를 분리하고, 확인이 불가능한 경우 1시간 이내로 충전하도록 함.
 ▶ 전용 충전 케이블이 제공된 경우, 전용 충전 케이블을 사용하도록 함.



[ 한국소비자원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 2018-03-07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213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421 2015.01.05
3212 일본뇌염 환자 발생에 따른 주의 당부 !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 2020.10.16
3211 일본뇌염 환자 발생에 따른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1 2021.08.31
3210 일본뇌염 첫 환자 발생에 따른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5 2019.09.02
3209 일본뇌염 주의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1 2021.03.23
3208 일본뇌염 주의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0 2022.04.11
3207 일본뇌염 국내 첫 환자 발생에 따른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3 2018.09.13
3206 일본 풍진 유행, 여행 전 예방접종 필수 !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5 2018.10.12
3205 일본 원전 오염수 관련 확인되지 않은 정보를 이용한 광고 행위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9 2023.06.19
3204 일방적 민원 취하 간주, 이유 알려 반려로...자치법규 정비해 민원인 권익보호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9 2020.12.03
3203 일반 세균수 초과 검출된 샴푸(5)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4 2022.06.08
3202 일반 세균수 초과 검출된 샴푸(4)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2 2022.06.08
3201 일반 세균수 초과 검출된 샴푸(3)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9 2022.06.08
3200 일반 세균수 초과 검출된 샴푸(2)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2 2022.06.08
3199 일반 세균수 초과 검출된 샴푸(1)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7 2022.06.08
3198 일명“가상통화펀드”관련 투자자 유의사항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9 2018.10.24
3197 일렉트로포스社 차량용 블랙박스 보조배터리 사용하지 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9 2021.04.22
3196 일렉트로마트 사칭사이트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7 2023.11.06
3195 일교차 큰 가을철, 식중독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2 2023.09.07
3194 일교차 큰 가을철 식중독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7 2021.10.25
Board Pagination Prev 1 ...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