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필리핀 등 동남아 여행 시 지카 감염 주의 당부

◇ 지카바이러스 감염증 확진자 28명 중 동남아 여행자 22(79%), 중남미 여행자 6(21%)

◇ 환자 발생이 감소하나 해외 일부 국가에서 여전히 위험성 존재

◇ 해외여행 계획 시 지카바이러스 감염증 발생국가 확인 및 예방수칙 준수 당부


□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2016년 2월부터 2017년 12월까지 국내 유입 지카바이러스 감염증 확진자 28명의 역학조사 자료 분석 결과*를 발표(붙임1 참조)하고, 해외여행 계획 시 지카바이러스 감염증 발생국가를 확인하고 예방수칙을 준수할 것을 당부하였다.

    * 질병관리본부 발간 「주간 건강과 질병」 제11권 제8호(2월 22일 발행) 게재
   ** 2016년 1월 29일 지카바이러스 감염증을 법정감염병으로 지정


 □ 2016년 2월부터 2017년 12월까지 국내 유입 지카바이러스 감염증 확진자 28명 중 22명(79%)이 동남아 여행자(필리핀 9명, 베트남 6명, 태국 5명, 몰디브 2명)였고, 나머지 6명(21%)이 중남미 여행자(브라질, 도미니카(공), 과테말라, 푸에르토리코, 볼리비아, 쿠바 각 1명)였다.

 ○ 남자 19명(68%), 여자 9명(32%)이고 임신부는 없었으며, 연령대는 20대 8명, 30대 11명, 40대 4명, 50대 4명, 60대 1명으로 30대에서 감염자가 가장 많았다.

 ○ 주요 임상증상은 발진 27명(100%), 근육통 19명(70%), 발열 15명(56%), 관절통 10명(37%), 결막충혈 8명(30%)이라고 밝혔다.

    * 무증상자 1명을 제외한 유증상자 27명의 주요 임상증상이며, 지카바이러스 감염증 확진자 28명은 현재 모두 양호한 상태임

□ 질병관리본부는 최근 지카바이러스 감염증 외국 발생 동향을 분석한 결과를 다음과 같이 밝혔다.

 ○ 동남아시아 지역 환자 발생이 산발적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건기(1~6월)에 접어들면서 지카바이러스 감염증 환자가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해당 지역에서 산발적 감염사례가 유입될 가능성이 존재한다고 하였다.

 ○ ’17년 8월 이후 중남미 지역의 환자발생은 감소하고 있는 상황이다.

 ○ 모기에 의한 감염 외에도 성접촉, 수혈, 모자간 수직감염, 실험실 등을 통해서도 감염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환자 발생지역을 중심으로 소두증 및 길랭-바레증후군이 지속적으로 보고되고 있다고 밝혔다.


□  질병관리본부는 해외여행을 계획하고 있는 경우 여행 전 질병관리본부 홈페이지(http://cdc.go.kr) 및 모바일 홈페이지(http://m.cdc.go.kr)를 통해 지카바이러스 감염증 발생국가 현황을 확인할 것을 당부하였다.

 ○ 또한, 지카바이러스 감염증 발생국 여행객은 현지에서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하고, 여행 후에도 남녀 모두 6개월간 임신을 연기하며, 금욕하거나 콘돔을 사용하는 등 예방수칙 준수할 것을 당부하였다.

    * 산부인과 방문 전에 지카바이러스 검사가 가능한지 사전 확인 필요

 

<지카바이러스 감염증 발생국가 여행 시 주의사항>

구 분

행동수칙

여행 전

발생국가 확인 및 준비물 확인

환자 발생국가 확인(질병관리본부(http://cdc.go.kr))

모기 예방법 숙지 

모기기피제밝은 색 긴 옷 준비

여행 중

모기 물림 예방

방충망 또는 모기장 있는 숙소에서 생활

외출 시 긴 옷 착용과 모기기피제 사용

여행 후

의심증상 발생 시

2주 이내 의심증상이 발생하면 의료기관을 방문하고 해외여행력을 의사에게 알림

-의심증상발진결막염관절통근육통발열두통 

수혈전파 예방

1개월간 헌혈 금지

성접촉에 의한 
전파 예방

(남녀 모두6개월간 임신을 연기하고금욕하거나 콘돔 사용

 


[ 보건복지부 2018-02-22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433 식품으로 오인할 수 있는 Garnier 샴푸 및 컨디셔너(바나나)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7 2021.03.17
2432 식품위생법 위반한 벚꽃 소금절임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 2024.05.13
2431 식품용 살균제, 인체에 사용하지 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9 2020.09.16
2430 식품에 소비자 안전을 위한 주의사항 표시 강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29 2017.09.29
2429 식품에 사용이 금지된 원료가 함유된 수입 건강기능식품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3 2023.05.12
2428 식품소분업 영업신고 없이 판매된 벌꿀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3 2021.07.26
2427 식품·장난감 모양의 제품으로 인한 어린이 안전사고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2 2018.12.27
2426 식품.의약품.의료기기 등 온라인 중고거래 주의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5 2021.02.03
2425 식품 중 '신종 패류독소' 오염수준 안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8 2022.02.23
2424 식품 중 '스테리그마토시스틴' 오염수준 안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8 2021.04.02
2423 식품 원료로 사용 불가한 성분이 함유된 구매대행 식품(GI Relief)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 2024.05.07
2422 식품 원료 오(誤) 표기된 견과류 가공품 판매 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1 2022.09.26
2421 식품 안전섭취가이드 대국민 서비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5 2018.10.31
2420 식품 사용 안 되는 복어알을 첨가한 식품 제조.판매, 복어환.추출액에 항암효과 허위 광고 등 4개 업체 적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2 2021.07.01
2419 식품 모방 화장품 섭취.삼킴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2 2021.06.04
2418 식품 등에 '불면증 치료.완화 등' 불법 광고행위 적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6 2021.01.19
2417 식중독의 계절, 안전하고 건강하게 여름나기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9 2019.06.05
2416 식중독균 기준 초과 검출 된“즉석섭취식품”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6 2017.10.25
2415 식중독균 검출 수입 성장기용조제식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4 2018.12.10
2414 식중독균 검출 ‘과자’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 2024.01.04
Board Pagination Prev 1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 217 Next
/ 21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