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17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2017년 설 연휴동안 외래 환자 수 64만 명...평소보다 장염환자 많이 발생 -

□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김승택, 이하 ‘심사평가원’)은 민족 대 명절 설을 맞이하여 건강보험 적용대상자의 설 연휴 병원 이용현황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 2017년 설 연휴*(1.27.~1.29.) 3일 동안 병원 외래를 방문한 환자 수는 총 64만 명으로, 2012~16년 평일 평균 외래 환자 수(284만 명)의 22.5%가 설 연휴기간 동안 병원을 찾은 것으로 나타났다. <붙임 1 참조>
    * 설 연휴 기간: 설 당일과 전·후일 포함 3일로 정의, 대체휴일 및 연휴와 연결된 주말은 제외

○ 연휴 기간 일별 환자수는 설 전날이 34만 5452명으로 가장 많았고 설 다음날이 18만 1051명, 설 당일이 11만 2688명 순이었다.
  
○ 진료과별로 살펴보면, 소아청소년과가 14만 7289명으로 가장 많았고 응급의학과 11만 3738명, 내과 8만 8998명 순이었다.

○ 최근 5년간 평일 평균 외래 환자수와 2017년 설 연휴 외래 환자수를 연령대별 점유율로 비교해보면, 30대 중반 이하의 젊은 사람은 평소보다 연휴에 더 많이 병원을 찾은 반면 중·장년층은 평일보다 연휴에 병원을 찾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 특히, 2017년 설 연휴 기간 9세 이하 소아 외래 환자의 점유율이 30.2%로 연간 평균 점유율 12.8%에 비해 2.4배 더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  연령대별 병원 방문 점유율 >

(단위 : %)

 

□ 2017년 설 연휴기간 동안에 병원을 찾은 주요 질병*을 살펴보면, ‘장염’ > ‘표재성 손상(열린상처)’ > ‘연조직염(피부내 염증)’ > ‘두드러기’ 등이 연휴임에도 불구하고 평소보다 더 많은 비율로 병원을 찾은 것으로 나타났다.

 


< 평소 대비 2017년 설 연휴기간 주요 발생 질병>

(단위)

순위

질 병

환자 수

1

장 염

40,030 

18,794 

21,236 

2

표재성 손상(열린상처)

14,407 

7,471 

6,936 

3

연조직염(피부내 염증)

11,772 

5,658 

6,114 

4

두드러기

9,426 

4,574 

4,852 

5

방광염

5,268 

481 

4,787 

6

4,559 

2,226 

2,333 

7

화 상

4,386 

1,844 

2,542 

8

대상포진

2,612 

1,040 

1,572 

9

통 풍

1,930 

1,883 

47 

10

편두통

1,033 

279 

754 

 

   * 2016년 연간 전체 외래 환자 수 대비 연휴기간의 환자 수 점유율은 0.09%이며, 상병별 연휴기간 점유율이 0.09% 보다 큰 질병을 선정 함. 단, 인플루엔자처럼 계절적 영향 등으로 연휴와 상관없이 많이 발생하는 상병은 제외 함

○ ‘장염’은 설 연휴에 가장 많이 발생한 질병으로 총 4만 30명이 병원을 찾았다. 이 중 19세 이하 소아청소년이 1만 7352명(43.4%)으로 다수를 차지하였다.

  - 명절에 음식을 한꺼번에 만들어 두고 보관이 불량한 상태에서 재가열하여 먹는 경우 장염이 발생할 수 있다. 음식이 상하지 않도록 조리와 보관에 신경을 쓰고 손씻기 등 개인위생에 주의해야 한다.

○ ‘두드러기’는 연휴기간 총 9,426명이 병원을 찾았으며, 그 중 9세 이하 어린이가 2,493명(26.4%)으로 두드러기 환자 4명 중 1명이 소아인 것으로 나타났다. <붙임2 참조>

  - 두드러기는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지만, 음식에 의한 알레르기가 많은 만큼 명절에 여러 음식을 먹고 두드러기가 생겨 평소보다 많이 병원을 방문하는 것으로 보인다.

