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제조과정 중 생성 벤젠 10년 전 대비 90% 이상 감소 -

□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류영진)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은 지난해 우리나라에서 유통되고 있는 음료류를 대상으로 벤젠 검출 수준을 조사한 결과, 인체에 위해우려가 없는 안전한 수준이라고 밝혔습니다.
* 벤젠은 식품에 대한 관리기준은 없으나, 먹는 물의 경우 세계보건기구(WHO), 일본 및 우리나라 등은 기준을 설정해서 관리하고 있음
* 세계보건기구(WHO)‧일본‧한국(10 ppb이하), 미국(5 ppb이하)

○ 이번 조사는 음료류 제조과정 중 자연적으로 생성될 수 있는 벤젠 검출 수준을 조사하여 우리 국민들 건강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진행하였습니다.
- 참고로 벤젠은 비타민 C와 보존료로 사용된 안식향산의 화학반응에 의해 자연적으로 생성되며, 비타민 C 함유 음료에서 벤젠이 검출되어 논란이 있었던 ‘06년 이후부터 현재까지 벤젠 저감화를 위한 노력을 지속적으로 실시하고 있습니다.

□ 이번 실태조사 대상은 우리 국민이 자주 섭취하거나 많이 판매되는 음료류 6종(과채음료류, 탄산음료, 두유류, 발효음료류, 인삼홍삼음료류, 기타음료)을 대상으로 총 300건 수거‧검사하였습니다.

○ 조사 결과, 조사 대상 300건 중 3건에서 벤젠이 평균 3ppb 검출되었으며 검출 수준은 먹는 물 벤젠 기준(10ppb)에 비해 낮은 수준이었습니다.
* 탄산음료 2건(검출평균 2.7ppb), 인삼‧홍삼음료 1건(4.5ppb)
- ‘06년 벤젠 저감화 이전 검출률은 94%(67건 중 63건), 먹는 물 기준(10ppb) 초과율도 67.2%(67건 중 45건)나 되었으나 벤젠 저감화 추진 이후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벤젠 실태조사 결과
· ‘06년(저감화 추진후): 58건 중 6건 검출(10.3%), 10ppb 이상 1건
· ‘13년: 81건 중 2건 검출(2.5%), 10ppb 이상 0건
· ‘17년: 300건 중 3건 검출(1.0%), 10ppb 이상 0건

○ 또한, 벤젠 실태조사 결과를 토대로 한 일일추정섭취량(EDI) 평가한 결과(0.0000317 ug/kg b.w./day) 미국환경청(EPA)이 제시한 독성참고치(4 ug/kg b.w./day) 대비 0.00079%로 인체 위해발생 우려가 거의 없는 수준으로 조사되었습니다.
* 일일추정섭취량(Estimated Daily Intake) : 실험에서 얻어진 벤젠 검출량 및 해당식품의 섭취량을 이용하여 일일 노출량을 추정한 값
* 독성참고치(RfD): 인구집단에서 일생동안 뚜렷한 유해영향이 나타나지 않을 것으로 예측되는 노출량

□ 식약처는 이번 실태조사 결과 벤젠 검출 수준이 낮게 조사된 것은 ▲비타민 C와 안식향산나트륨 혼합 사용금지 ▲천연보존료로 대체사용 ▲살균공정 강화 ▲제조공정 개선 등 정부와 관련 업계의 지속적인 저감화 노력의 결과라고 설명했습니다.
○ 아울러 국민 건강 확보를 위해 앞으로도 제조공정 중 생성되는 비의도적 유해물질 저감화를 지속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 식품의약품안전처 2018-02-28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389 국내 플러그 기준에 부적합한 충전기 사용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5 2022.08.30
3388 국내․외 대규모 축제 전후 엠폭스 감염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2 2023.06.20
3387 국내결혼중개 서비스 계약 해지 거부·위약금 과다 피해 주의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4 2023.10.25
3386 국내외 유명 투자전문가를 사칭하는 채팅App(오픈채팅방)의 해외주식 매수추천에 유의해주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 2024.06.18
» 국내유통 음료류 벤젠으로 인한 위해 우려 없어 !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5 2018.02.28
3384 국립공원 사망사고 절반은 심장돌연사, 가을철 산행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2 2017.09.29
3383 국립공원 이용시 사회적 안전거리 준수와 겨울철 안전사고 대비 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0 2020.11.30
3382 국민 10명 중 7명은 아파트 단지 내 보행안전 ‘위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3 2018.05.31
3381 국민신문고 사칭 이메일 주의 당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1 2022.12.02
3380 국민의 의견을 들어 안전감찰을 추진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7 2018.10.11
3379 국민청원 검사, 시중 모든 '인공눈물' 무균시험 적합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7 2020.06.29
3378 국민청원 안전검사제, '노니 분말.환 제품' 조사 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6 2019.05.02
3377 국세청 사칭, 이메일에 속지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 2019.06.03
3376 국세청 사칭, 이메일・문자메시지에 속지 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9 2024.01.10
3375 국외 원숭이두창 대비, 위기경보 “관심단계”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0 2022.06.03
3374 국제거래 소비자의 10% 이상이 소비자피해 경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3 2020.07.29
3373 국표원, 수영복·전격살충기 등 48개 제품 리콜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26 2017.07.18
3372 국표원, 액체괴물·전기매트 등 132개 제품 리콜명령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 2018.12.20
3371 국표원, 어린이가방·학용품 등 51개 제품 리콜명령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3 2019.02.27
3370 궁금한 독성정보, 톡스인포에서 찾으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0 2019.02.22
Board Pagination Prev 1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 220 Next
/ 2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