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설날 연휴 기간(2월 15일~18일) 미세먼지(PM2.5) 농도, 야외활동에 무리 없는 '보통' 수준으로 전망

▷ 연휴 전날(14일) 고농도 발생 후 연휴 기간 대체로 '보통' 수준을 나타내며 17일 일시적으로 농도가 높아질 가능성 있음


환경부 소속 국립환경과학원은 설 연휴 기간(2월 15일~18일) 전국의 미세먼지(PM2.5) 농도는 야외 활동에 무리가 없는 '보통' 수준일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 PM2.5 : 대기 중 부유하는 먼지의 지름이 2.5μm 이하인 먼지
* 좋음(0~15㎍/㎥), 보통(16~50㎍/㎥), 나쁨(51~100㎍/㎥), 매우나쁨(101㎍/㎥~)

다만, 연휴 전날(14일) 대기정체 후 서풍계열 바람을 타고 국외 미세먼지가 일부 유입될 가능성이 있으며, 일부 남부지역은 15일 오전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연휴 이튿날(16일)부터는 대기흐름이 대부분 원활하나, 17일 일시적으로 농도가 다소 높아질 가능성이 있다.

수도권의 경우, 연휴 기간 동안 대체로 '보통' 수준을 나타낼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국내외 미세먼지 영향으로 17일 오전 전후 일시적으로 농도가 높아질 가능성이 있다.

국립환경과학원은 동계올림픽이 열리는 평창과 강릉 지역 역시 연휴기간 동안 고농도 미세먼지가 발생할 가능성이 낮을 것으로 내다봤다.

다만, 강원영서 지역은 태백산맥 등의 지형적 영향으로 일시적으로 고농도 미세먼지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국립환경과학원은 기존 수도권에만 적용하던 3km 격자 간격의 고해상도 예보를 2월 1일부터 강원 지역에도 적용하고, 미세먼지 이동측정차량을 경기장에 배치하는 등 평창 동계 올림픽에 대비하여 대기질 감시체계를 강화한 바 있다.

이 밖에 충청, 전라, 경상, 제주 등 다른 지역 역시 설 연휴 기간 동안 고농도 미세먼지 발생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   

※ 다만, 전라·경상 일부 지역에서 15일 오전까지 일시적 고농도 발생 가능성이 있음

국립환경과학원은 기상청의 중기(10일) 예보, 국내외 대기질 모델, 최근 3년간(2015~2017) 대기오염물질 농도 정보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이번 설 연휴 기간 미세먼지 농도를 예상했다.

한편, 올해 설 연휴 기간을 포함한 10일(2월 12~21일)에 대하여 최근 3년간 미세먼지(PM2.5)가 일평균 '나쁨' 수준 이상 발생된 사례는 2015년 3회, 2016년 1회, 2017년 3회인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은 발생 사례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1일 1권역 이상 PM2.5 '나쁨' 이상 발생 일수>
1일 1권역 이상 PM2.5 '나쁨' 이상 발생 일수

지역

미세먼지

2015년

2016년

2017년

전국

PM2.5

3

1

3

서울

PM2.5

0

0

0


장임석 국립환경과학원 대기질통합예보센터장은 "우리나라 주변지역 미세먼지 농도와 기상조건은 변동성이 있어 연휴 기간 실제 미세먼지 농도는 이번 전망과 다소 차이가 있을 수도 있다"라며,

"하루에 4번 발표하는 미세먼지 최신 예보를 참고할 필요가 있다"라고 말했다.

미세먼지 예보는 환경부 에어코리아(http://www.airkorea.or.kr)에서 하루 4번(05·11·17·23시) 3일치(오늘·내일·모레)가 제공된다.



[ 환경부 2018-02-13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315 농산물 안전성 조사결과 세부 정보 실시간 공개!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4.01 104
8314 농산물 잔류농약 엄격하게 관리하겠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2.22 33
8313 농산물 품질 구분이 쉬워진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12 86
8312 농산물에 남아있는 농약이 걱정되세요? 농약 PLS가 걱정을 덜어드립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3.30 53
8311 농산물의 생산자를 위한 직접지불제도 시행규정 개정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31 103
8310 농산물의 생산자를 위한 직접지불제도 시행규칙 개정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4.07 74
8309 농수산물 원산지표시 위반 재범자 처벌 대폭 강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2.02 58
8308 농수산물 원산지표시 위반 재범자 처벌 대폭 강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6.02 46
8307 농수산물 지역명 표시제도 간소화된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1.14 83
8306 농수산식품 원산지표시 확대로 국민 알권리 강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2.03 97
8305 농식품 공공데이터 이렇게 활용 할 수 있어요!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09 88
8304 농식품 원산지표시 상습위반자 최고 5배 과징금 부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2.19 30
8303 농식품부, 1.6일부터 '설 성수품 수급안정대책반' 운영!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1.06 70
8302 농식품부, 2015 식품산업 원료소비 실태조사 결과 발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5.24 97
8301 농식품부, 계란 수급 안정화 방안 발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1.09 68
Board Pagination Prev 1 ... 367 368 369 370 371 372 373 374 375 376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