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국토교통부(장관 유일호)는 ‘15년 9월부터 ’15년 11월까지(3개월간) 전국 입주예정 아파트를 공개하였다.

전국 입주예정 아파트는 총 70,539세대(‘15.9~‘15.11월, 조합 물량 제외)로 집계되었으며, 지역별로는 수도권 28,487세대(서울 4,769세대 포함), 지방 42,052세대가 각각 입주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지역별·월별 아파트 입주예정물량(세대) >

구 분

합계

’15.9

’15.10

’15.11

전 국

70,539

20,480

32,935

17,124

수도권

28,487

5,930

17,047

5,510

지 방

42,052

14,550

15,888

11,614

※ 공공사업자와 주택협회의 확인을 거쳐 집계한 것으로, 개별 사업장의 사정에 따라 입주시기·물량 등이 일부 변경될 수 있음

세부 입주물량을 보면, 수도권은 ‘15.9월 인천송도(999세대), 고양삼송(1,677세대) 등 5,930세대, ’15.10월 화성동탄2(2,730세대), 평택용이(2,210세대) 등 17,047세대, ‘15.11월 위례신도시(2,401세대), 성남여수(1,171세대) 등 5,510세대가 입주할 예정이며, 지방은 ‘15.9월 충남도청이전(2,127세대), 양산물금(1,310세대) 등 14,550세대, ’15.10월 세종시(2,095세대), 창원진해(2,132세대) 등 15,888세대, ‘15.11월 부산명륜(1,612세대), 광주전남혁신(874세대) 등 11,614세대가 입주할 예정으로 조사되었다.

주택 규모별로는 60㎡이하 18,409세대, 60~85㎡ 41,114세대, 85㎡초과 11,016세대로, 85㎡이하 중소형주택이 전체의 84.4%를 차지하여 중소형주택의 입주물량이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주체별로는 민간 56,649세대, 공공 13,890세대로 각각 조사되었다.
 

< 규모별·주체별 아파트 입주예정물량(세대) >

구 분

합 계

규모별

주체별

60㎡이하

6085

85㎡초과

공공

민간

전 국

70,539

18,409

41,114

11,016

13,890

56,649

수도권

28,487

6,376

13,722

8,389

6,093

22,394

지 방

42,052

12,033

27,392

2,627

7,797

34,255


< 주요 지역별 대규모 아파트 입주예정물량 >

구분

지역명(세대수)

‘15

9

공공

인천가정2(1,243세대), 시흥목감(625세대), 충남도청이전(2,127세대)

민간

인천송도(999세대), 고양삼송(1,677세대), 아산테크노(1,013세대),

강원혁신(920세대), 광주전남혁신(946세대), 양산물금(1,310세대)

‘15

10

공공

서울세곡2(547세대), 하남미사(1,784세대), 전북혁신(552세대)

민간

서울서대문(2,300세대), 화성동탄2(2,730세대), 평택용이(2,210세대),

남양주월산(2,934세대), 세종시(2,095세대), 경남혁신(1,421세대)

‘15

11

공공

성남여수(1,171세대), 광주전남혁신(874세대), 창원현동(838세대)

민간

위례신도시(2,401세대), 성남판교(931세대), 부산명륜(1,612세대),

포항원동(843세대), 김해진영(589세대)


아파트 입주단지에 대한 세부정보는 전월세 지원센터 홈페이지(jeonse.lh.or.kr)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국토교통부 2015-08-19]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160 이륜차 인도 주행, 반드시 근절한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7.07 23
1159 2023년 청소년종합실태조사 실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7.07 33
1158 국립공원 안전사고 예방, 샛길 출입 등 집중 단속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7.10 19
1157 대한민국 어디서나 살기 좋은 지방시대, 7월 10일 부터 시작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7.10 27
1156 빗길 사고 위험성 분석 결과… 장마철에 전체 빗길 교통사고 사망자의 33% 발생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7.11 25
1155 「국민연금법 시행령」 일부개정령안 국무회의 의결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7.11 19
1154 7월 가뭄 예‧경보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7.11 19
1153 2023년 6월 강원도 고용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7.12 25
1152 임대보증금 미반환 임대사업자 명단 온라인 공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7.12 20
1151 TV 수신료, 12일부터 전기요금과 분리 납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7.12 25
1150 한국소비자원, 해외여행 준비를 위한 안내서 제작 및 배포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7.12 19
1149 국가자격증, 전자지갑(Q-net)에 담아 쓴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7.13 40
1148 휴가철 다소비 축산물, 원산지 꼭 확인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7.13 33
1147 새마을금고, 중도해지한 예적금 재예치 혜택기한이 이틀 뒤 종료됩니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7.13 18
1146 휴가철에도 경찰의 음주단속은 계속된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7.14 36
Board Pagination Prev 1 ... 844 845 846 847 848 849 850 851 852 853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