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필리핀 등 동남아 여행 시 지카 감염 주의 당부

◇ 지카바이러스 감염증 확진자 28명 중 동남아 여행자 22(79%), 중남미 여행자 6(21%)

◇ 환자 발생이 감소하나 해외 일부 국가에서 여전히 위험성 존재

◇ 해외여행 계획 시 지카바이러스 감염증 발생국가 확인 및 예방수칙 준수 당부


□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2016년 2월부터 2017년 12월까지 국내 유입 지카바이러스 감염증 확진자 28명의 역학조사 자료 분석 결과*를 발표(붙임1 참조)하고, 해외여행 계획 시 지카바이러스 감염증 발생국가를 확인하고 예방수칙을 준수할 것을 당부하였다.

    * 질병관리본부 발간 「주간 건강과 질병」 제11권 제8호(2월 22일 발행) 게재
   ** 2016년 1월 29일 지카바이러스 감염증을 법정감염병으로 지정


 □ 2016년 2월부터 2017년 12월까지 국내 유입 지카바이러스 감염증 확진자 28명 중 22명(79%)이 동남아 여행자(필리핀 9명, 베트남 6명, 태국 5명, 몰디브 2명)였고, 나머지 6명(21%)이 중남미 여행자(브라질, 도미니카(공), 과테말라, 푸에르토리코, 볼리비아, 쿠바 각 1명)였다.

 ○ 남자 19명(68%), 여자 9명(32%)이고 임신부는 없었으며, 연령대는 20대 8명, 30대 11명, 40대 4명, 50대 4명, 60대 1명으로 30대에서 감염자가 가장 많았다.

 ○ 주요 임상증상은 발진 27명(100%), 근육통 19명(70%), 발열 15명(56%), 관절통 10명(37%), 결막충혈 8명(30%)이라고 밝혔다.

    * 무증상자 1명을 제외한 유증상자 27명의 주요 임상증상이며, 지카바이러스 감염증 확진자 28명은 현재 모두 양호한 상태임

□ 질병관리본부는 최근 지카바이러스 감염증 외국 발생 동향을 분석한 결과를 다음과 같이 밝혔다.

 ○ 동남아시아 지역 환자 발생이 산발적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건기(1~6월)에 접어들면서 지카바이러스 감염증 환자가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해당 지역에서 산발적 감염사례가 유입될 가능성이 존재한다고 하였다.

 ○ ’17년 8월 이후 중남미 지역의 환자발생은 감소하고 있는 상황이다.

 ○ 모기에 의한 감염 외에도 성접촉, 수혈, 모자간 수직감염, 실험실 등을 통해서도 감염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환자 발생지역을 중심으로 소두증 및 길랭-바레증후군이 지속적으로 보고되고 있다고 밝혔다.


□  질병관리본부는 해외여행을 계획하고 있는 경우 여행 전 질병관리본부 홈페이지(http://cdc.go.kr) 및 모바일 홈페이지(http://m.cdc.go.kr)를 통해 지카바이러스 감염증 발생국가 현황을 확인할 것을 당부하였다.

 ○ 또한, 지카바이러스 감염증 발생국 여행객은 현지에서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하고, 여행 후에도 남녀 모두 6개월간 임신을 연기하며, 금욕하거나 콘돔을 사용하는 등 예방수칙 준수할 것을 당부하였다.

    * 산부인과 방문 전에 지카바이러스 검사가 가능한지 사전 확인 필요

 

<지카바이러스 감염증 발생국가 여행 시 주의사항>

구 분

행동수칙

여행 전

발생국가 확인 및 준비물 확인

환자 발생국가 확인(질병관리본부(http://cdc.go.kr))

모기 예방법 숙지 

모기기피제밝은 색 긴 옷 준비

여행 중

모기 물림 예방

방충망 또는 모기장 있는 숙소에서 생활

외출 시 긴 옷 착용과 모기기피제 사용

여행 후

의심증상 발생 시

2주 이내 의심증상이 발생하면 의료기관을 방문하고 해외여행력을 의사에게 알림

-의심증상발진결막염관절통근육통발열두통 

수혈전파 예방

1개월간 헌혈 금지

성접촉에 의한 
전파 예방

(남녀 모두6개월간 임신을 연기하고금욕하거나 콘돔 사용

 


[ 보건복지부 2018-02-22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211 눈썰매 탈 때 보호장비 착용으로 안전사고 예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8 2018.01.18
2210 Oil&Carol 치발기(Dalmatian Teether), 크기가 작아 질식 위험 있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8 2018.03.21
2209 Elodie Details 노리개젖꼭지 클립 5종, 작은 부품이 떨어져 질식 위험 있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8 2018.03.21
2208 MARBERT 기초화장품(24h Aqua Booster 03 Medium), 피부염 위험으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8 2018.03.21
2207 물기와 습기 많은 여름 감전사고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8 2018.06.22
2206 어린이 매트 일부제품, 휘발성 유기화합물 방출량 안전기준 초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8 2018.07.09
2205 어린이 보호포장 미흡한 Medique 알레르기약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8 2020.11.23
2204 유해성분이 검출 된 Connectland 헤드폰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8 2021.04.12
2203 알레르기 유발 성분(우유) 미표기된 Eat Real 과자 판매차단(3)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8 2021.07.28
2202 벤젠 검출된 Old Spice 데오드란트(2)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8 2022.02.09
2201 알레르기 유발 성분[달걀] 미표기된 YBC 과자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8 2022.02.10
2200 복어, 안전하게 드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8 2022.03.29
2199 감비아·세네갈 등 아프리카 위험지역 방문 시 리프트밸리열 감염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9 2018.01.26
2198 만성콩팥병 환자 중 건강한 비만 환자도 콩팥기능 악화될 위험 높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9 2018.03.29
2197 승강기 사고 발생 시 이렇게 대응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9 2018.07.03
2196 2019년 유사수신 신고,상담 현황 및 소비자 유의사항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9 2020.08.04
2195 날씨가 추워지면 노로바이러스 식중독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9 2020.11.13
2194 항생제는 감기약이 아닙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9 2020.11.17
2193 전기난로(장판) 화재는 부주의가 가장 큰 원인!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9 2020.11.20
2192 사은품과 연계된 K-POP 기획상품 국제거래 소비자피해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9 2021.12.10
Board Pagination Prev 1 ...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