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제조과정 중 생성 벤젠 10년 전 대비 90% 이상 감소 -

□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류영진)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은 지난해 우리나라에서 유통되고 있는 음료류를 대상으로 벤젠 검출 수준을 조사한 결과, 인체에 위해우려가 없는 안전한 수준이라고 밝혔습니다.
* 벤젠은 식품에 대한 관리기준은 없으나, 먹는 물의 경우 세계보건기구(WHO), 일본 및 우리나라 등은 기준을 설정해서 관리하고 있음
* 세계보건기구(WHO)‧일본‧한국(10 ppb이하), 미국(5 ppb이하)

○ 이번 조사는 음료류 제조과정 중 자연적으로 생성될 수 있는 벤젠 검출 수준을 조사하여 우리 국민들 건강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진행하였습니다.
- 참고로 벤젠은 비타민 C와 보존료로 사용된 안식향산의 화학반응에 의해 자연적으로 생성되며, 비타민 C 함유 음료에서 벤젠이 검출되어 논란이 있었던 ‘06년 이후부터 현재까지 벤젠 저감화를 위한 노력을 지속적으로 실시하고 있습니다.

□ 이번 실태조사 대상은 우리 국민이 자주 섭취하거나 많이 판매되는 음료류 6종(과채음료류, 탄산음료, 두유류, 발효음료류, 인삼홍삼음료류, 기타음료)을 대상으로 총 300건 수거‧검사하였습니다.

○ 조사 결과, 조사 대상 300건 중 3건에서 벤젠이 평균 3ppb 검출되었으며 검출 수준은 먹는 물 벤젠 기준(10ppb)에 비해 낮은 수준이었습니다.
* 탄산음료 2건(검출평균 2.7ppb), 인삼‧홍삼음료 1건(4.5ppb)
- ‘06년 벤젠 저감화 이전 검출률은 94%(67건 중 63건), 먹는 물 기준(10ppb) 초과율도 67.2%(67건 중 45건)나 되었으나 벤젠 저감화 추진 이후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벤젠 실태조사 결과
· ‘06년(저감화 추진후): 58건 중 6건 검출(10.3%), 10ppb 이상 1건
· ‘13년: 81건 중 2건 검출(2.5%), 10ppb 이상 0건
· ‘17년: 300건 중 3건 검출(1.0%), 10ppb 이상 0건

○ 또한, 벤젠 실태조사 결과를 토대로 한 일일추정섭취량(EDI) 평가한 결과(0.0000317 ug/kg b.w./day) 미국환경청(EPA)이 제시한 독성참고치(4 ug/kg b.w./day) 대비 0.00079%로 인체 위해발생 우려가 거의 없는 수준으로 조사되었습니다.
* 일일추정섭취량(Estimated Daily Intake) : 실험에서 얻어진 벤젠 검출량 및 해당식품의 섭취량을 이용하여 일일 노출량을 추정한 값
* 독성참고치(RfD): 인구집단에서 일생동안 뚜렷한 유해영향이 나타나지 않을 것으로 예측되는 노출량

□ 식약처는 이번 실태조사 결과 벤젠 검출 수준이 낮게 조사된 것은 ▲비타민 C와 안식향산나트륨 혼합 사용금지 ▲천연보존료로 대체사용 ▲살균공정 강화 ▲제조공정 개선 등 정부와 관련 업계의 지속적인 저감화 노력의 결과라고 설명했습니다.
○ 아울러 국민 건강 확보를 위해 앞으로도 제조공정 중 생성되는 비의도적 유해물질 저감화를 지속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 식품의약품안전처 2018-02-28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453 벤젠 검출된 Tinactin 스프레이형 무좀약 판매차단(1)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5 2021.11.30
2452 에틸렌옥사이드 성분 함유된 SANTAROME BIO 건강보조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5 2021.12.01
2451 “상조서비스 계약 시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5 2021.12.09
2450 부품 강도 결함 및 사용자 낙하 위험 있는 Petzl 등반로프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5 2022.04.01
2449 절연 미흡으로 인한 화재발생 위험 있는 스마트 전기오븐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5 2022.04.01
2448 가짜 금융회사 앱(App)을 설치하지 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6 2017.12.11
2447 올해 첫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환자 발생, 야외활동 시 진드기 물림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6 2020.04.27
2446 방역수칙 철저히 지키며 안전한 문화생활 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6 2020.11.06
2445 자연연소 주의사항 표시가 없는 Walrus Oil 가구광택제 4종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6 2021.03.18
2444 용기 및 제품 품질에 문제가 있는 세잔 리퀴드 아이라이너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6 2021.06.02
2443 무등록 제조한 기타농산가공품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6 2021.07.29
2442 체증형 종신보험 가입시 유의하세요! (소비자경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6 2021.08.25
2441 기준 초과 비소 함유한 Bubs Organic Banana Rice 영유아용 시리얼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6 2021.10.08
2440 온 가족이 이용하는 화장실, 세면대 안전사고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6 2021.12.08
2439 안구보호 기능 미흡해 망막손상 및 시력저하 위험있는 레이저 보호 안경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6 2022.02.09
2438 금속성 이물 또는 유리조각 혼입 가능성 있는 음료 가루(5)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6 2022.02.14
2437 일부 부품 쉽게 분리되어 질식 위험있는 Wearxi 농구골대 완구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6 2022.03.07
2436 “ 죽음에 이르는 질식사고, 봄철에 가장 많이 발생 ”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7 2018.03.15
2435 치아 투명교정, 부실진료 관련 소비자불만 크게 증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7 2018.03.29
2434 닭요리 할 때, 캠필로박터 식중독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7 2018.07.16
Board Pagination Prev 1 ...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