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2018년 신고된 장티푸스, 세균성이질 환자 147명 중 110명(74.8%) 동남아 방문
   * 장티푸스 환자 68명 중 40명(58.8%), 세균성이질 환자 79명 중 70명(88.6%)
◇ 동남아시아 지역 여행 시 감염병 예방수칙 준수 당부
   * 30초 이상 비누로 손씻기, 음식 익혀먹기, 포장된 물과 음료수 마시기 등


□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2018년 신고된 장티푸스, 세균성이질 환자가 전년 대비 급증*하고(2018.2.26.기준), 이 중 74.8%(110명)가 동남아시아 지역을 여행한 것으로 확인됨에 따라 해당 지역을 방문할 때 수인성·식품매개감염병 예방수칙을 준수할 것을 당부하였다.
    * 장티푸스 : ’17년 14명(국내발생 9, 해외유입 5) → ’18년 68명(국내발생 27, 해외유입 41)
    * 세균성이질 : ’17년 24명(국내발생 2, 해외유입 22) → ’18년 79명(국내발생 9, 해외유입 70)


< 해외 여행자 대상 수인성·식품매개감염병 예방수칙 >

  • 물에 비누로 30초 이상 손씻기
  • 익혀먹기
  • 물과 음료수 마시기
  • 음식 먹기 않기
  • 채소는 먹기 전 흐르는 깨끗한 물에 씻어 껍질 벗겨먹기

 

 
  ○ 제1군 법정감염병인 장티푸스는 장티푸스균(Salmonella Typhi) 감염에 의한 급성 전신성 발열성 질환으로 균 감염 3일~60일 후 고열, 두통, 변비 또는 설사, 장미진(장미빛 반점), 비장 비대 등의 증상을 나타내며 우리나라에서는 연 100~300명 정도 발생한다.

   - 2018년 2월 26일 현재 장티푸스 신고환자 68명의 역학조사서를 확인한 결과, 40명이 2017년 12월부터 2018년 2월까지 라오스, 베트남, 필리핀, 인도 등 동남아시아 지역을 여행한 후 고열, 두통, 설사, 복통 등의 증상을 나타냈다.

 ○ 세균성이질 또한 제1군 법정감염병으로, 이질균(Shigella spp.) 감염에 의한 급성 장관 질환이고, 균 감염 12시간~7일 후 발열, 구토, 복통, 수양성 또는 혈성 설사 등의 증상을 나타내며 우리나라에서는 연 100~300명 정도 발생한다.

   - 2018년 2월 26일 현재 세균성이질 신고환자 79명의 역학조사서를 확인한 결과, 70명이 2017년 12월부터 2018년 2월까지 필리핀, 베트남, 인도 등 동남아시아 지역을 여행한 후 설사, 발열, 복통 등의 증상을 나타냈다.

□ 질병관리본부는 동남아시아 여행 후 장티푸스, 세균성이질, 콜레라와 같은 수인성·식품매개감염병의 유입을 방지하고 국내 확산을 예방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예방수칙을 준수할 것을 당부하였다.

 ○ 여행 중에는 흐르는 물에 30초 이상 비누로 올바른 손씻기, 안전한 음식 섭취, 길거리 음식 먹지 않기, 포장된 물과 음료수 마시기, 과일‧채소는 먹기 전 깨끗한 물에 씻어 껍질 벗겨 먹기와 같은 수인성·식품매개감염병 예방수칙을 준수하도록 한다.

 ○ 귀국 후 공항에서 검역관에게 건강상태질문서를 제출하고, 발열, 설사, 복통 등의 증상이 있을 경우 검역관에게 신고하여 검사를 받고, 결과 통보 시까지 다른 사람과의 접촉을 자제하도록 한다.

 ○ 입국 후 발열, 설사, 복통과 같은 장관 감염 증상이 발생하면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해외여행력을 알리고 진료를 받도록 한다.

□  또한, 동남아시아 여행 후 발생한 설사 감염병 환자를 진료한 의료기관에서는 지체 없이 관할 보건소로 신고할 것을 당부하였다.

 ○ 아울러 우리 국민이 질병 정보에 대해 궁금한 사항이 있을 경우, 질병관리본부 콜센터(☏1339)로 문의하면 된다.



[ 보건복지부 2018-02-28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1820 안전수칙 지켜 물놀이 안전사고 예방... 특히 하천·강에서 물놀이 시 주의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7 2017.07.14
1819 안전용기 사용하지 않은 Rocky Mountain Oils 에센셜오일 판매차단(1)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7 2021.01.27
1818 안전인증 받지 않은 Tupa 등산용 하네스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8 2024.01.04
1817 안전인증 의무화 등 승강기 안전관리 강화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4 2019.03.05
1816 안전적합성 평가를 받지 않은 안전화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4 2024.04.16
1815 안전정보 표시를 누락한 Coleman 휴대용 버너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92 2021.12.27
1814 안전하고 희망찬 새해 맞이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2 2018.12.27
1813 안전한 사회, 교통 안전수칙 지키기부터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6 2017.11.03
1812 안전한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을 위한 예방수칙 준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1 2020.10.26
1811 안전확인 표시를 하지 않은 한국잡월드 캐치볼 자발적 환급 안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583 2016.06.15
1810 안정세 유지를 위한 엠폭스 고위험군의 적극적 예방접종 및 예방수칙 준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0 2023.07.31
1809 안트라퀴논 잔류 함량이 높은 Kharta 마테차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6 2022.08.26
1808 알러지 및 접촉성 피부염 유발 성분 함유된 Al Haramain 향수(1)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8 2022.10.18
1807 알러지 및 접촉성 피부염 유발 성분 함유된 Al Haramain 향수(2)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4 2022.10.18
1806 알러지 및 접촉성 피부염 유발 성분 함유된 Jack Hope 향수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0 2022.10.18
1805 알러지 반응 유발하는 스트레스 완화제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4 2022.07.11
1804 알러지 유발 성분이 미표시된 카라멜 시럽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8 2024.05.07
1803 알러지 유발 성분인 우유, 아황산염이 미표기된 Ola-Ola 마가루 파우더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1 2024.01.04
1802 알러지 유발물질 표시가 누락된 Swisse Ultiboost 수면보조식품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0 2024.04.01
1801 알러지 유발성분인 아황산염이 미표기된 Due Vittorie 발사믹 식초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2 2024.01.04
Board Pagination Prev 1 ...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