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설날 연휴 기간(2월 15일~18일) 미세먼지(PM2.5) 농도, 야외활동에 무리 없는 '보통' 수준으로 전망

▷ 연휴 전날(14일) 고농도 발생 후 연휴 기간 대체로 '보통' 수준을 나타내며 17일 일시적으로 농도가 높아질 가능성 있음


환경부 소속 국립환경과학원은 설 연휴 기간(2월 15일~18일) 전국의 미세먼지(PM2.5) 농도는 야외 활동에 무리가 없는 '보통' 수준일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 PM2.5 : 대기 중 부유하는 먼지의 지름이 2.5μm 이하인 먼지
* 좋음(0~15㎍/㎥), 보통(16~50㎍/㎥), 나쁨(51~100㎍/㎥), 매우나쁨(101㎍/㎥~)

다만, 연휴 전날(14일) 대기정체 후 서풍계열 바람을 타고 국외 미세먼지가 일부 유입될 가능성이 있으며, 일부 남부지역은 15일 오전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연휴 이튿날(16일)부터는 대기흐름이 대부분 원활하나, 17일 일시적으로 농도가 다소 높아질 가능성이 있다.

수도권의 경우, 연휴 기간 동안 대체로 '보통' 수준을 나타낼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국내외 미세먼지 영향으로 17일 오전 전후 일시적으로 농도가 높아질 가능성이 있다.

국립환경과학원은 동계올림픽이 열리는 평창과 강릉 지역 역시 연휴기간 동안 고농도 미세먼지가 발생할 가능성이 낮을 것으로 내다봤다.

다만, 강원영서 지역은 태백산맥 등의 지형적 영향으로 일시적으로 고농도 미세먼지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국립환경과학원은 기존 수도권에만 적용하던 3km 격자 간격의 고해상도 예보를 2월 1일부터 강원 지역에도 적용하고, 미세먼지 이동측정차량을 경기장에 배치하는 등 평창 동계 올림픽에 대비하여 대기질 감시체계를 강화한 바 있다.

이 밖에 충청, 전라, 경상, 제주 등 다른 지역 역시 설 연휴 기간 동안 고농도 미세먼지 발생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   

※ 다만, 전라·경상 일부 지역에서 15일 오전까지 일시적 고농도 발생 가능성이 있음

국립환경과학원은 기상청의 중기(10일) 예보, 국내외 대기질 모델, 최근 3년간(2015~2017) 대기오염물질 농도 정보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이번 설 연휴 기간 미세먼지 농도를 예상했다.

한편, 올해 설 연휴 기간을 포함한 10일(2월 12~21일)에 대하여 최근 3년간 미세먼지(PM2.5)가 일평균 '나쁨' 수준 이상 발생된 사례는 2015년 3회, 2016년 1회, 2017년 3회인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은 발생 사례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1일 1권역 이상 PM2.5 '나쁨' 이상 발생 일수>
1일 1권역 이상 PM2.5 '나쁨' 이상 발생 일수

지역

미세먼지

2015년

2016년

2017년

전국

PM2.5

3

1

3

서울

PM2.5

0

0

0


장임석 국립환경과학원 대기질통합예보센터장은 "우리나라 주변지역 미세먼지 농도와 기상조건은 변동성이 있어 연휴 기간 실제 미세먼지 농도는 이번 전망과 다소 차이가 있을 수도 있다"라며,

"하루에 4번 발표하는 미세먼지 최신 예보를 참고할 필요가 있다"라고 말했다.

미세먼지 예보는 환경부 에어코리아(http://www.airkorea.or.kr)에서 하루 4번(05·11·17·23시) 3일치(오늘·내일·모레)가 제공된다.



[ 환경부 2018-02-13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315 종신보험은 상담과정에서부터 충분한 설명을 요청하여 듣고, 이해한 후 가입여부를 결정하세요 - 종신보험 미스터리쇼핑 결과 매우 저조한 것으로 나타나 -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2.27 28
5314 화재 발생 시, 농인과 함께 있을 때는 이렇게 대피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1.09 28
5313 실시간 소득파악(RTI) 모바일 서비스 전면 확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10.19 28
5312 국민연금에 대한 국민의 의견을 듣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9.28 28
5311 국민권익위, 민원 빅데이터 속 국민 불편사항 발굴, 실제 정책으로 연결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6.29 28
5310 정신건강 위험군, 동네의원을 통해 정신건강 서비스연계 받는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3.28 28
5309 국민권익위, “토지 분할됐다면 건축물대장 지번은 행정청 직권으로 변경해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3.28 28
5308 교통사고 잦은 곳 개선하니 사망자 72.1%, 교통사고 31.5% 줄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2.21 28
5307 주민이 직접 조례 제·개정 청구, 온라인으로 가능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2.08 28
5306 보건복지부-시민사회단체, 의료분쟁조정 자동 개시 대상 의료사고 확대 등 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1.07 28
5305 국민권익위, ‘부패·공익신고→보호보상→환수·제재’ 단계별 기능강화로 부패?공익침해 행위 엄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1.07 28
5304 최근 2년간 수입 캔맥주 가격 6.2% 하락, 국산 캔맥주는 제자리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9.03 28
5303 2021년 8월 소비자물가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9.02 28
5302 알뜰교통카드로 올해 상반기 대중교통비 23.6% 아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9.02 28
5301 국민권익위, “중고거래 플랫폼 성장...최근 3년간 발생 민원 14,000여 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9.09 28
Board Pagination Prev 1 ... 567 568 569 570 571 572 573 574 575 576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