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정부는 설 명절을 맞아 귀성·귀경으로 인한 차량 이용과 차례 준비로 인한 화기 취급이 늘 것으로 예상되어 교통사고·화재 등 안전사고에 각별히 주의할 것을 당부하였다.

도로교통공단 통계에 따르면, 최근 5년간(’12~’16년) 설 명절* 전후로 총 11,544건의 교통사고가 발생하였고, 20,284명의 사상자가 발생하였다. 설 연휴 교통사고 발생 추이를 살펴보면, 특히 연휴 전날 발생한 교통사고는 644건(일평균)으로 연휴 기간(396건/일) 보다 1.6배 많이 발생하였다. 교통사고를 시간대별로 자세히 분석해 보면 연휴 전날 18시 전후로 사고가 집중되었다. 또한, 연휴에는 가족 단위의 차량 이동이 많고 특히 뒷좌석 안전띠 착용률이 절반(52%) 정도로 낮아 교통사고 100건당 사상자 발생이 평소(154/일)보다 14%(176/일) 많이 발생하였다.

한편, 설 명절에는 차례음식 준비 등으로 화기 사용이 늘면서 화재 발생에도 주의해야 한다. 통계에 따르면 최근 5년간(’12~’16년) 설 연휴에* 발생한 화재는 일평균 140건으로 평소(117건) 보다 20%(23건) 더 많이 발생하였다. 이 중 주택에서 발생한 화재는 일평균 44건으로, 평소 30건 보다 47%(14건) 더 많이 발생하였다. 화재 발생 원인을 살펴보면 음식물조리나 담배꽁초 등으로 인한 부주의가 59%(390건)로 가장 많았고, 전기적 원인이 20%(129건) 순으로 발생하였다.

정부는 안전한 설 명절을 보내기 위해 다음과 같은 사항을 당부하였다.

<교통사고>

○ 고향으로 출발하기 전에는 엔진, 제동장치 등 차량점검을 실시하고 타이어의 마모상태와 공기압을 확인한다.

○ 운전 중에는 안전거리를 확보하고, 졸리거나 피곤할 때는 휴게소나 졸음쉼터에서 충분히 휴식 후에 운전한다.

○ 차량 운행 중에는 전 좌석 안전띠 착용을 철저히 하고, 특히 어린 자녀와 동승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체형에 맞는 자동차 안전의자(카시트)를 사용한다.

○ 음복 등으로 가볍게 음주를 했더라도 반드시 술을 깬 후에 운전하도록 한다.

< 화 재 >

○ 음식물을 조리할 때는 주변에 불이 붙기 쉬운 물건을 가까이 두지 않도록 주변 정리정돈에 유의하고 절대 자리를 비우지 않는다.

○ 담배꽁초 등을 버릴 때는 불씨 확인을 철저히 하여 화재를 예방한다.

○ 건조한 날씨가 지속되고 있어 성묘 등으로 산에 갈 때는 산불 발생에 주의한다.



[ 행정안전부 2018-02-08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073 단추형 전지 삼킴 위험 있는 DIY 테라리움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3 2022.09.28
3072 미생물(크로노박터 사카자키) 오염 가능성 있는 커피 판매 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6 2022.09.28
3071 산악사고, 산불 등 위험 요인은 안전신문고로 신고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6 2022.09.28
3070 화로용 ‘에탄올 연료’ 화재 위험에 주의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8 2022.09.28
3069 피부 쥐젖(연성 섬유종), 함부로 제거하지 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4 2022.09.28
3068 미생물(크로노박터 사카자키) 오염 가능성 있는 단백질 쉐이크(4) 판매 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2 2022.09.27
3067 미생물(크로노박터 사카자키) 오염 가능성 있는 단백질 쉐이크(3) 판매 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1 2022.09.27
3066 미생물(크로노박터 사카자키) 오염 가능성 있는 단백질 쉐이크(2) 판매 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3 2022.09.27
3065 미생물(크로노박터 사카자키) 오염 가능성 있는 단백질 쉐이크(1) 판매 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5 2022.09.27
3064 벤젠 검출된 스프레이형 자외선 차단제 판매 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5 2022.09.27
3063 알레르기 유발물질(우유) 미표시한 초콜릿 판매 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8 2022.09.27
3062 알레르기 유발물질(땅콩 등 견과류, 참깨) 미표시한 스무디 판매 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7 2022.09.27
3061 식품첨가제(식용색소, 산화방지제) 기준치 초과 검출된 씨리얼 판매 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9 2022.09.27
3060 미생물(크로노박터 사카자키, 보툴리누스균) 오염 우려있는 경관식 음료 판매 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3 2022.09.27
3059 미생물(크로노박터 사카자키, 보툴리누스균) 오염 우려있는 프로틴 음료(4) 판매 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9 2022.09.27
3058 미생물(크로노박터 사카자키, 보툴리누스균) 오염 우려있는 프로틴 음료(3) 판매 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8 2022.09.27
3057 미생물(크로노박터 사카자키, 보툴리누스균) 오염 우려있는 프로틴 음료(2) 판매 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8 2022.09.27
3056 미생물(크로노박터 사카자키, 보툴리누스균) 오염 우려있는 프로틴 음료(1) 판매 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2 2022.09.27
3055 미생물(크로노박터 사카자키, 보툴리누스균) 오염 우려있는 우유 판매 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2 2022.09.27
3054 미생물(크로노박터 사카자키, 보툴리누스균) 오염 우려있는 귀리 음료(2) 판매 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5 2022.09.27
Board Pagination Prev 1 ...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 217 Next
/ 21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