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17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질병관리본부보행자 사고 예방을 위한 예방수칙 안내 

◇ 보행자 사고로 1일 157명 입원치료전체 교통사고의 15.4% 차지 

14세 이하에서는 보행자 사고 비율 37.4%, 아침 9시 이전 등교시간에 많이 발생

65세 이상보행자 사고 비율 24.3%, 새벽, 6시 이후의 저녁과 밤에 많이 발생

□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새 학기가 시작되고 바깥 활동이 많아지는 봄철을 맞아, 보행자와 운전자가 지켜야 할 교통사고 예방수칙을 안내하였다.

○ 특히, 자녀들이 횡단보도를 건널 때 ‘멈춘다, 살핀다, 건넌다’는 3가지 원칙을 꼭 지키도록 학부모・교사들이 지도해줄 것을 강조하였다.

 

보행자 교통사고 예방을 위한 준수사항 

 

 

 

보행자 >

길을 걸을 때 안전하게 보행자 도로를 이용한다. 

길을 건널 때 횡단보도를 이용하고 멈춘다살핀다건넌다 3가지 기본원칙을 지킨다.

야간에는 밝은 색의 옷을 입고손전등이나 반사되는 물건 가지고 다닌다.

길을 걸을 때 휴대전화와 같은 전자기기 사용을 삼간다.

운전자 >

평소 보행자가 있는지 확인하고새벽밤 시간대 등 어두운 상태나 날씨가 좋지 않을 경우는 더욱 주의한다

학교 주변(스쿨존)과 같이 아이들이 있는 장소에서는 주의를 기울이고 서행한다.

속도제한을 준수하고주변에 보행자가 있을 때는 서행한다

운전 중에 휴대전화 조작 등 주의를 산만하게 하는 행동은 삼간다.

 

 

 

□ 한편, 질병관리본부는 2011-2015년에 보행자 교통사고로 병원에 입원한 환자를 조사(170개 병원 기록 조사)* 분석한 결과를 다음과 같이 발표하였다.

    * 매년 100병상 이상 170개 표본병원의 퇴원환자 9%를 표본추출하여 의무기록 조사를 실시하고 있으며, 2005년에 조사를 도입하였고 국가통계로 승인받았음

 ○ 5년 간 보행자 교통사고로 총 28만 5735명이 입원하였고, 이는 연간 5만 7147명, 일간 157명이 입원치료를 받았다. 이는 전체 교통사고로 인한 입원자 수의 15.4%를 차지한 것이다.

   - 보행자 사고율은 14세 이하 아동, 65세 이상 어르신 연령대에서 높으며, 각 연령별 교통사고 입원환자 중 보행자 사고가 차지하는 비율은 14세 이하 37.4%, 65세 이상 24.3%이며, 80세 이상에서는 36.3%이었다.

 ○ 보행자 교통사고 환자의 입원기간은 전체 교통사고의 입원기간보다 약 4-6일 더 길었고, 65세 이상의 경우에는 전 연령 환자보다 6일 더 입원하였다.

   
□ 손상 발생 요인을 조사하는 응급실 손상환자 심층조사(23개 응급실 기록)의 최근 6년간(‘11~’16) 보행자 사고 자료 5만 2911건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보행자 사고는 3월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5월에 많이 발생하였고, 여름에는 감소하다가 9~11월에 다시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 요일별 현황을 보면, 금요일, 토요일(평균 8,432건)에 다른 요일(평균 7,207건)보다 보행자 사고가 더 많이 발생하였다.

 ○ 하루 중 시간대별 사고율을 보면, 전 연령에서는 사고율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완만하게 증가하고, 18~23%로 비슷한 수준이었다.

   - 14세 이하의 경우, 아침 9시 이전 등교 시간의 사고 발생률*(38%)이 가장 높았고, 65세 이상에서는 6시 이전 새벽 시간(40%)과 오후 6시 이후의 저녁(39%)과 밤(43%)에 보행자 사고 발생률이 높았다.
          

  ○ 사고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장소는 횡단보도 67.2%, 보도 7.9%이었다.
 
 ○ 보행자 사고 시 상대 차량은 승용차를 포함한 20인승 미만 차량이 가장 비중(78%)이 높았다. 14세 이하에서는 자전거에 의한 사고율이 12%로 다른 연령대보다 높았다.

□ 정은경 질병관리본부장은 “새 학기에 보행자 사고를 예방하려면, 보행자와 운전자 모두 주의가 필요한데, 학부모와 교사들은 어린 학생이 등‧하교 시 예방수칙을 지킬 수 있도록 꼼꼼히 지도하고, 운전자도 학교 주변에서 반드시 서행해 줄 것”을 당부하였다.



[ 보건복지부 2018-02-27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860 전자상거래로 구입한 가구, 소비자피해 급증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4 2019.04.01
859 전자아울렛 / DIGITAL-ASOTS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3 2022.07.06
858 전자파 차단제품 차단효과 없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552 2016.12.09
857 전지 단자함 고정이 미흡한 Diyife 티라이트 판매 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6 2023.07.13
856 전지함 고정이 미흡해 삽입된 단추형 전지로 인한 질식 위험 있는 어린이 손목시계 판매차단(1)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6 2021.07.28
855 전지함 고정이 미흡해 삽입된 단추형 전지로 인한 질식 위험 있는 어린이 손목시계 판매차단(2)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7 2021.07.28
854 전화금융사기 범죄피해 경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8 2022.05.27
853 전화금융사기 범죄피해 증가에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1 2022.04.26
852 전화금융사기, 요즘은 이렇게까지도 속인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1 2023.08.31
851 절단사고 위험이 있는 전기대패 판매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770 2017.04.07
850 절대로 신분증.신용카드 사진을 보내지 마세요.-질병관리청 사칭, 지원금 지급한다며 신분증.신용카드 사진 요구한 사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8 2022.02.21
849 절상을 입을 위험이 있는 주방용 칼 판매중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1219 2017.06.02
848 절연 미흡 등으로 전기 감전 위험이 있는 Vevor 트리머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5 2023.09.18
847 절연 미흡으로 감전 위험 있는 Out Well 전기아이스박스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3 2022.03.07
846 절연 미흡으로 인한 화재발생 위험 있는 스마트 전기오븐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7 2022.04.01
845 절연 미흡해 감전 위험 있는 LED 손전등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4 2024.03.21
844 절연 미흡해 감전 위험있는 Micro-mobility 전기 킥보드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7 2023.02.13
843 절연 조치 미흡으로 감전 우려 있는 DSHOW 고데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4 2023.09.07
842 절연장치가 미흡해 감전의 위험 있는 수족관 LED 조명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1 2021.02.08
841 절연체 열화로 전류 흐를 수 있는 Zojirushi 전기 조리팬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4 2023.01.17
Board Pagination Prev 1 ...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181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