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17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질병관리본부, 전국 보건기관 비상방역 근무 체계 운영
◇ 노로바이러스감염증, 인플루엔자 유행 상황에 따른 개인위생 수칙 준수 당부
◇ 해외여행 후 입국 시 건강상태질문서 제출, 입국 후 발열 등 증상발생 시 ☎1339 신고

 

□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평창동계올림픽(’18.2.9~2.25) 및 설 연휴(’18.2.15~2.18)를 대비해 전국 보건기관과 24시간 비상방역 근무체계를 운영하며, 긴급상황실(EOC)을 통한 상황파악 및 신속 대응을 실시한다.

 ○ 이에 따라 설 연휴 기간 각종 감염병 발생 및 해외 감염병 국내 유입 방지를 위한 감염병 발생감시와 대응에 철저를 기하겠다고 밝혔다.
 
 ○ 질병관리본부는 설 연휴에 발생이 우려되는 감염병에 대비하여 ‘설 연휴 감염병 예방수칙(붙임1)’을 발표하였으며, 우리 국민은 반드시 준수할 것을 당부하였다.

   - 또한, 인천공항을 비롯한 전국 공항·만 국립검역소에서는 연휴 기간 해외여행객 증가를 대비하여 조류인플루엔자(AI) 인체감염증, 메르스 등 해외감염병 예방·주의를 당부하는 홍보 캠페인을 실시(’18.2.13~2.14)한다.

□ 설 연휴 기간에는 수인성‧식품매개감염병*, 인플루엔자, 해외여행에 따른 세균성이질, AI 인체감염증, 지카바이러스 감염증, 뎅기열, 황열 등 모기매개 감염병 등의 감염병이 우려되고 있다.
    * 장티푸스, 세균성이질, 장출혈성대장균감염증, A형간염, 노로바이러스감염증 등

 ○ 명절에 친지간 음식 공동섭취 및 식품 관리 소홀 등으로 수인성·식품매개질환 집단발생이 가능하고 특히, 겨울철에 많이 발생하는 장관감염증(腸管感染症)*으로 노로바이러스감염증**을 주의해야 한다.
    * 세균·바이러스·원충에 감염되어 주로 소화기계 증상(설사, 구토, 복통 등)이 나타나는 질환
    ** 매년 11월부터 다음해 4월까지 연간 발생의 약 80∼90%가 발생

   - 장관감염증을 예방하기 위해, 올바른 손씻기, 익혀먹기, 위생적인 조리과정 준수 등 ‘수인성‧식품매개질환 예방수칙’을 지키고,

   - 음식물 섭취 후 24∼48시간 후 구토, 설사 등이 발생한 경우에 병원에서 진료를 받도록 하고, 오염된 물품, 화장실 등에 염소소독(붙임2)을 한 후 사용하도록 한다.

 ○ 인플루엔자는 의사환자 분율*이 ’18년 1주 이후 5주 연속 감소하고 있으나, 아직 유행상황이므로 지속적인 주의가 필요하다.
    * 인플루엔자 의사환자: 38℃ 이상의 갑작스러운 발열과 더불어 기침 또는 인후통을 보이는 자
    * 인플루엔자 의사환자 분율 = 인플루엔자 의사환자수 / 총 진료환자수 × 1,000
      ☞ 최근 인플루엔자의사환자 분율: 2018년 1주(’17.12.31∼’18.1.6) 72.1명, 2주(1.7.∼13) 69.0명, 3주(1.14∼20) 59.6명, 4주(1.21∼27) 43.6명, 5주(1.28∼2.3) 35.3명

   - 인플루엔자 예방접종, 감염병 예방 및 확산방지의 기본 원칙인 30초 이상 손씻기, 기침예절 지키기, 인플루엔자 의심증상이 있는 경우 가까운 의료기관에서 초기에 진료를 받을 것을 당부하였다.

