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피부관리실 부작용 많고 계약해지도 어려워

- 해면ㆍ수건에서 병원성 세균 검출 등 위생관리 미흡 -

이 자료는 8월 21일(금) 조간부터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방송·인터넷 매체는 8월 20일 12시)

 

외모 관리를 위해 피부관리실을 찾는 사람들이 많지만 장기 이용계약을 했다가 중도 해지를 거부당하는 경우가 많고 피부관리실 내 위생관리나 화재대비도 미흡하여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소비자상담은 ‘계약 해제ㆍ해지 관련 불만’ 가장 많아

1한국소비자원(www.kca.go.kr)에 따르면 2012년 1월부터 2015년 6월까지 1372소비자상담센터*에 접수된 ‘피부ㆍ체형관리서비스’(이하 ‘관리서비스’) 관련 소비자상담은 총 14,169건에 이른다. 

* 1372소비자상담센터(www.ccn.go.kr) : 10개 소비자단체, 16개 광역시도 지방자치단체, 한국소비자원이 참여하는 전국 단위의 통합 상담처리시스템

계약 해제ㆍ해지 거부, 중도해지 위약금 과다 부과 등 ‘계약 해제ㆍ해지 관련 불만’이 8,579건(60.5%)으로 가장 많았고, 효과 미흡, 부작용 등 ‘서비스 결과에 대한 불만’이 1,712건(12.1%), ‘계약미이행(불완전이행)’ 1,544건(10.9%), 강매, 무면허 의료시술, 의료기기 부당사용 등 ‘피부미용업소의 부당행위 관련 불만’이 1,041건(7.3%) 순으로 많았다.

계약 중도해지 요구 거부하거나, 허용되지 않는 의료기기 사용 많아

이에, 한국소비자원은 서울ㆍ경기 지역의 피부관리실(100개)을 대상으로 계약 관련 사항과 의료기기 사용 및 무면허 의료행위 실태를 조사했다.

관리서비스 계약이 대부분 고가의 계속거래*임에도 불구하고 계약서를 교부하지 않는 업소가 82개(82.0%)였으며, 31개(31.0%)는 소비자의 계약해지 요구를 거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또한 79개(79.0%) 업소 고주파기, 저주파기, 초음파기 등의 기기를 사용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현행 의료기기법에 따르면 피부관리실에서 사용되는 기기는 대부분 의료기기로 분류되어 관리실에서 영업목적 사용이 허용되지 않고 있다. 37개(37.0%)는 미용문신, 박피술 등 무면허 의료위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치료효능 표방 등 의료법 위반 소지 있는 광고 절반 넘어

한편 조사대상 피부관리실(100개)의 온ㆍ오프라인 광고물을 확인한 결과, 59개 업소(59.0%)가 허위ㆍ과장광고 관련 법규* 위반 소지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광고 유형으로는 ▲객관적 근거 없이 의학적 치료 효능을 보장하는 광고, ▲불법으로 의료기기를 사용하면서 피부미용 효능을 강조한 광고, ▲미용문신, 박피술 등 불법 의료시술 광고, ▲부작용을 부정하고 안전성을 강조하는 광고 등이 확인됐다.

▣ 소비자 위해사례는 ‘피부 발진’이 가장 많아

4한편 동기간(‘12.1.~’15.6)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피부관리실 관련 위해사례는 총 555건으로 매년 140여 건 이상 발생하고 있다. 

 

관리서비스를 받고 난 후 피부염 또는 피부 발진이 발생했다는 사례가 353건(63.6%)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코, 입술, 발 등 피부 및 피하조직 손상(47건, 8.5%), 피부미용기기(고주파 치료기, 스톤 등)의 잘못된 사용으로 인한 화상(46건, 8.3%) 등의 순이었다.

일부 피부관리실 해면·수건에서 병원성 세균 검출

6 실제로 한국소비자원이 서울 소재 피부관리실 20개 업소에서 사용하고 있는 해면과 수건을 수거하여 오염도를 조사한 결과, 5개(25.0%) 업소에서 병원성 세균인 황색포도상구균과 농균이 검출되어 위생관리가 허술한 것으로 나타났다.5 

 

위생관리 미흡, 스파 시설 있어도 목욕장업 신고하지 않고 영업

피부관리실은 자외선살균기 등 미용기구를 소독하는 장비를 갖추도록 규정하고 있으나 4개 업소(20%)는 자외선살균기를 갖추지 않았거나 고장난 채로 방치되어 있었으며, 4개 업소(20%)는 살균기 내에 미용기구를 겹쳐 쌓아두는 등 소독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상태였다.