○ ‘방광염’ 환자 수는 총 5,268명이며 여자가 4,787명, 남자 481명으로 여자가 남자에 비해 훨씬 많다. 특히, 30~40대 여자 방광염 환자의 점유율은 평소보다 1.2배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붙임3 참조>

  - 이는 주부들이 명절 준비를 위한 정신적 스트레스와 함께 노동강도가 높아져 면역력이 떨어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또한, 장거리 이동 시 오랜 시간 같은 자세로 앉아있는 것도 원인이 될 수 있다.

  - 방광염 예방을 위해서는 충분한 휴식이 필요하며, 물을 많이 마시고 채소와 과일을 섭취하는 것이 좋다. 장거리 이동시에는 휴게소에 자주 들러 화장실을 이용하고 스트레칭을 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 ‘화상’은 평소에도 어린이에게 많이 발생하는데 설 연휴 기간 9세 이하 어린이의 점유율은 28.0%로 평소의 19.8% 대비 1.4배 이상 더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붙임4 참조>

  - 어린이의 경우 뜨거운 물을 엎거나 넘어지는 등 부주의한 행동으로 화상을 입게 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가족들이 분주한 가운데 사고가 일어날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 한편, ‘내 주변 휴일에 문을 여는 병원’*이 어디인지 미리 파악한 뒤 심사평가원 홈페이지의「병원·약국 찾기」메뉴에서 해당 병원의 진료 분야, 보유 의료장비 등 병원정보를 알아두면 응급상황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붙임5 참조>
    * 응급의료포털(www.e-gen.or.kr) 또는 응급의료정보제공(앱)에서도 휴일 진료병원 확인 가능

 

 

※ 작성기준
 ○ 건강보험 진료일 기준
○ 해당 질병을 주상병으로 청구한 명세서를 기준으로 자료 작성(약국조제 및 한방상병 제외)
상병기호: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2010), 통계청
○ 2016년 전체 외래 환자 수 대비 연휴기간의 환자 수 점유율(0.09%)을 산출하여 상병별로 점유율이 0.09%보다 큰 질병을 선정 함. 단, 인플루엔자처럼 계절적 영향 등으로 연휴와 상관없이 많이 발생하는 상병은 제외 함
○ 환자 수는 외래 내원일수로 정의하였으며 중복이 제거되지 않은 단순 합계 값임

 


[ 보건복지부 2018-02-13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749 감염병 예방수칙 준수하여 즐거운 추석명절 보내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2 2019.09.06
748 감염병 예방수칙 준수로 건강한 한가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2 2017.09.27
747 감염병 예방수칙 준수로 건강한 여름휴가 보내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6 2019.07.18
746 감염병 예방수칙 준수로 건강한 여름나기!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3 2020.07.23
745 감비아·세네갈 등 아프리카 위험지역 방문 시 리프트밸리열 감염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2 2018.01.26
744 갈라짐 발생으로 중상 입을 위험있는 Whisky 자전거 핸들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2 2023.02.14
743 갈라짐 발생으로 중상 입을 위험있는 Salsa 자전거 핸들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0 2023.02.14
742 간헐적으로 비상등 스위치가 작동되지 않는 넥쏘 차량 무상수리 보증기간 연장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7 2024.05.13
741 각질제거제의 사용법 및 주의사항 준수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1 2020.06.26
740 가향담배, 국내에서도 흡연 유인 효과 확인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0 2017.09.04
739 가품판매 쇼핑몰 라운딩샵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9 2024.03.13
738 가짜 서울중앙지검 홈페이지를 이용한 검사 사칭 보이스피싱 시도! - 소비자경보 “주의”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3 2018.07.10
737 가짜 대출! 개인과 사회를 망치는 ?내구제 대출?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8 2022.10.14
736 가짜 금융회사 앱(App)을 설치하지 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6 2017.12.11
735 가족을 납치했다는 사기 전화에 침착하게 대응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3 2017.12.12
734 가족, 지인 사칭 「메신저피싱」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0 2022.05.13
733 가족 지인 등을 사칭한 메신저피싱 등 소비자경보 주의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3 2022.10.06
732 가정의달 5월에는 어떤 재난안전 사고를 주의해야 할까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1 2018.04.26
731 가정의 달 맞아 축산물 생산업체 66곳 점검, 16곳 적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5 2019.05.16
730 가정용 화목보일러, 주변 가연물로 인한 화재 주의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5 2023.01.26
Board Pagination Prev 1 ... 178 179 180 181 182 183 184 185 186 187 ... 220 Next
/ 2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