 ○ 해외유입 감염병*은 매년 400건 내외로 보고되고 있어 해외여행 전, 질병관리본부 홈페이지(cdc.go.kr→해외질병)를 통해 여행 목적지의 감염병 정보를 확인하고 ‘해외여행 감염병 예방수칙’을 지켜야 한다.
    * ’17년도에는 뎅기열(39%), 말라리아(17%), 세균성이질(10%), 장티푸스(4%), A형간염(4%) 등 대부분 모기매개 감염병 및 수인성 감염병이 신고되었으며, 주요 유입 지역은 아시아 지역(76%)과 아프리카 지역(17%)임

   - 특히, 중국에서는 올겨울에도 AI 인체감염증 환자 발생이 보고되고 있어 중국 여행 시 조류농장과 생가금류 시장 방문을 자제하고 조류와의 직접적인 접촉을 피하는 등 ‘AI 인체감염 예방수칙’을 지켜야 한다.

   - 아울러, 최근 필리핀 등 동남아 지역에서 세균성이질 유입 환자가 지속 발생함에 따라 해당 지역 방문 시 흐르는 물에 30초 이상 비누로 올바른 손씻기, 안전한 음식 섭취, 길거리 음식 먹지 않기, 포장된 물과 음료수 마시기, 과일‧채소는 먹기 전 깨끗한 물에 씻어 껍질 벗겨 먹기와 같은 ‘수인성·식품매개감염병 예방수칙’을 준수하도록 당부하였다.

   - 또한, 동남아 지역에서 뎅기열 및 지카바이러스 감염증* 발생이 지속되고 있으므로 임신부는 해당 국가로의 여행 연기를 권고하며, 일반 여행객은 여행 중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모기매개 감염병 예방행동 수칙’을 지켜야 한다.
    * 최근 지카바이러스 감염증 발생국가 및 예방수칙 관련 정보는 질병관리본부 홈페이지(cdc.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 특히, 지카바이러스 감염증 발생국 여행자는 여행 후에도 남녀 모두 6개월간 임신을 연기하고, 금욕하거나 콘돔을 사용하도록 한다.


 ○ 감염병 오염지역(붙임6)을 방문한 경우 입국할 때 건강상태 질문서를 성실하게 작성하여 검역관에게 제출하도록 하고 귀가 후 발열 및 호흡기 증상 발현 시 질병관리본부 콜센터 ☎1339로 연락할 것을 당부하였다.
   * 미제출 시 「검역법」 제41조 규정에 따른 1천만원 이하의 과태료 부과



[ 보건복지부 2018-02-13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169 스페인 카탈루냐주 여행경보, 1단계(여행유의)로 하향 조정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7 2019.11.19
2168 말라리아 발생지역 거주 또는 여행 시 감염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7 2020.04.24
2167 미생물에 오염되어 감염 위험 있는 Dabur 치약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7 2021.05.13
2166 식중독 위험이 있는 RANDALL 콩 통조림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7 2021.07.12
2165 가을철 야외활동, 말벌 쏘임 등 독성생물 조심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7 2021.09.15
2164 허용치 초과 2-클로로에탄올이 검출된 WELLMIX 건강식품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7 2021.11.04
2163 갑작스러운 추위에 한랭질환 주의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7 2022.02.16
2162 식약처, 황사.미세먼지 대비‘보건용마스크’ 정보 제공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8 2018.03.16
2161 HESS 유모차용 모빌(Wagenkette Waldtiere), 발암 위험으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8 2018.07.19
2160 TP-Link 네트워크 어댑터 감전 위험이 있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8 2018.09.07
2159 수족구병 환자 발생 증가, 올바른 손씻기 생활화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8 2019.04.18
2158 충전재가 노출되어 영유아 질식 위험 있는 수박모양 봉제인형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8 2020.04.14
2157 가전제품 쇼핑몰 [감성] [sensitiviity]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8 2020.08.04
2156 일부 자외선 살균제품, 살균파장 방출되지 않거나 오존 발생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8 2020.12.23
2155 국내 유통 수산물의 동물용의약품 잔류수준 안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8 2021.04.01
2154 안전성 검증되지 않은 마스크 패치, 사용하지 말아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8 2021.06.08
2153 2030 대상 취업 미끼 비대면 대출 사기,“소비자경보”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8 2021.07.29
2152 알레르기 성분(우유) 미표시된 Simple Mills 크래커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8 2021.12.01
2151 에틸렌옥사이드가 검출된 Qidosha 다이어트 보조제 판매차단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8 2021.12.01
2150 사용 중 감전위험있는 발안마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8 2022.02.09
Board Pagination Prev 1 ...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 220 Next
/ 2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