또한 2개 업소(10%)는 화장품을 일반냉장고에 음식물과 같이 보관하고 있었으며, 4개 업소(20%)는 세탁한 용품들을 세탁 전 오염된 용품이나 신발과 같이 보관하는 등 기초적인 위생기준을 지키지 않고 있었다.

4개 업소(20%)는 스파시설을 갖추고 목욕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나 모두 목욕장업으로 신고하지 않고 영업하고 있어 소독, 수질관리 대상에서 제외되는 등 위생관리 사각지대에 놓여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피부관리실 화재에 취약해

피부관리실은 대부분 2개에서 7개까지 구획된 실을 갖추고 영업하고 있어 외부로의 탈출경로가 복잡함에도 불구하고 구획된 실마다 유도등을 설치하거나 휴대용 비상조명등을 설치한 곳은 각 1개 업소(5%)에 불과했다.

8개 업소(40%)는 주출입구 외에 화재 등 재난 시 탈출할 수 있는 비상구 또는 완강기 설비 등을 갖추지 않았고, 2개 업소(10%)는 인테리어 등을 이유로 완강기 창문을 폐쇄하거나 완강 기구를 비치하지 않아 사용할 수 없는 상태였다. 내부 마감재료를 불연재료로 사용한 업소는 한 곳도 없는 등 화재에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한국소비자원은 조사결과를 토대로 피부미용사업자 간담회를 통해 고가 계속거래의 경우 계약서 교부 의무화, 중도해지 시 소비자분쟁해결기준에 따른 환불기준 마련, 무면허 의료행위 근절, 피부미용 효능 관련 허위과장광고 시정을고했으며, 위생 관련 가이드라인 마련 등 자율적 안전 점검 강화 및 관련 교육 실시를 요청했다.

또한, 공중위생관리법의 ‘공중위생업자의 의무’에 피부관리실의 치료 효능 광고 금지 조항 마련, 의료기기법에 따른 의료기기 광고에 대한 사후 모니터링 대상에 피부관리실의 의료기기 효능 표방 광고 추가, 피부관리실에서 용 목적으로 사용하는 기기 중 안전성이 입증된 기기에 대한 별도규정 및 안전수칙 마련, 미용기구의 구체적인 소독기준 마련, 소방 안전 관리방안 마련 등을 관계 부처에 건의할 예정이다.

 

[한국소비자원 2015-08-20]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125 어려운 세금문제, 마을세무사에게 물어보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2.23 104
12124 15개 치킨브랜드의 프랜차이즈 비교정보 공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2.22 104
12123 말기 암 가정 호스피스 시범사업 17개 의료기관에서 3월 2일부터 시작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2.15 104
12122 부상 위험 있는 천장등 HYBY(휘뷔), LOCK(로크), RINNA(린나) 환불 안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2.12 104
12121 도로변 졸음쉼터설치로 사망자 55% 감소 효과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1.08 104
12120 12월 15일부터 한국증권금융 유가증권 담보대출 이용에 대한 개인신용평가가 개선됩니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2.14 104
12119 '예금자 보호제도' 변함없이 유지됩니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2.14 104
12118 금년 12월 4일부터는 '통합연금포털'에서 우체국 연금정보도 확인 가능합니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2.04 104
12117 KS인증 서비스 혁신!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2.03 104
12116 이젠 닭고기 살때도 동물복지 인증마크 확인!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19 104
12115 거제시에서 판매된 무표시 막걸리 제품 회수 조치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15 104
12114 무선주전자 비교정보 생산 결과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13 104
12113 고령 환자 의료 사고, 10건 중 6건 수술·시술에서 발생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07 104
12112 이제 겨울건강을 준비할 때! 2015-2016절기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안내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30 104
» 피부관리실 부작용 많고 계약해지도 어려워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8.21 104
Board Pagination Prev 1 ...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 921 Next
/ 921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